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7일 미전역에서 종전 및 평화 촉구 대회가 열린다

<비무장지대를 건너는 여성들(Women Cross DMZ )>과 <리제너레이션무브먼트(regeneration movement)> 그리고 미국의 여러 평화 관련 민간단체들과 종교 단체들이 <한반도평화실천연대(Korea Peace Now)>라는 이름으로, 종전선언과 평화조약 체결을 위한 미국 의회 로비 및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특별히 7월 27일 토요일에는 정전협정 66주년을 맞아, 종전 선언과 한반도 평화 촉구를 위한 행사가 미국 내 여러 지역에서 열린다.

<리제너레이션무브먼트>의 공동대표인 최자현씨는 “한반도의 영구적 평화를 위한 종전선언과 평화조약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미전역에서 벌이고 있다.”고 밝히고, ‘한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호소했다.

미국 내 행사 일정과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래픽제공, <리제너레이션무브먼트>그래픽제공, <리제너레이션무브먼트>

주제: <정전에서 평화로(From Armistice to Peace: How to End the Korean War)>

날짜: 7월 27일 (토)

시간: 오전 10:30부터 정오 12:00까지

장소: 애틀랜타한인회(Korean American Association of Atlanta)

         5900 Brook Hollow Pkwy, Norcross, GA

기타 자세한 사항은 Facebook https://www.facebook.com/events/2303032036477073/을 방문하면 된다.   

보스턴

사진 제공, 매사추세츠 평화 행동사진 제공, 매사추세츠평화행동. 

주제: <평화의 서명운동(Peace Tabling at the Lowell Folk Festival)>

날짜: 7월 27일 (토)

시간: 정오 12시부터 오후 5:00까지

장소: Patrick J Morgan Cultural Center

        40 French St, Lowell, MA 

기타 자세한 사항은 Facebook http://masspeaceaction.org/event/lowell-folk-festival-2019/을 방문하면 된다.

로스앤젤레스 (2)

(1회)

주제: <한국전쟁 종전 촉구 집회(Rally to end the Korean War)>

날짜: 7월 27일 (토)

시간: 오후 3시부터 4시까지

장소: 웨스턴과 윌셔 교차지점(Western Ave and Wilshire Blvd, Los Angeles, CA ) 

주제: <북한과의 평화 구축을 위한 여성들(Women and Building Peace with North Korea)>

(2회)

날짜: 7월 27일 (토)

시간: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장소: 세펄베다 평화 센터(Sepulveda Peace Center)

          3916 Sepulveda, Culver City, California 90230

기타 자세한 사항은 Facebook https://www.facebook.com/events/2822378337835154/을 방문하면 된다.   

사진 제공, <리제너레이션무브먼트>사진 제공, <리제너레이션무브먼트> 

뉴욕(2)

(1회)

주제: <정전에서 평화로(From Armistice to Peace: Ending the 70-year Korean War)>

날짜: 7월 25일(목)

시간: 오후 6:30부터 8시까지

장소: 피플즈포럼(The People’s Forum)

           320W 37th St, New York, NY (8th + 9th Aves)

특별히 영화 <잊혀진 전쟁(Memory of Forgotten War)>이 상영된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Facebook https://www.facebook.com/events/2926281027444071/을 방문하면 된다. 

(2회)

주제: <평화의 서명운동(Peace Tabling at the Lowell Folk Festival)>

날짜: 7월 27일(토)

시간: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장소: 뉴욕 맨해튼 한인타운, 32번가와 브로드웨이 교차지점.

          32nd Street and Broadway, New York

필라델피아(2)

(1회)

주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서명운동>

날짜: 7월 27일(토)

시간: 낮 12시 30분부터 2시 30분까지

장소: H Mart 

         7320 Old York Rd, Elkins Park, PA

(2회)

날짜: 7월 28일(일)

장소: 아씨 마트

        1222 Welsh Rd, North Wales, PA

워싱턴 DC

주제: <한반도 평화 집회>

날짜: 7월 27일(토)

시간: 정오 12시

장소: 백악관 앞 

 

이번 정전 66주년 행사를 위해,

<장로교 한반도 평화 네트웍(Presbyterian Peace Network for Korea)>,<코드핑크(CODEPINK)>,  (북한과의 평화를 구축하는 여성들(Women and Building Peace with North Korea)>, <비무장지대를 건너는 여성들(Women Cross DMZ)>, <정의평화종교연대(Interfaith Communities United for Justice and Peace)>, <평화행동(Peace Action)>, <한인타운 이민노동자연대(Koreatown Immigrant Workers Alliance)>, <6.15남북공동선언 실현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서부 통일연대(June 15 U.S. West Coast Committee for Reunification of Korea)>, <액션원코리아(Action One Korea)>, <재미동포전국연합회(Korean American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내일을 여는 사람들(Peace21.org)>, <미주양심수후원회(U.S. Support Committee for Korean Prisoners of Conscience)>, <한국평화연대(Korean Peace Alliance)>, <메사추세츠평화행동(Massachusetts Peace Action)>, <노둣돌(Nodutdol for Korean Community Development)>등 다양한 단체들이 참여한다.

여성들이 주축이 되어, 평화와 정의를 위한 지역 풀뿌리 운동을 벌이는 <코드핑크>(CODEPINK)를 통해, “7월 27일 토요일, <비무장지대를 건너는 여성들>의 사무총장인 크리스틴 안과 인도적 활동가인 조이 윤(Joy Yoon)이 여성과 북한과의 평화 운동에 대해 LA 집회에서 발표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그들은 북한에 거주한 경험이 있는 몇 안 되는 미국인이다.

연합감리교회 위스컨신연회의 정희수 감독은 지난 7월 10-12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한반도평화포럼>에서 ‘평화는 동사다’라는 발표를 통해, 평화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근거를 제시했다. 정 감독은 이번 정전 66주년 행사가 미전역에서 열린다는 소식에 “하나님의 평화가 임하여, 온전한 평화 협정이 조속히 이루어지고, 서로 협력하여 한민족 공동체를 이루기를 바랍니다.”라고 연합감리교회 뉴스에 전했다. 

연합감리교회 평화위원회 위원장인 장위현 목사는 이번 행사를 각 지역의 풀뿌리 운동 차원으로 진행하고, 이를 위해 한인연합감리교회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나아가 평화위원회는 미국 내 한인 중심으로 조직된 평화협정체결을 요구하기 위한 캠페인 <Peace Treaty Now>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우리는 각 지역 상·하원 의원들을 접촉하여 설득하고, 한반도 평화 기여에 협조를 요청하는 운동도 병행하기로 했다."

연합감리교 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615-742-5470 or [email protected] 하시기 바랍니다.

개체교회
영화 <Her(그녀)>의 트레일러 갈무리.

인공지능 HER의 사랑과 외롭고 불완전하고 서툰 인간의 사랑과…

현혜원 목사는 인공지능 시대에 AI와의 사랑을 나눈 영화 HER를 리뷰하며, “하나님은 완벽한 기계의 논리 속이 아니라, 때로는 미숙하고 불안정하지만, 진심으로 서로를 사랑하려는 사람들 사이에 거하십니다.”라고 말한다.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사회적 관심
연합감리교회 사회부는 연합감리교인들에게 자신들의 지역구 의원들에게 한반도평화법안(H.R. 1841) 발의자로 참여할 것을 요청하라고 촉구했다. 사진은 한국전쟁 정전협정 70주년인 2023년 7월 27일, 수백 명의 한반도 평화 운동가들이 백악관 앞 라파예트 광장을 출발해 링컨기념관까지 평화통일 기원 행진을 하는 모습이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 사회부 한반도평화법안(H.R.1841) 지지 요청

연합감리교회 사회부는 교인들에게 자신이 속한 지역구의 연방 하원의원에게 한반도평화법안(H.R.1841)의 공동 발의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하라고 촉구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