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글을 모집합니다

2020년은 한반도 분단 75주년이며,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인 한반도는 1950년 발발한 한국전쟁이 1953년 정전 협정을 맺은 후에도 변함이 없다. 이는 한반도가 여전히 전쟁 상태라는 의미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2019년 11월 18일 서울 정동제일 감리교회에서 제68차 총회를 개최했다. 모임의 참석자들은 2020년을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으로 기념하는 ‘희년’으로 선포하기로 결정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또한 한국전쟁의 공식적인 종전 선언과 휴전협정을 종전협정으로 대체하는 등, 한반도에서의 영구적이고 견고한 평화 체제와 통일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다짐했다.

세계교회협의회(WCC)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70일 기도 캠페인이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진행된다고 발표하고, 전 세계 기독교인들에게 “한반도 평화와 전쟁 종식”을 위한 기도 캠페인에 참여를 요청한 바 있다.

한반도 평화와 전쟁 종식을 위한 기도 캠페인 참여 글 모집

연합감리교뉴스는 한반도 평화와 전쟁 종식을 위한 기도 캠페인에 참여하는 의미로 한반도의 분단으로 인한 아픔과 이별, 사랑 그리고 한반도의 통일을 염원하는 간증문과 기도문 그리고 시를 모집한다. 참여에 자격이나 제한이 없으며 교단과 교파를 초월하여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이 글들은 연합감리교뉴스 홈페이지에 실리게 되며, 일부는 3월 1일부터 8월 15일 사이에 전 세계적으로 열리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캠페인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원고는 1,200자 미만으로 제한하며, 채택된 원고에는 소정의 원고료가 지급되고, 원고의 소유권은 연합감리교뉴스에 귀속된다.  

원고 마감은 2월 29일이며, 원고는 [email protected]로 보내면 된다.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실었던 한반도의 평화 통일에 관련한 기사들을 참고로 올린다. 기사를 보려면 아래 기사 제목을 누르면 된다.

WCC, 전 세계에 한반도 평화를 위한 70일 기도 캠페인 참여 요청

EFK포럼, 한반도에서 더 이상 전쟁은 없어야

방콕에서 열린 <한반도 평와와 통일, 번영을 위한 에큐메니칼 포럼>

남북 교회 대표들 한반도 평화의 불씨를 살리려 노력

미 하원 한반도 평화 지지 결의안 통과

문턱을 함께 넘은 남 북 미

광복절 주일, 한반도 평화 통일을 위한 세계기도회 날로

평화는 동사입니다

7월 27일 미전역에서 종전 및 평화 촉구 대회가 열린다

한인연합감리교인들이 기도를 요청하다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레이니 대사

평화는 복음의 핵심

카터, 한국의 평화를 위한 노력을 치하하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615-742-5470 또는 [email protected]로 하시기 바랍니다.

교회 역사
유석종 목사가 집필한 <애국지사 이대위>. 이대위 목사는 미주 한인사회를 이끌며 대한인국민회를 ‘나라 잃은 한인들의 가정부(假政府)’로 자리매김하게 했고, 미국 정부로부터 한인들의 독립적 지위를 인정받는 계기를 마련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일제 강점기 미주 독립운동을 이끈 이대위 목사 2

이대위 목사는 미주 한인사회를 이끌며 대한인국민회를 ‘나라 잃은 한인들의 가정부(假政府)’로 자리매김하게 했고, 미국 정부로부터 한인들의 독립적 지위를 인정받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는 독립운동과 교회 사역을 병행하며 한글 식자기를 발명하는 등 언론·교육 발전에도 기여했고, 생애 마지막 순간까지 복음과 민족을 위해 헌신했다.
선교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에 소재한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개회예배에서,  연합감리교회 총감독회 회장인 트레이시 S. 말론 감독이 <시대를 넘어 아시아>를 넘으라는 제목으로 설교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와 신앙, 더 나아가 선교의 미래를 함께 나누는 자리였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시대를 넘어, 아시아를 넘어

말론 감독은 “하나님의 선교는 언제나 앞에서 우리를 이끌어 주십니다. 하나님의 성령은 여전히 역사하고, 그리스도는 여전히 부르시며, 복음은 여전히 기쁜 소식입니다—상한 마음에 주는 기쁜 소식, 은혜를 갈망하는 세상과, 정의를 갈망하는 세상에 전하는 기쁜 소식입니다.”라고 강조한다.
교회 역사
1914년 촬영된 여러 신랑 신부의 합동 결혼식  사진. 이대위 목사는 뒷줄 중간에 있다. 사진 제공, 유석종 목사.

일제 강점기 미주 독립운동을 이끈 이대위 목사 1

이대위 목사는 “단순히 개인의 영적 구원에 머물지 않고, 공동체와 민족의 구원이라는 더 큰 목표 속에서 목회했다… 하나님 사랑과 나라 사랑은 한 샘에서 나온다… 우리가 성령으로 세례를 받듯 애국 열성의 피로 세례를 받고 나라와 민족을 위해 자신을 내어줄 때, 의로우신 하나님께서 반드시 금수강산의 복지를 되찾게 하실 것이라고 확신했다.”라고 유석종 목사는 기록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