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 하나요? (9부)

<연합감리교회에 관해 물어보세요(Ask The UMC)>는 연합감리교회의 미래에 대해 고민하면서 교단을 탈퇴해야 하는지, 또 만일 탈퇴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궁금해하는 교회들의 질문에 계속해서 답하려 합니다. 

이 글은 그러한 오해나 잘못된 정보에 대해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특집 연재의 아홉 번째 기사입니다. 이 글은 장정 ¶2553의 미래와 장정 ¶2553에 의거한 교단 탈퇴가 허용되지 않거나 중단된 연회들 그리고 교단을 떠나는 교회에 파송되었지만, 교단에 남고자 하는 목회자들과 관련된 질문들을 다룹니다.

연재의 다른 기사들은 아래 기사 관련 시리즈 보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연합감리교회의 미래나 교단 탈퇴 절차에 관해 궁금하시거나 질문이 있으시면, [email protected] 또는 [email protected]로 연락주시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의견이 향후 기사들을 작성하고, 소통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하나요?

30. 차기 총회에서 장정 ¶2553의 효력을 연장할 것인가요

두 가지 대답이 가능합니다: “그렇지 않다”와 “알 수 없다”입니다.

첫째,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장정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은 오직 총회만 가지고 있습니다. 장정 ¶2553의 효력은 2023년 12월 31일에 소멸하는데, 차기 총회는 2024년에 예정되어 있어, 차기 총회가 열리는 시점에 해당 조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총회가 장정 ¶2553와 비슷한 것을 승인하려면, 현재 조항의 연장이 아닌 새로운 조항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둘째, 알 수 없습니다. 장정 ¶2553의 효력이 유지되는 현시점에서 총회는 아직 만료일이 다른 청원안을 받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총회에 그 같은 청원안이 제출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총회 대의원들이 현장에서 제기하고 채택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그 두 가지 중 한 가지가 일어나는 것은 현재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습니다.

 

31. 장정 ¶2553에 의한 교회의 교단 탈퇴를 금하는 연회가 있나요?

연합감리교회는 교단적으로 그와 같은 일을 한 적이 없습니다. 다만 장정 ¶2553이 적용되는 미국 내 연회의 두 곳에서 서로 다른 이유로 그러한 결정을 내렸습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연회 지도자들과 재단이사회는 연회 내 어떤 교회도 장정 ¶2553에 합당한 탈퇴 자격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해당 조항은 탈퇴 요청으로 다음의 두 가지를 제시합니다.

첫째, 연회의 교회들이 2019년 특별 총회 회기에 인간의 성 문제와 관련해 총회가 승인한 법안에 동의하지 않은 것입니다. 하지만 사우스캐롤라이나 연회에 소속된 교회들은 2019년에 채택된 변화에 동의합니다.

또 다른 요건은, 연회가 행동 혹은 행동하지 않음으로 그 변화를 시행하지 않는 것입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연회는 그 변화를 온전히 시행해 왔습니다. 따라서 사우스캐롤라이나 연회 소속의 어떤 교회도 장정 ¶2553에 의거한 탈퇴할 자격을 갖추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본 연재의 여덟 번째 기사 29번 질문에 쓰인 대로, 사우스캐롤라이나 연회는 장정 ¶2553 대신 장정의 다른 조항에 근거한 대안적 탈퇴 규정들을 시행해 왔습니다. 

북조지아 연회의 재단이사회는 탈퇴에 관한 투표를 알리기 위해 사용된 거짓 정보나 명예를 훼손하는 주장에 대해 우려를 표하면서, “현재 북조지아 연회 재단이사회는 탈퇴 동의안들이 적절한 절차에 따라 작성되었다고 판단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에 더 이상 연회에 청원안을 제출하지 않겠다.”라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탈퇴를 위한 투표를 위해 연회로 청원안을 보내는 것은 재단이사회의 일이며, 탈퇴를 완료하는 마지막 절차는 연회의 승인이기 때문에, 연회 재단이사회의 이 같은 결정은 해당 연회 내에서 장정 ¶2553을 사용해 교단을 탈퇴하는 절차가 중단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합니다.

다만, 연합감리교회 내에서 이 같은 입장을 취한 곳은 오직 이 두 연회뿐입니다. 

 

32. 탈퇴하는 교회에 파송되었던 목회자가 교단에 잔류하기를 희망할 경우, 그들을 다른 교회로 파송하나요?

네, 가능한 파송지가 생기는 대로 그렇게 할 것입니다. 

그러나 유효 탈퇴일이 정식 파송 주기 중 어느 시점에 오느냐에 따라, 즉각적으로 파송 가능한 목회지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파송된 교회의 교단 탈퇴로 목회지를 잃은 연회의 준회원이나 협동회원 또는 정회원 목회자들은 다음 파송이 이루어질 때까지 과도기적 휴직(transitional leave) 상태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한편, 타 교단 목회자로서 연합감리교회 감독의 파송을 통해 사역 중인 이들은 그들의 교단을 통해 목회자로서의 지위는 유지하지만, 다음 파송을 받을 때까지 과도기적 휴직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 있으며, 사역지를 잃은 본처목사(local pastor)들은 다시 파송될 때까지 목회 인허를 받지 못한 것으로 간주될 것입니다.

원문 보기 

기사 관련 시리즈 보기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 하나요? (1부)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 하나요? (2부)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하나요? (3부)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하나요? (4부)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하나요? (5부)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하나요? (6부)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 하나요? (7부)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 하나요? (8부)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 하나요? (10부)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 하나요? (11부)

 

기사는 연합감리교 공보부의 사역인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email protected] 이메일 또는 전화 615-742-5109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신학
조엘 마르티네스(Joel Martínez) 감독이 2011년 텍사스 엘파소에 있는 리디아 패터슨 신학교(Lydia Patterson Institute)에서 개최된 연합감리교회 히스패닉 전국 단체인 마차(MARCHA) 모임의 개회 예배에서 성찬식을 집례하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성만찬 테이블 위에 놓아야 할 것과 놓지 말아야 할 것에는 무엇이 있나요?

성만찬 테이블에 있어야 할 것은 성찬식을 거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신학
뉴올리언즈의 제일그레이스연합감리교회 션 모세 목사(오른쪽)가 교회에 등록한 교인 가정을 환영하고 있다. 사진, 캐티 길버트,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으로 등록한다는 의미는?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이 된다는 것은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고자 오셨던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이들의 모임에 동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선교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연례회의가 2025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뉴저지주 티넥(Teaneck)에서 열렸다. (앞줄 왼쪽부터) 장학순 목사, 김성실 권사, 정희수 감독, 전주연 목사, 이형재 목사, 방지민 목사. (뒷줄 왼쪽부터) 원홍연 목사, 권혁인 목사, 이재명 목사, 박미소 목사, 이푸르메 목사.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선교 전략과 사역 방향 새롭게 다듬다

한인목회강화협의회는 향후 3년에서 5년 이내에 자립 가능한 한국어 회중 12곳과 영어 회중 5곳을 개척하는 것을 특별한 목표로 세우고 있다. 참석자들은 새 교회 개척 현황과 자립 여정을 보고받으며, 그 비전이 이미 현실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