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신도들, 3인의 캘팩 한인 목회자 재파송 중지에 항의하는 피켓을 들다

5월 16일 서부지역 평신도연합회(회장 최정관 장로, 라팔마 한인연합감리교회) 회원 30여 명은 하와이 호놀룰루의 그리스도 연합감리교회(담임 한의준목사)에서 진행된 캘리포니아-태평양 연회(이하 캘팩 연회)의 목사 안수식을 집례하기 위해 참석한 그랜트 하기야 감독을 향해 항의 피켓 시위를 벌였다.

서부지역 평신도연합회는 이번 피켓 시위가 최근 캘팩 연회 소속의 한인 목회자 3인의 재파송 중지 조치에 항의하는 자신들의 목소리를 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류재덕 목사(밸리 연합감리교회 담임)에 따르면, 캘팩 연회의 하기야 감독은 지난 4월 21일에 자신의 감독 리더쉽을 훼손(undermining of Bishop’s leadership)했다는 이유로 감리사를 통해, <남가주 주님의교회>의 김낙인 목사와 <밸리 연합감리교회>의 류재덕 목사 그리고 <샌디에고 한인연합감리교회>의 이성현 목사 등3인의 한인 목사들을 2021년 6월 30일 이후 현재 섬기고 있는 교회로 재파송하지 않겠다고 통보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이에 한인 교회 평신도들의 거센 반발과 항의가 이어지고 있다.

한인연합감리교회 평신도연합회(회장 안성주 장로, LA 한인연합감리교회)는 지난 29일 3명의 한인 교회 목회자의 파송 중단 통보를 한인 교회에 대한 핍박으로 규정하고, <한인교회에 대한 핍박을 중단해 주십시오>라는 제목의 공개 서신을 하기야 감독에게 보냈다.

공개 서신에는 “연합감리교회 장정이 정한 협의 과정(consultation)도 없이 한인 목회자에 대한 파송 중지를 일방적으로 통보한 것은 그동안 감독님이 강조해온 소수민족교회와 아시안 교회를 향한 공평과 정의와는 너무나도 거리가 먼 행동입니다. 특히 캘팩 연회의 한인 교회 안에서 영향력 있는 세 교회를 타깃으로 한 이번 파송 중지 통보는 아시안 이민교회인 한인 교회를 향한 인종주의적 행동입니다. 이 정의롭지 않은 결정을 즉시 철회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파송 중지 결정 철회를 요구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5월 4일 한인 목회자 13명과 평신도 74명은 캘팩 연회 한인교회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전국평신도연합회(회장 안성주 장로, LA한인연합감리교회)가 하기야 감독에게 보낸 공개 서신을 지지하기로 결의하고, 자신들의 입장을 담은 결의문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결의문에는 “감독의 입장을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재파송 불가를 통보한 것은 비상식적, 비윤리적 처사이며, 특히 한인 교회의 세 목회자를 표적한 점은 현재 연회가 가진 심각한 차별을 증거하는 것이다. 세 교회는 물론 캘팩 연회에 속한 모든 한인 교회는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파송이 시행될 경우 새로운 목회자를 받지 않을 것이며, 교단의 법인 장정이 지켜지고 존중받을 수 있도록 법적 대응을 할 것이다.”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캘팩 연회 한인연합감리교회협의회는 하기야 감독의 파송 중단 철회를 요구하는 서명 운동을 시작했다.

서부지역 평신도연합회는 5월 18일 현재 이 서명운동에 온라인 2,181명, 문서 835명 등 총 3,016명이 참여했으며, 결의문과 지지 서명은 5월 21일 캘팩 연회의 감독 사무실을 방문해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하기야 감독과 세 교회가 소속된 해당 지역 감리사에 대한 고발장을 서부지역 감독회에 서면과 이메일로 제출할 예정이다.

하기야 감독은 이에 대해, “피켓 시위는 평화로웠고, 예배를 진행하는데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았다. 누구든지 항의하는 시위를 할 권리가 있지만, 그들을 따로 만날 계획을 하고 있지는 않다.”라고 말했다.

본보 4월 30일 자 기사에 이번 파송에 관한 논란의 당사자 가운데 한 명인 전 한인총회 총회장 류재덕 목사는 “한인총회 총회장으로서 한인 교회가 스스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공간을 내어준 것뿐이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그러한 우려 사항을 사전에 대화나 논의를 통해 전달할 수도 있었을 텐데, 그런 것 없이 갑자기 파송을 안 한다고 통보했다는 사실이 적잖게 당황스럽다.”라고 전한 바 있다.

하기야 감독은 “파송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공개할 수 없지만, 파송을 위한 협의 과정(consultation)이 있었다.”라고 밝히고, “세 목사를 위한 파송도 준비되었다. 하지만 그들이 파송 논의를 위한 만남을 원하지 않고 있다.”라고 전했다.

관련 기사 보기

한인 교회 목사 파송과 감독의 파송권에 관한 목소리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전화 (615-742-5109)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사회적 관심
5월 아시안 유산의 달을 맞아,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인종정의태스크포스는 <아시아계 미국인의 자화상>을 주제로 첫 웨비나를 열었다.  두 번째 웨비나는 오는 5월 19일에 열릴 예정이다. 그래픽,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인종정의태스크포스.

아시안 유산의 달에 살펴본 아시아계 미국인의 자화상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인종정의태스크포스는 5월 아시아계 미국인 유산의 달을 맞아, 아시아계 한인 이민자의 정체성과 경험을 조명하는 웨비나 시리즈 첫 시간을 가졌다.
선교
2025년 4월 23일, 정희수 감독이 이끄는 오하이오 감독구 지도자들이 서울 합정동에 위치한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을 찾아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와 그의 어머니 메리 스크랜턴 선교사를 기리는 기념비 제막식에 참석했다. 사진은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에 제막된 윌리엄 밴턴 스크랜턴 선교사와 메리 스크랜턴 선교사 기념비.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오하이오 지도자들 스크랜턴 선교사의 발자취를 따라 한국을 방문하다

연합감리교회 오하이오 감독구 지도자들이 미감리교회가 1885년 한국에 파송한 선교사 윌리엄 스크랜턴과 메리 스크랜턴의 선교 발자취를 밟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
사회적 관심
6월 둘째 주는 ‘한반도평화옹호주간’이다. 이를 위해 5월 29일 오후 8시(미 동부 시간 기준)에 미연방하원의원 및 상원의원실 직원들과의 대화를 중심으로 한 온라인 공개 교육을 진행한다. 지난 2018년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미국 워싱톤 DC에서 열린 한반도평화축제에서 참가자들이 한반도의 평화를 외치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 사회부 연합감리교인들에게 ‘한반도평화옹호주간’ 적극 참여 요청

6월 둘째 주는 ‘한반도평화옹호주간’이다. 이를 위해 연합감리교회 사회부와 세계선교부를 비롯한 연대 기관들의 연합체인 액션네트워크(Action Network)는 5월 29일 오후 8시(미 동부 시간)에 연방하원의원 및 연방상원의원실 직원들과의 대화를 중심으로 한 온라인 공개 교육을 화상(Zoom)으로 진행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