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아름답고 아름답다

2022년 3월 21일(월)부터 25일(금)까지 5일간 애리조나주 투산에 소재한 리뎀투어리스트 수양관에서 나의 사랑, 나의 어여쁜 자여라는 주제로 열리는 사모를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가 열렸다. 사진 제공, 영성형성 아카데미.

(편집자주: 이 글은 지난 3월 21일부터 25일까지 5일간 애리조나주 투산에 소재한 리뎀투어리스트 수양관에서 “나의 사랑, 나의 어여쁜 자여”라는 주제로 열린 사모를 위한 <영성형성아카데미(academy for Spiritual Formation)> 참석한 사모들의 간증 시리즈 번째로 버지니아주 래드밸리 연합감리교회의 홍사랑 사모의 글이다.)

래드밸리 연합감리교회의 홍사랑 사모, 사진 제공, 홍사랑 사모.래드밸리 연합감리교회의 홍사랑 사모, 사진 제공, 홍사랑 사모.

사모 5일 영성형성 수련회를 마치고, 일상으로 돌아온 지금, 다시 그 한 주간의 시간을 돌아보면 정말 꿈만 같습니다.

지난 3월, 미전역에서 각기 다른 모습을 지닌 35명의 사모님이 한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바로 하나님께서 주신 거룩한 소명인 사모라는 이름의 공통점으로요.

많은 사모님이 그러셨겠지만, 저 역시 영성형성아카데미에 참석하는 것이 정말 쉽지 않은 결정이었습니다.

저 없이도 한 주 동안 어린 세 아이를 잘 데리고 있을 테니, 걱정하지 말고 다녀오라는 남편의 응원에 힘입어 수련회를 등록하긴 했지만, 막상 수련회를 가기 위해 비행기를 타고 애리조나까지 가려고 하니 큰 도전에 부딪힌 것 같은 기분이 들었습니다.

제가 사는 곳은 버지니아주 남서쪽의 산촌 지역입니다.

그래서 사는 곳 주변의 작은 공항에는 아무리 찾아봐도 시간에 맞는 항공편이 없어서, 결국 집에서 차로 약 3시간가량 떨어진 노스캐롤라이나의 랄리 공항에서 출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수련회 날짜가 가까이 다가올수록, 걱정과 불안이 엄습했습니다. 과연 새벽 1시에, 그 어둠 속에서 낯선 길을 홀로 운전해 공항까지 갈 수 있을까? 공항주차장은 잘 찾아갈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령님께서 이끄셨는지, 제 마음에 용기와 담대함이 생겼고, 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저는 무사히 영성 아카데미 장소에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영성 아카데미가 열린 5일 동안 저는 많은 은혜를 받았습니다.

무엇보다 제 눈에 먼저 들어온 것은 제가 있는 곳과 너무나도 다른 애리조나의 자연이었습니다.

버지니아는 초록이 가득하고 색색의 꽃들이 만연한 반면, 애리조나는 투박하게 가시 박힌 선인장들만 가득했습니다. 왠지 초라해 보이고 쓸쓸해 보이는 선인장들을 보며, 처음에는 그 아름다움을 깨닫기가 쉽지 않았는데, 보면 볼수록 모양과 크기가 다양한 선인장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제게 새로운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또한 사막의 광야, 그 뜨거운 햇살 아래에서도 살아남아 자신의 자리를 묵묵히 지키는 선인장에게서 저는 왠지 모를 품격과 고결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어느 순간부터 저는 저도 모르게 선인장을 볼 때마다 “참 아름답고, 아름답다.”라는 말을 반복하게 되었습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그러다 어느 날입니다.

저는 주님께서 제게, 그리고 우리 사모를 비롯한 모든 하나님의 자녀들에게, “참 아름답고, 아름답다.”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내 사랑하는 어여쁜 자야. 내가 너를 사랑하노라. 나는 그냥 너의 모습 그 자체가 사랑스럽단다. 너는 내가 특별히 만든 나의 걸작품이고, 나는 항상 네 편이란다.”

5일 동안 저는 많은 것을 느끼고, 깨달았으며, 또한 배웠습니다.

그 시간 동안, 혼자만의 침묵과 기도 그리고 묵상을 통해, 주님께 가까이 나아갈 수 있었고, 시편을 강의해주신 정희수 감독님과 영성수련을 위한 방법을 가르쳐주신 권희순 목사님을 통해, 하나님이 나에게 주신 소명이 무엇이며, 내가 누구인지를 깊이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또 예배와 소그룹 모임을 통해, 삶과 신앙 및 고민을 사모님들과 깊이 있게 나눌 수 있었습니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함께 웃기도 울기도 하며, 서로를 품어주고, 격려해주며 보낸 시간은 참 귀한 축복의 시간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아카데미를 위해 수고해주신 분들과 기도해주시고 후원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아직 수련회에 참석하지 못하신 사모님들께 이렇게 전하고 싶습니다.

“사모 영성형성수련회에 참석하는 것이 여러 면에서 큰 도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꼭 참석하시어, 많은 은혜 받으시길 강력하게 추천해 드립니다.”

홍사랑 사모는 버지니아주 분즈밀에 위치한 레드밸리 연합감리교회(Red Valley United Methodist Church)에서 목회하는 송재용 목사의 부인이며, 사이에 자녀, 에이미(Amy), 조이(Joey) 그리고 제프리(Jeffrey)있다.

관련 시리즈 보기

선인장에도 꽃은 핀다

왜 나를 그곳으로 데려가셨는지, 아니 데려가셔야만 했는지

나의 사랑 나의 어여쁜 자야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email protected]로 이메일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더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사회적 관심
폴 공(Paul Kong) 목사가 캄보디아 프놈펜의 희망직업학교에서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서 빗물 저장 탱크가 식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인 <희망의다리>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동남아시아에서 신앙과 과학이 만나 ‘생명수’를 길어 올린다

2025년 10월 13~17일, 프놈펜 희망직업학교에서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 동남아 5개국의 교회와 사역자들이 참여해 물 부족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식수 확보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 <희망의다리>가 공동 주최했다.
선교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연례회의가 2025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뉴저지주 티넥(Teaneck)에서 열렸다. (앞줄 왼쪽부터) 장학순 목사, 김성실 권사, 정희수 감독, 전주연 목사, 이형재 목사, 방지민 목사. (뒷줄 왼쪽부터) 원홍연 목사, 권혁인 목사, 이재명 목사, 박미소 목사, 이푸르메 목사.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선교 전략과 사역 방향 새롭게 다듬다

한인목회강화협의회는 향후 3년에서 5년 이내에 자립 가능한 한국어 회중 12곳과 영어 회중 5곳을 개척하는 것을 특별한 목표로 세우고 있다. 참석자들은 새 교회 개척 현황과 자립 여정을 보고받으며, 그 비전이 이미 현실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선교
2025년 9월 29일-10월 2일 뉴저지주 이스트 브룬스위크에 소재한 갈보리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개회예배에서 참석자들이 찬양하고 있다. 콜라주 사진, (위) 신띠아 무어-코이코이 감독(대뉴저지 연회 및 동펜실베이니아 연회), 정희수 감독(오하이오 감독구), 도티 에스코베도-프랭크 감독(캘리포니아-태평양 연회), 김규현 목사(캘리포니아주 오린다 소재의 열린교회 담임). (왼쪽 아래) 이재명 목사(뉴저지 보어히스 소재의 호프 연합감리교회, 넥서스(NEXUS) 회장), (오른쪽 아래) 김미강 목사(버지니아 한인연합감리교회).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그리스도의 몸된 한인총회, 치유와 선교를 향해 미래로

“다시, 그리스도의 몸: 돌아봄. 돌봄. 하나됨!”을 주제로 열린 2025년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는 예배와 강의, 선교 보고를 통해 교회의 공적 사명과 연대를 되기고, 공공교회의 비전을 중심으로 치유와 화해, 세대 간 협력하는 공동체로 나아갈 것을 다짐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