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 인종과 소수 민족 교회 사역을 돕는 기금

연합감리교회 제자사역부(Discipleship Ministries)는 소수인종/민족 지역 교회를 위한 특별 기금인 소수인종/민족기금(RELCC: Racial Ethnic Local Church Concerns)을 마련하여,  소수인종/민족 지역 교회가 해당 교회와 지역사회에서 그리스도의 제자를 양성하는 리더십 훈련, 소그룹 활동, 예배, 청지기 훈련, 영성 형성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강화하는 데 필요한 재정을 지원한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이 기금은 특히 세상을 변화시킬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를 양성하고 성장시키며, 총독회가 발표한 연합감리교회의 새로운 비전인 “연합감리교회는 성령의 능력으로 담대하게 사랑하고, 기쁨으로 섬기며, 지역 공동체와 세계 공동체 가운데서 용기 있게 이끄는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을 양성합니다.”를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사역에 우선권이 주어진다.

이 지원금의 신청 마감일은 2025년 9월 1이며, 최대 $10,000까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제자훈련사역부가 발표한 소수인종/민족기금 신청

이 기금 신청에 앞서 제자훈련사역부가 발표한 소수인종/민족기금 신청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사역/프로젝트는 미국에 기반을 둔 지역 연합감리교회 또는 미국 내 연합감리교회에 속한 교회 또는 기관 프로젝트여야 한다.
  2. 사역/프로젝트는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를 만드는 사명과 목회에 직접적으로 기여해야 하며, 연합감리교회의 교리 및 사회 원칙과 일치해야 한다.
  3. 사역/프로젝트는 증언과 선교를 위해 소수 인종/민족 개체교회를 개발하고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4. 사역/프로젝트는 제자훈련사역부가 강조하는 다음 핵심 사역과 관련되어야 한다.
  • 성숙한 제자도
  • 기독교 교육
  • 교육과정 자료
  • 전도
  • 가정/가족 사역
  • 평신도 사역
  • 리더십 개발
  • 영성 형성
  • 청지기직
  • 예배

미국 지역총회마다 개의 교회에 기금이 배당되며, 기금 신청을 위해서는 제자사역부의 선교 전략에 부합하는 다음 세 가지를 충족해야 한다.

  • 기존 교회의 제자 삼기 사역 프로그램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확장하려는 사역
  • 종교에 관심이 없거나 종교가 필요 없다고 여기는 교회 밖의 사람들을 환대하고 초대하는 사역
  • 백인 이외의 인종, 즉 아시안 또는 아시아계 미국인, 흑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히스패닉/라틴계 미국인, 아메리칸 인디언 또는 알래스카 원주민, 하와이 원주민 또는 기타 태평양 섬 원주민계 및 다민족 교회를 강화하는 사역

소수민족/인종기금은 매년 제공되는 지원 프로그램으로, 새로운 사역이나 프로그램에 우선권이 주어진다. 단, 이 기금은 인건비, 장비 구입, 또는 건물 관련 비용 등에는 사용할 수 없다.

올해는 특별히 연합감리교 제자사역부가 6월 18일에 예비 지원자들을 위한 웨비나를 열고, 제안된 프로그램의 계획과 평가 및 보조금 신청에 관해 자세히 안내할 예정이므로, 웨비나에 참여하길 원하는 사람은 나오미 아난데일(Naomi Annandale)에게 이메일로 문의하여 링크를 받으면 된다.

기금 신청은 온라인으로만 가능하며, 신청서 작성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제자사역부 소수인종사역기금 페이지를 방문하거나, 무료 전화 (877) 899-2780, ext. 1743 또는 기금 담당자인 나오미 아난데일(Naomi Annandale)에게 이메일([email protected])로 문의하면 된다.

한국어 상담을 원하는 경우에는 한인, 아시아계 및 태평양계 미국인 사역 담당인 김광기(David Kim) 목사에게 (877) 899-2780, ext. 7050으로 연락하거나, 이메일([email protected]) 하면 된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Thomas E. Kim)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더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선교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연례회의가 2025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뉴저지주 티넥(Teaneck)에서 열렸다. (앞줄 왼쪽부터) 장학순 목사, 김성실 권사, 정희수 감독, 전주연 목사, 이형재 목사, 방지민 목사. (뒷줄 왼쪽부터) 원홍연 목사, 권혁인 목사, 이재명 목사, 박미소 목사, 이푸르메 목사.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선교 전략과 사역 방향 새롭게 다듬다

한인목회강화협의회는 향후 3년에서 5년 이내에 자립 가능한 한국어 회중 12곳과 영어 회중 5곳을 개척하는 것을 특별한 목표로 세우고 있다. 참석자들은 새 교회 개척 현황과 자립 여정을 보고받으며, 그 비전이 이미 현실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선교
2025년 9월 29일-10월 2일 뉴저지주 이스트 브룬스위크에 소재한 갈보리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개회예배에서 참석자들이 찬양하고 있다. 콜라주 사진, (위) 신띠아 무어-코이코이 감독(대뉴저지 연회 및 동펜실베이니아 연회), 정희수 감독(오하이오 감독구), 도티 에스코베도-프랭크 감독(캘리포니아-태평양 연회), 김규현 목사(캘리포니아주 오린다 소재의 열린교회 담임). (왼쪽 아래) 이재명 목사(뉴저지 보어히스 소재의 호프 연합감리교회, 넥서스(NEXUS) 회장), (오른쪽 아래) 김미강 목사(버지니아 한인연합감리교회).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그리스도의 몸된 한인총회, 치유와 선교를 향해 미래로

“다시, 그리스도의 몸: 돌아봄. 돌봄. 하나됨!”을 주제로 열린 2025년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는 예배와 강의, 선교 보고를 통해 교회의 공적 사명과 연대를 되기고, 공공교회의 비전을 중심으로 치유와 화해, 세대 간 협력하는 공동체로 나아갈 것을 다짐했다.
교회 역사
장 레옹 제롬(Jean-Léon Gérôme, 1883) 작, 〈그리스도인 순교자들의 마지막 기도(The Christian Martyrs’ Last Prayer)〉Netflix official trailer 화면 갈무리.

그리스도인, 세상 권력에 맞선 고백의 유산

현혜원 목사는 “기독교 국가주의는 미국을 '하나님이 특별히 선택한 나라’로 신성시하며, 국가의 정체성을 기독교 신앙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만들고, 국가를 교회의 십자가와 국기로 상징화하여 국가를 신성시하는 우상 숭배적 오류에 빠지게 한다.”라고 말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