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 학교 에즈라>가 개설되다

미주목회멘토링사역원(원장 김영봉 목사)과 에즈라리더십인스티튜트(원장 김낙중 목사)가 주관하는 <목회자 학교 에즈라>(이하 에즈라)가 개설되어 1기생을 모집하고 있다.

<목회자 학교 에즈라>는 2020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2년 과정으로, 지원 자격은 “신학교 졸업 후 5년 이상 목회한 목회자 부부로,  30대와 40대가 주 된 대상”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정원은 20쌍 부부(40명)이다.  

<에즈라>는 바른 신앙과 목회를 위해 온/오프라인을 통해 책을 읽고 삶을 나누고 사귐을 갖는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책을 읽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하여 이에 대한 토론을 가지며, 일 년에 2회 오프라인으로 모임을 하고, 그 기간 동안에 원하는 강사를 초청하여 강의를 듣는다.

이 프로그램의 특별한 점은 목회는 부부가 같이하는 것이 때문이기 때문에 부부가 함께 등록하고 함께 참여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모임은 목회자와 배우자가 따로 갖게 되며, 2박 3일 일정의 부부 관계 워크숍도 포함될 예정이다.

<에즈라>는 김영봉 목사는 지난 11년 동안 목회자 멘토링 컨퍼런스를 인도해 왔고, 4년 동안 목회자 학교를 섬겼다.

김 목사는 “그동안 여러 가지 경로로 목회자와 배우자의 상황을 접하고 어떻게든 도움을 드리려고 애써 왔습니다. 그러던 중에 에즈라리더십인스티튜트와 연결되어 <목회자 학교 에즈라>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라고 말하고, “<에즈라>가 과거의 목회자 학교와 다른 점은, 사모님도 함께하며,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지속해서 소통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신을 변화시키고, 성장시키기 위해 수준 높은 독서 과제를 수행해야 하고, 자기 개인의 문제와 부부의 문제 그리고 목회 현장의 문제를 투명하게 나눌 것”을 요구하는 <에즈라>의 등록비(전 과정 4학기)는 부부당 $300.00이며, 등록 마감일은 2019년 9월 30일이다.

경제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장학금 보조도 있다. <에즈라>에 대해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기 원하면 아래의 안내서를 보거나 [email protected]으로 이메일을 하면 된다.

 

ezra pastoral mentoring ministries 2019-1 미주목회멘토링사역원(원장 김영봉 목사)과 에즈라리더십인스티튜트(원장 김낙중 목사)가 주관하는 <목회자 학교 에즈라>(이하 에즈라)가 개설되어 1기생을 모집하고 있다.
미주목회멘토링사역원(원장 김영봉 목사)과 에즈리리더십인스티튜트(원장 김낙중 목사)가 주관하는 <목회자 학교 에즈라>(이하 에즈라)가 개설되어 1기생을 모집하고 있다.  미주목회멘토링사역원(원장 김영봉 목사)과 에즈라리더십인스티튜트(원장 김낙중 목사)가 주관하는 <목회자 학교 에즈라>(이하 에즈라)가 개설되어 1기생을 모집하고 있다.

 

연합감리교회 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615-742-5470 or [email protected]하시기 바랍니다.

선교
오하이오 감독구 정희수 감독(왼쪽), 서오하이오 연회의 교회역사보존위원회(GCAH) 위원장인 데이브 볼링, 내리교회의 김흥규 목사, 임찬순 목사가 연합감리교회 오하이오 감독구와 기독교대한감리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 140주년 기념행사를 마친 후, 프랭클린과 버타 외링거 선교사 부부의 묘지를 방문했다. 사진 제공, 임찬순 목사.

메리와 윌리엄 선교 140주년 기념대회와 그 메아리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 140주년 기념대회’에 참석한 임찬순 목사는 두 선교사의 신앙과 헌신을 되새기며, 그들의 사역이 한국 감리교회와 사회, 그리고 독립운동에 끼친 영향을 조명했다.
사회적 관심
조지아주 현대·LG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기술자들이 체포되는 장면이 2025년 9월 13일 한국 MBC 뉴스 영상을 통해 전해졌다. 이번 사건으로 인해 한국과 미국 양국에서 비판 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상처 입은 사회, 어떻게 정의와 희망을 선포할 것인가

정희수 감독은 목회 서신에서 조지아주 현대·LG 배터리 공장에서 드러난 직원들에 대한 무차별적 구금과 억압, 그리고 비인격적인 처우는 우리 사회 전반에 충격과 분노를 불러일으켰다고 말하고, 이 상황에서 교회와 목회자에게 '어떻게 정의와 희망을 선포할 것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선교
2025년 8월 4일,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에 소재한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개회예배에서, 한 참석자가 두손을 들고 선교를 위해 기도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와 신앙, 더 나아가 선교의 미래를 함께 나누는 자리였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선교는 하나님의 미래에 투자하는 것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마지막 날인 2025년 8월 6일,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를 대표해 발제한 이창민 목사는 메리 스크랜턴의 담대한 발걸음처럼, 오늘 우리의 뮤추얼 선교가 후세들에게 믿음과 사랑, 헌신으로 이어질 질문과 유산이 되기를 소망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