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스톤연회의 선교 열매, 대전 호수돈여중·고

한국 남부연회의 이전 주재감독이었던 안승철 감독과 3명의 한국 목사들이 홀스톤연회(테네시)의 디니 테일러 감독을 방문하고, 한국의 호수돈여중여고를 방문해달라고 초청했다. 사진설명: (왼쪽부터  백승범 목사, 고종욱 목사, 안승철 감독, 디니 테일러 감독, 로리 슬루더, 윤태훈 목사) 사진 제공, 홀스톤연회. 한국 남부연회의 이전 주재감독이었던 안승철 감독과 3명의 한국 목사들이 홀스톤연회(테네시)의 디니 테일러 감독을 방문하고, 한국의 호수돈여중·고에 초청했다. 사진설명: (왼쪽부터 백승범 목사, 고종욱 목사, 안승철 감독, 디니 테일러 감독, 로리 슬루더, 윤태훈 목사) 사진 제공, 홀스톤연회. 

지난 9월 17일, 홀스톤연회의 메리 '딘디' 테일러 감독이 한국에서 온 목사들의 방문을 받았다.

그들은 홀스톤연회 감독에게, 홀스톤연회에서 파송한 선교사들이 설립해서, 그 연회의 이름을 붙인 호수돈(홀스톤의 한국식 표기)여중과 여고를 방문해달라고 초대했다.

“오늘 저는 홀스톤연회가 120년 전 한국에 행한 선교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표하기 위해 이 자리에 왔습니다. 또한 테일러 감독님이 한국을 방문해줄 것을 정중히 초대합니다.” 남부연회의 이전 주재감독이었던 안승철 감독은 말했다.

호수돈여중/고등학교는 지금은 대전에 있다. 1899 년 미국의 남 감리교 홀스톤연회는 선교기금을 모으고, 아레나 캘롤을 선교사로 파송하고 개성에 학교를 시작하게 했다.

사라 아스킨이 미국의 남감리교 여성 선교의 역사에 관해 기록한 책에  따르면, “이 학교는 홀스톤연회의 헌금으로 세워졌고, 홀스톤재단으로 명명되었다. 이 학교는 도시 중심부의 언덕에 위치한 멋진 회색 석조 건물이었다.”

“당시 호수돈여학교가 시작될 때에는 여성들에게는 교육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여러분의 도움의 손길은 한국의 여성들에게 커다란 빛(영어에서 빛은 계몽을 의미하기도 한다.)을 선사했습니다.”라고 안승철 감독은 테일러 감독에게 말했다.

그 학교의 초대 교장이었던 에라스 웨그너는 에모리대학 묘지에 안장되었다고 테일러 감독은  말했다.

테일러 감독은 “그 학교 설립은 매우 사려 깊은 결정이었고, 이 기독교 학교는 한국에서 여성의 위치를 바꿔놓았습니다.”라고 말했다.

테일러 감독은 이 학교는 약 4만5천 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한국 최초의 여성 장군 역시 이 학교 출신이라고 말했다.  

호수돈여학교가 시작될 당시 한국은 일제의 억압하에 있었다. 안승철 감독은 “홀스톤연회의 선교사들은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지했다.”라고 말했다.

독립을 외치는 소녀들이 투옥되자, 웨그너 교장은 일본 경찰서를 찾아가, “학생들을 석방하고 차라리 나를 가둬라.”라고 외쳤다고 안승철 감독은 전했다.

안승철 감독은 웨그너 교장의 사역에 감사를 표하기 위해 그녀의 묘지를 방문하고 싶고, 가능한 한 빨리 웨그너 기념관을 세우고 싶다고 말했다.

이번 방문에는 안승철 감독 외에도 윤태헌 목사, 백성범 목사, 고종욱 목사 등도 함께했다.

테일러 감독은 내년에 안승철 감독이 한국을 방문하고 설교해달라는 초대에 긍정적으로 답했다.  그녀는 2018년 홀스톤연회 개회사에서 한국의 호수돈에 대한 내용을 포함했다. 테일러 감독은 홀스톤연회의 첫 여성 감독이다.

Bishop Marcus Matthews visits Holston Girls' Middle and High School in Daejeon, South Korea, in April 20162016년 4월, 와싱톤-볼티모어 연회의 마커스 매튜스 감독이 호수돈여중과 여고를 방문한 모습. 사진 제공 와싱톤-볼티모어 연회.

볼티모어-워싱턴 연회 주재감독이었던 마커스 매튜스도 2016년에 호수돈여자중학교를 방문한 적이 있다. 볼티모어-워싱턴연회는 한국 남부연회와 자매결연을 하고 있다.

한국 호수돈여중·고의 역사에 대한 정보가 있는 사람은 로리 스루더(Lori Sluder)에게 전화 865-690-4080 또는 [email protected]로 연락해주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영문 기사 보기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615-742-5470 또는 [email protected]로 하시기 바랍니다.

교회 역사
유석종 목사가 집필한 <애국지사 이대위>. 이대위 목사는 미주 한인사회를 이끌며 대한인국민회를 ‘나라 잃은 한인들의 가정부(假政府)’로 자리매김하게 했고, 미국 정부로부터 한인들의 독립적 지위를 인정받는 계기를 마련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일제 강점기 미주 독립운동을 이끈 이대위 목사 2

이대위 목사는 미주 한인사회를 이끌며 대한인국민회를 ‘나라 잃은 한인들의 가정부(假政府)’로 자리매김하게 했고, 미국 정부로부터 한인들의 독립적 지위를 인정받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는 독립운동과 교회 사역을 병행하며 한글 식자기를 발명하는 등 언론·교육 발전에도 기여했고, 생애 마지막 순간까지 복음과 민족을 위해 헌신했다.
선교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에 소재한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개회예배에서,  연합감리교회 총감독회 회장인 트레이시 S. 말론 감독이 <시대를 넘어 아시아>를 넘으라는 제목으로 설교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와 신앙, 더 나아가 선교의 미래를 함께 나누는 자리였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시대를 넘어, 아시아를 넘어

말론 감독은 “하나님의 선교는 언제나 앞에서 우리를 이끌어 주십니다. 하나님의 성령은 여전히 역사하고, 그리스도는 여전히 부르시며, 복음은 여전히 기쁜 소식입니다—상한 마음에 주는 기쁜 소식, 은혜를 갈망하는 세상과, 정의를 갈망하는 세상에 전하는 기쁜 소식입니다.”라고 강조한다.
교회 역사
1914년 촬영된 여러 신랑 신부의 합동 결혼식  사진. 이대위 목사는 뒷줄 중간에 있다. 사진 제공, 유석종 목사.

일제 강점기 미주 독립운동을 이끈 이대위 목사 1

이대위 목사는 “단순히 개인의 영적 구원에 머물지 않고, 공동체와 민족의 구원이라는 더 큰 목표 속에서 목회했다… 하나님 사랑과 나라 사랑은 한 샘에서 나온다… 우리가 성령으로 세례를 받듯 애국 열성의 피로 세례를 받고 나라와 민족을 위해 자신을 내어줄 때, 의로우신 하나님께서 반드시 금수강산의 복지를 되찾게 하실 것이라고 확신했다.”라고 유석종 목사는 기록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