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대한 믿음, 흔들림 없는 소망, 자신을 희생한 강렬한 사랑의 영

(편집자 주: 2025년 8월 4일부터 6일까지 사흘간,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에 소재한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가 열렸다. 이번 대회는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와 신앙, 더 나아가 선교의 미래를 함께 나누는 자리였다. 이 행사를 위해, 연합감리교회 총감독회 회장인 트레이시 S. 말론 감독, 연합감리교회 샐리 딕 감독, 기독교대한감리회 감독회장 김정석 감독, 오하이오 감독구 정희수 감독, 박정찬 감독 등이 차례로 설교했다. 연합감리교뉴스는 행사를 보다 자세히 전하기 위해, 다섯 감독의 설교를 순서대로 소개한다. 오늘은 그 시리즈의 마지막인 박정찬 감독의 설교를 싣는다.)

“주께서 이같이 우리에게 명하셨도다. ‘내가 너를 이방의 빛으로 삼아 너로 땅끝까지 구원하게 하리라’ 하셨느니라.” 사도행전 13:47

지난 며칠 동안 우리는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이 남긴 놀라운 유산을 깊이 배웠습니다. 그들의 선교 사역이 한국인들의 삶을 어떻게 변혁시켰는지, 그리고 그 열매가 오늘 우리 삶 속에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존경받는 설교자와 연사들, 그리고 패널들의 증언을 통해, 그들의 가르침과 증언이 여전히 전 세계 사람들에게 빛과 영감을 주고 있음을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오늘, 이 폐회예배에서, 저는 스크랜턴 모자가 선교 여정 내내 보여주었던 놀라운 영에 대해 잠시 성찰을 나누고자 합니다. 저는 교회사가가 아니며, 그들의 신앙 여정이 어떻게 발전하여 한국 선교에 헌신하게 되었는지를 역사적으로 세세히 알지 못하며, 설명할 수도 없습니다. 그러나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그들의 여정을 성경 말씀과 연결할 때, 우리는 그들의 소명이 무엇이었는지를 가장 깊이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한국에 온 첫 감리교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를 떠올릴 때마다 제 마음에는 늘 누가복음 4장 18-19절이 떠오릅니다. 흔히 예수님의 사역 선언문이라 불리는 이 말씀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내게 기름을 부으시고… 갇힌 자에게 자유를, 눈먼 자에게 다시 보게 함을 전파하며, 눌린 자를 자유롭게 하고, 주의 은혜의 해를 전파하게 하려 하심이라.”

1885년 부활주일, 아펜젤러는 아내 엘라와 함께 조선 땅에 도착했습니다. 그리고 그때 그들은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우리는 부활절에 이곳에 왔습니다. 그날 죽음의 빗장을 부수신 주께서, 이 백성을 얽매고 있는 사슬을 끊으시고, 그들을 하나님의 자녀의 빛과 자유로 인도하시기를 원합니다.”

이 기도 속에는 억압의 사슬을 끊고 어둠 가운데 빛을 비추시는 그리스도의 사명과 아펜젤러의 소명이 완벽히 맞닿아 있습니다.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또한 같은 복음의 불길을 지녔으며, 어쩌면 바로 이 누가복음 말씀에서 깊은 영감을 받았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제 마음에 또 하나 떠오르는 성경이 있습니다. 바로 사도행전 13장 47절입니다.

“주께서 이같이 우리에게 명하셨도다. ‘내가 너를 이방의 빛으로 삼아 너로 땅끝까지 구원하게 하리라’ 하셨느니라.”

이 말씀을 통해 저는 스크랜턴 부부의 선교 여정을 정의했던 세 가지 영적 자질을 보게 됩니다. 모험적인 믿음의 영, 흔들리지 않는 소망의 영, 그리고 강렬한 사랑의 영입니다.

1. 담대한 믿음의 영

19세기 말, 한국은 서구 세계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땅이었습니다. 언어도, 문화도, 신앙도 낯설고, 세상 끝자락처럼 멀리 떨어진 ‘땅끝’이었습니다. 그러나 아브라함과 사라처럼 그랬던 것처럼, 스크랜턴 모자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담대히 응답했습니다. 그들은 무엇이 기다리고 있는지 알지 못했지만, 하나님이 보내신다는 사실 하나로 길을 떠난 것입니다.

히브리서 11장 8절은 이렇게 증거합니다.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부르심을 받았을 때에 순종하여 장래 기업으로 받을 땅에 나아갔고,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나아갔으며…”

그들이 도착한 조선은 정치적 불안정과 외국인에 대한 경계, 적대감, 낯선 풍습, 언어 장벽, 열악한 환경과 치명적인 질병들로 가득했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갔습니다. 그것은 바로 담대한 믿음의 모험이었습니다. 이 모험은 우리에게 그리스도인의 삶이 정체된 삶이 아니라 끊임없이 미지의 길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임을 일깨워 줍니다.

한 연구에서 80대와 90대 노인들에게 “삶을 다시 살 수 있다면 무엇을 다르게 하겠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진 적이 있습니다. 가장 많은 대답은 “더 많은 모험을 했을 것이다.”였습니다. 우리는 너무 자주 안전하고 익숙한 것에 안주하려 합니다. 그러나 믿음이 요구되는 바로 그 미지의 영역에서 가장 큰 돌파와 발견, 그리고 성취가 일어납니다.

초기 감리교 순회전도자들이 없었다면, 스크랜턴과 아펜젤러와 같은 개척자들이 없었다면, 오늘의 교회는 어디에 있겠습니까? 또 한국은 어디에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우리는 그들의 영성을 회복해야 합니다.

오늘날 우리의 ‘이방인’은 누구입니까?

우리의 가야 할 새로운 ‘땅끝’은 어디입니까?

믿음의 반대는 의심이 아니라 두려움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두려움이 아니라 믿음으로 살아가도록 부르셨습니다. 스크랜턴 모자는 하나님의 계획과 약속을 신뢰하며 담대히 나아갔고, 그 결과는 오늘의 역사가 분명하게 증언하고 있습니다.

2. 흔들리지 않는 소망의 영

스크랜턴 모자가 조선에 도착했을 당시, 대다수 백성은 가난과 억압, 불의의 무게에 짓눌려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특히 여성들의 삶은 끝없는 고난과 제약 속에 놓여 있었습니다. 이민진의 소설 <파친코>에 등장하는 한 여인의 말은 당시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냅니다.

“여자로 산다는 건 끝없는 고생이야. 고생, 또 고생이지. 좋은 남자를 만나면 괜찮지만, 나쁜 남자를 만나면 인생은 저주야. 하지만 결국, 가난한 여자는 아무도 돌보지 않아. 우리 스스로 살아남아야 해.”

이런 절망 속에 갇혀 있던 사람들에게, 스크랜턴 부부는 이렇게 말했을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당신을 사랑하십니다. 우리 또한 그렇습니다.”

정치적 불확실성과 외세의 간섭이 몰아치던 격동의 시기, 그들은 그리스도의 빛을 전하며 변화의 희망을 심었습니다. 그리고 그 작은 씨앗은 새로운 미래를 열어 주었습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저는 올해 초, 동북부 지역총회 은퇴감독 모임에서 “이 시대 교회에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제 대답은 아주 단순했습니다. “희망을 잃지 마십시오.”

그리고 저는 베드로전서 3장 15절을 나누었습니다.

“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 자에게는 대답할 것을 항상 준비하되…”

오늘 우리에게 묻습니다. 우리는 무엇 때문에 희망을 붙듭니까? 분열과 낙담, 그리고 절망이 가득한 세상에서 무엇이 우리를 끝까지 버티게 합니까?

한때 미국은 자유와 정의, 기회의 등불로 불렸습니다. 그러나 지금 많은 이들, 특히 가장 연약한 이들에게 그 등불은 희미해졌습니다. 그렇지만 교회는 여전히 그리스도의 빛으로 세상에 희망의 이유가 되어야 합니다. 스크랜턴 모자는 수많은 조선 사람에게 그 희망의 이유가 되었습니다. 그들이 심은 씨앗은 헤아릴 수 없는 열매를 맺었습니다.

“우리는 사과 속의 씨앗은 셀 수 있지만, 한 알의 씨앗 속의 사과는 다 헤아릴 수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이방의 빛으로 세우셨고, 그들의 유산은 꺼지지 않는 희망으로 오늘도 우리 가운데 빛나고 있습니다.

3. 강렬한 사랑의 영

왜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셨습니까? 왜 고난을 당하시고 십자가에서 죽으셔야 했습니까? 그 이유는 단 하나, 사랑 때문이었습니다.

만약 누군가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에게 “왜 모든 것을 버리고 땅끝까지 가서 낯선 이들을 위해 생명을 바쳤습니까?”라고 묻는다면, 그들은 분명 이렇게 말했을 것입니다.

“사랑 때문입니다.”

사역을 지속하게 하는 힘은 ‘무엇을 하느냐’나 ‘어떻게 하느냐’가 아니라, 바로 ‘왜 하느냐’에 있습니다. 그 ‘왜’가 분명하고 강렬할 때, 우리는 어떤 고난도 견디며 감당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 스스로에게도 물어야 합니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로 존재하는 강렬한 이유, 우리의 ‘왜’는 무엇입니까?”

약 10년 전, 저는 서스케허나 연회 일행과 함께 한국을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여러 곳을 찾았는데, 그중 하나가 서울의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원이었습니다. 이곳은 수많은 선교사와 그들의 가족들이 잠들어 있는 거룩한 장소입니다. 그곳에는 앨리스 아펜젤러의 무덤이 있고, 가까이에는 헨리 아펜젤러의 빈 무덤도 있습니다. 그는 한 조선 소녀를 배 난파 속에서 구하려다 44세의 젊은 나이에 생을 마쳤고, 시신은 끝내 발견되지 못했습니다.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도 그곳에 함께 묻혀 있습니다.

총 145명에 이르는 선교사와 그 가족들이 그곳에 잠들어 있습니다. 묘비 하나하나가 저마다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어떤 이야기는 영웅적이고, 어떤 이야기는 비극적이지만, 모두가 사랑의 증언입니다. 그들은 섬긴 사람들을 너무도 깊이 사랑했기에,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다 바쳤고, 심지어 마지막 안식처마저도 자신들이 부름을 받은 땅에 내어주었습니다.

우리는 지금 “허다한 증인 구름”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선한 싸움을 싸우고, 달려갈 길을 마치며, 믿음을 지킨 이들의 삶이 우리 곁에 증언으로 서 있습니다. 예수님이 그들에게 그렇게도 소중했다면, 어찌 우리에게 그렇지 않겠습니까? 우리도 역시 똑같은 예수님, 똑같은 복음, 똑같은 하나님을 믿고 따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순간, 우리는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의 영을 다시 붙듭니다. 그것은 담대한 믿음, 흔들림 없는 소망, 그리고 자신을 내어놓은 강렬한 사랑의 영입니다. 그 영이 오늘 우리를 감동시키고 이끌어, 우리가 받은 거룩한 유산에 합당한 교회로 세워지기를 기도합니다.

성령께서는 지금도 우리를 부르십니다.

지금이 그 때입니까?

우리가 그 부름에 응답할 사람입니까?

그렇습니다.

지금이 바로 그 때이며, 우리가 바로 그 사람들입니다.

아멘.

관련 기사 시리즈 보기

오하이오에서 한국까지: 메리 스크랜턴과 윌리엄 스크랜턴의 140년 유산을 기리다

시대를 넘어, 아시아를 넘어

메리 스크랜튼과 유관순: 교육의 열매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아름다운 희생을 기억하며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한국/아시아 뉴스 디렉터인 김응선(Thomas E. Kim)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전화 615-742-54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 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선교
2025년 8월 5일,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둘째 날, 참가자들이 아침 예배를 마친 뒤 함께 기념 촬영을 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연합감리교뉴스.

아름다운 희생을 기억하며

정 감독은 선교대회를 통해 “한국감리교회와 연합감리교회가 사랑과 연대의 끈으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했으며… 우리는 단지 선교의 역사를 회상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한 미래 담론을 다시 열어가고 있습니다.”라고 선포했다.
개체교회
2025 한인총회 정기총회에서 한인총회헌장 개정안이 상정된다. 사진은 한인총회 임원회가 2025 한인총회에 상정한 헌장 개정안을 갈무리한 것이다.

2025 한인총회에서 한인총회헌장 개정안이 상정된다

오는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2025년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정기총회가 열린다. 이번 총회는 창립 50주년을 맞은 뉴저지주 이스트 브룬스위크에 소재한 갈보리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다시,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한인총회헌장 개정안이 상정될 예정이다.
선교
2025년 8월 5일, 기독교대한감리회 감독회장 김정석 감독이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에서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이라는 제목으로 설교하고 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연합감리교뉴스.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김정석 감독은 하나님께서 메리 스크랜턴 선교사를 통해 풍성한 열매를 맺게 하신 것처럼, 오늘 우리 역시 복음을 전하는 밀알로 부르심을 받았다며,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가 함께하는 연대를 통해 세상 끝까지 복음을 전하는 사명에 헌신하자고 전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