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스톤연회의 선교 열매, 대전 호수돈여중·고

한국 남부연회의 이전 주재감독이었던 안승철 감독과 3명의 한국 목사들이 홀스톤연회(테네시)의 디니 테일러 감독을 방문하고, 한국의 호수돈여중여고를 방문해달라고 초청했다. 사진설명: (왼쪽부터  백승범 목사, 고종욱 목사, 안승철 감독, 디니 테일러 감독, 로리 슬루더, 윤태훈 목사) 사진 제공, 홀스톤연회. 한국 남부연회의 이전 주재감독이었던 안승철 감독과 3명의 한국 목사들이 홀스톤연회(테네시)의 디니 테일러 감독을 방문하고, 한국의 호수돈여중·고에 초청했다. 사진설명: (왼쪽부터 백승범 목사, 고종욱 목사, 안승철 감독, 디니 테일러 감독, 로리 슬루더, 윤태훈 목사) 사진 제공, 홀스톤연회. 

지난 9월 17일, 홀스톤연회의 메리 '딘디' 테일러 감독이 한국에서 온 목사들의 방문을 받았다.

그들은 홀스톤연회 감독에게, 홀스톤연회에서 파송한 선교사들이 설립해서, 그 연회의 이름을 붙인 호수돈(홀스톤의 한국식 표기)여중과 여고를 방문해달라고 초대했다.

“오늘 저는 홀스톤연회가 120년 전 한국에 행한 선교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표하기 위해 이 자리에 왔습니다. 또한 테일러 감독님이 한국을 방문해줄 것을 정중히 초대합니다.” 남부연회의 이전 주재감독이었던 안승철 감독은 말했다.

호수돈여중/고등학교는 지금은 대전에 있다. 1899 년 미국의 남 감리교 홀스톤연회는 선교기금을 모으고, 아레나 캘롤을 선교사로 파송하고 개성에 학교를 시작하게 했다.

사라 아스킨이 미국의 남감리교 여성 선교의 역사에 관해 기록한 책에  따르면, “이 학교는 홀스톤연회의 헌금으로 세워졌고, 홀스톤재단으로 명명되었다. 이 학교는 도시 중심부의 언덕에 위치한 멋진 회색 석조 건물이었다.”

“당시 호수돈여학교가 시작될 때에는 여성들에게는 교육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여러분의 도움의 손길은 한국의 여성들에게 커다란 빛(영어에서 빛은 계몽을 의미하기도 한다.)을 선사했습니다.”라고 안승철 감독은 테일러 감독에게 말했다.

그 학교의 초대 교장이었던 에라스 웨그너는 에모리대학 묘지에 안장되었다고 테일러 감독은  말했다.

테일러 감독은 “그 학교 설립은 매우 사려 깊은 결정이었고, 이 기독교 학교는 한국에서 여성의 위치를 바꿔놓았습니다.”라고 말했다.

테일러 감독은 이 학교는 약 4만5천 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한국 최초의 여성 장군 역시 이 학교 출신이라고 말했다.  

호수돈여학교가 시작될 당시 한국은 일제의 억압하에 있었다. 안승철 감독은 “홀스톤연회의 선교사들은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지했다.”라고 말했다.

독립을 외치는 소녀들이 투옥되자, 웨그너 교장은 일본 경찰서를 찾아가, “학생들을 석방하고 차라리 나를 가둬라.”라고 외쳤다고 안승철 감독은 전했다.

안승철 감독은 웨그너 교장의 사역에 감사를 표하기 위해 그녀의 묘지를 방문하고 싶고, 가능한 한 빨리 웨그너 기념관을 세우고 싶다고 말했다.

이번 방문에는 안승철 감독 외에도 윤태헌 목사, 백성범 목사, 고종욱 목사 등도 함께했다.

테일러 감독은 내년에 안승철 감독이 한국을 방문하고 설교해달라는 초대에 긍정적으로 답했다.  그녀는 2018년 홀스톤연회 개회사에서 한국의 호수돈에 대한 내용을 포함했다. 테일러 감독은 홀스톤연회의 첫 여성 감독이다.

Bishop Marcus Matthews visits Holston Girls' Middle and High School in Daejeon, South Korea, in April 20162016년 4월, 와싱톤-볼티모어 연회의 마커스 매튜스 감독이 호수돈여중과 여고를 방문한 모습. 사진 제공 와싱톤-볼티모어 연회.

볼티모어-워싱턴 연회 주재감독이었던 마커스 매튜스도 2016년에 호수돈여자중학교를 방문한 적이 있다. 볼티모어-워싱턴연회는 한국 남부연회와 자매결연을 하고 있다.

한국 호수돈여중·고의 역사에 대한 정보가 있는 사람은 로리 스루더(Lori Sluder)에게 전화 865-690-4080 또는 [email protected]로 연락해주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영문 기사 보기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615-742-5470 또는 [email protected]로 하시기 바랍니다.

신학
 <만인성도주일>이 다가오고 있다. 연합감리교인들은 장례 예배와 추모 예배를 드리며 죽은 사람들을 향한 하나님의 자비와 돌보심을 간구합니다. 사진, 케이트 배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인들도 죽은 사람들을 위한 기도를 드립니까?

만인성도주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연합감리교회에서는 11월 1일 <만인성도일(All Saints Day)> 또는 11월 첫 주일을 <만인성도주일>로 지킵니다. 이와 관련하여 왜 연합감리교인들이 추모 예배를 드리고 죽은 사람들을 위한 기도를 드리는지 신학적이고 역사적인 배경을 살펴봅니다.
선교
2025년 10월 22일, 아시아선교지도자대회 마지막 날, 캄보디아 프놈펜에 위치한 세계선교부 캄보디아 사무소 앞에 캄보디아 선교회 직원들과 아시아 선교 지도자들과 세계선교부 관계자들이 함께 모였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아시아 선교 지도자들 선교의 미래를 함께 그리다

캄보디아에서 열린 세계선교부 아시아선교지도자대회에서 참석자들은 협력과 현지 사역자들의 권한 강화를 비롯해, 성령의 부르심 아래 함께 미래를 그려가는 공동의 선교 비전을 나누었다.
사회적 관심
폴 공(Paul Kong) 목사가 캄보디아 프놈펜의 희망직업학교에서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서 빗물 저장 탱크가 식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인 <희망의다리>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동남아시아에서 신앙과 과학이 만나 ‘생명수’를 길어 올린다

2025년 10월 13~17일, 프놈펜 희망직업학교에서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 동남아 5개국의 교회와 사역자들이 참여해 물 부족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식수 확보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 <희망의다리>가 공동 주최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