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KAUMC)가 뉴저지 이스트 브런즈윅의 갈보리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다시, 그리스도의 몸: 돌아봄. 돌봄. 하나됨!”(고린도전서 12:27)을 주제로 열렸다.
4일간 진행된 이번 총회에서는 미국 전역에서 모인 221명의 목회자와 평신도, 그리고 지도자들과 지역 교회의 참석자들이 함께 예배드리며, ‘공공교회’ 강의, 선교 보고, 회무, 그리고 교제의 시간을 가졌다.
대뉴저지 연회와 동펜실베이니아 연회를 섬기는 신띠아 무어-코이코이(Cynthia Moore-Koikoi) 감독은 “여러분의 존재 자체가 하나님의 복을 가져옵니다.”라며 한인총회 참석자들을 따뜻하게 환영했다. 그녀는 아프리카 속담인 “손님이 오면 복이 온다”를 인용하며, 갈보리교회의 “급진적 환대(radical hospitality)가 그리스도의 사랑을 드러내는 아름다운 실천”이라고 격려했다.
캘리포니아 카슨 소재 시온 한인연합감리교회 담임이자 지난 2년 동안 한인총회으로 섬겨온 이창민 목사는 “지난 한 해의 어려움 속에서도 여러분은 ‘우리를 지키기 위해’ 굳게 서 있었고, 오늘 우리는 다시 모였습니다.”라며 참석자들을 환영했다. 이어 이 목사는 “이 나흘 동안 서로를 돌아보고, 돌보며, 우리의 ‘우리됨’을 강화합시다.”라고 권면했다.

개회예배는 한국에서 온 퓨전 국악 찬양팀 ‘들리오’의 열정적인 찬양으로 시작되어, 회중의 박수와 함께 예배당을 뜨거운 찬양의 물결로 가득 채웠다. 이훈경 목사는 기도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정치적 양극화, 그리고 미국과 한반도의 분열로 상처 입은 세상을 위해 중보합니다. 우리를 복음의 도구이자 화해의 사신으로 사용해 주옵소서.”라고 간구했다.
이날 저녁 설교는 탄자니아에서 사역 중인 세계선교부 김영선(Christina) 선교사가 “돌아보니 은혜였습니다”(시편 103:2)를 주제로 전했다. 김 선교사는 “믿음은 단지 다음 사역을 향해 달려가는 것이 아니라, 잠깐 멈추어 서서 이미 주어진 은혜와 함께 걸어오신 하나님을 다시 인식하는 것입니다.”라고 강조했다. 김 선교사는 교단의 상처가 여전히 존재함을 인정하면서도, “교회의 머리는 변함없이 그리스도이십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것 자체가 은혜의 증거입니다.”라고 덧붙였다.

선교는 이번 총회의 핵심 주제 중 하나였다.
세계선교부 총무 주디 정 목사는 영상 보고를 통해 깨끗한 물, 위생, 농업, 여성 훈련 사역을 소개하며, “후원은 단지 재정 지원이 아니라, 기도와 동행의 약속입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본부선교사인 최재형 목사는 “140명의 선교사 후원은 ‘당신은 혼자가 아니다’라는 확신을 주는 희망의 겨자씨입니다.”라고 전했다. 또한 김은하 선교사는 “현재 41개 교회와 8명의 개인이 후원에 참여하고 있으며, 총 170명 선교사를 위한 후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7월 기준 총헌금액은 106,090달러입니다.”라고 후원금 모금 상황을 보고했다.
총회는 새로 안수받은 목회자들과 은퇴 목회자들을 축복하는 시간을 가지며, 세대 간 사역의 계승과 믿음의 연속성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어진 성찬식에서는 상처와 분열의 기억을 넘어 ‘그리스도의 몸’을 다시 새기며 은혜의 표징을 나누는 시간이 되었다.
성찬은 정희수 감독(오하이오 감독구), 도티 에스코베도-프랭크 감독(캘리포니아-태평양 연회), 신띠아 무어-코이코이 감독이 공동으로 집례했으며, 새 안수자 3명이 분급위원으로 참여했다.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시카고 노스파크대학교 철학교수 안일섭 박사가 “공공교회”를 주제로 이틀간 강연을 인도했다. 그는 “공공교회는 예배 공동체를 넘어 정치, 미디어, 교육, 시민사회 등 사회의 공적 영역 속에서 하나님의 정의와 평화 및 생명을 증언하고 실천하는 교회입니다.”라고 강조했다.
둘째 날(10월 1일), 안 교수는 “사과와 성찰(Apologies and Reckoning)”을 주제로 강연하며, “참된 공공교회는 식민지적 공모에 대한 지속적인 회개를 필요로 합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2015년 볼리비아에서 교황 프란치스코가 행한 사과를 그 출발점으로 언급하며, “공공교회는 역사를 직면하고, 성찰을 삶과 정책의 습관으로 전환하는 공동체입니다.”라고 덧붙였다.

연합감리교회 한인여선교회전국연합회 회장인 최만금 장로(산타클라라 연합감리교회)는 1993년부터 이어져 온 30년의 교육과 조직 사역을 회고하며, 현재 미 전역 9개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라고 보고했다. 그녀는 “훈련, 세미나, 연대를 통해 공적 증언을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목회자들의 격려와 기도, 그리고 참여를 부탁드립니다.”라고 요청했다.
그날 저녁, 뉴저지 보어히스 소재의 호프 연합감리교회(Hope United Methodist Church, Voorhees, NJ) 담임이자, 미 연합감리교회 내 차세대 한인 사역 단체인 넥서스(NEXUS) 회장 이재명(James Jaemyung Lee) 목사는 한(恨)과 정(情)의 언어로 가정, 평화, 차세대를 위한 기도를 인도하며, “분열을 화해로 변화시키소서.”라고 간구했다.

캘리포니아-태평양 연회의 리더십및교회활성화 디렉터인 서경덕(Ken K. Suhr) 목사는 “그리스도의 몸의 치유”(고린도전서 13:1–13)라는 제목의 설교에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가 상처를 입고 있으며, 치유가 필요합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회복을 위한 세 가지 길로 겸손, 사과, 그리고 성육신을 제시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서경덕 목사는 겸손에 대해 “진짜 예수님은 내가 알고 있는 예수님보다 더 크고 위대하신 분입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사과에 관해 자신의 경험을 나누며, “우리가 믿음을 가장 잘 증언하는 방법은 진심 어린 사과일지도 모릅니다.”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성육신에 대해 “예수께서 하늘의 안락함을 떠나 우리에게 오셨듯이, 우리도 축복을 받는 자에서 축복을 전하는 자로 나아가야 합니다. 손님으로서 듣고 배우는 자리로 나아갑시다.”라고 권면했다.
이어 20~30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위한 추수감사절 수련회인 ‘2030 컨퍼런스’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일리노이 어바나-샴페인 소재 예수사랑 한인연합감리교회의 김대욱 목사는 이 모임을 “청소년 자녀들과 함께 참여하는 동문이 늘어나며, 이제는 미국판 코스타(KOSTA)와 같은 집회로 자리 잡았습니다.”라고 설명했다. 올해 ‘2030 컨퍼런스’는 시카고에서 대면과 온라인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열릴 예정이다.

회무에서는 새 지도부를 선출하기에 앞서 헌장을 개정하고, 여러 대표 단체가 참여하는 공천위원회 구성을 의결했다. 이 위원회에는 한인교회를 섬기는 목회자뿐만 아니라, 넥서스(NEXUS),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NAKAUMPSCRA), 한인여성목회자전국연합회(NAKAUMC), 한인선교감리사회, 그리고 여선교회연전국연합회가 포함된다. 이러한 변화로 한인총회는 구성원의 다양성을 더욱 폭넓게 반영하고, 포용적이며 지도력을 공유하는 구조로 나아갈 기반을 마련했다.
수요일 저녁, 한인총회는 갈보리 한인연합감리교회의 창립 50주년 기념예배와 함께 진행되었다. 신띠아 무어-코이코이 감독과 정희수 감독이 예배에 참석했으며, 뉴욕의 토마스 J. 비커튼(Thomas J. Bickerton) 감독은 “갈보리교회의 신실한 증언을 축하합니다.”라는 축하 메시지를 보내왔다.

이날 설교에서 라리탄쇼어 지방감리사(Raritan Shore District)이자 전 갈보리교회 담임으로 섬겼던 도상원 목사는 “그리스도께서는 서로 적대하던 무리 사이의 벽을 허무시고, 성령 안에서 겸손과 온유, 인내로 하나 된 ‘새 인류,’ 곧 교회를 세우셨습니다.”라고 선포했다. 그는 또 “교회가 겸손과 상호 돌봄을 실천할 때, 분열된 세상 속에서 치유의 증인이 되어 하나님의 평화를 구현합니다. 즉, 강함이 아닌 약함이 우리를 진정 하나 되게 하는 힘임을 증거합니다.”라고 전했다.
마지막 날인 10월 2일, 폐회예배에 앞서, 한인총회는 산타클라라 연합감리교회 담임인 권혁인 목사를 차기 회장으로 선출했다. 권 목사는 “경청하며 함께 세워가겠습니다.”라며 앞으로의 한인총회를 향한 의지를 밝히고, 평신도 사역 강화하고 참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이임하는 이창민 목사는 누가복음 5:1–11 말씀을 본문으로 “우리의 교회와 세대는 그물처럼 서로 얽혀 있습니다. 목회자와 평신도, 젊은이와 어른이 그리스도 안에서 함께 엮일 때, 우리는 하나님을 위한 사람 낚는 그물이 됩니다.”라고 설교했다.
정희수 감독은 한인총회의 의의를 되새기며 이렇게 말했다.
“이번 모임을 특히 주목할 만한 이유는 한인연합감리교회가 ‘공공교회’를 주제로 담대히 이야기하고, 그 주제에 집중했다는 점입니다. 분열된 역사에 머물지 않고 교회의 공적 증언을 회복하려는 시도는 우리 한인 교회 공동체에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한인연합감리교회가 공공교회의 비전을 회복하고 복음을 이처럼 선포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자랑스럽습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한국/아시아 뉴스 디렉터인 김응선(Thomas E. Kim)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전화 615-742-54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 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