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에서 말하는 평화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우리가 평화로 번역하는 히브리어 단어는 “샬롬(שָׁלוֹם)”입니다.

"샬롬"은 평온함과 갈등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보다 샬롬, 즉 평화는 하나님과 사람들 그리고 피조물 간의 올바른 관계에서 오는 결과를 이야기합니다. 평화의 개념은 모든 삶에 흠이 없는 온전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연합감리교회 총감독회는 1986년에 발표한 “창조를 지키기 위해”라는 성명서에서 평화의 성서적 근거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구약 성경의 핵심에는 평화를 의미하는 멋진 히브리어 단어인 샬롬이 있습니다. 샬롬이 말하는 그 평화는 부정적이거나 일차원적인 의미가 아닌, 전쟁이 없는 상태 그 이상이며, 모든 인간관계 속에서의 조화와 온전한 상태 및 건강과 복지 같은 긍정적인 평화를 내포합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자연 상태의 인간성이며, 인간과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모든 피조물 간의 조화입니다. 모든 창조물은 상호 연관되어 있습니다. 모든 창조물, 모든 요소, 모든 자연의 힘이 창조 세계 안에서 각자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어떤 한 사람이라도 샬롬을 얻지 못하면, 이는 모든 사람에게 피해를 줍니다.” (정의와 평화주일 특별 헌금에 관하여, 2016 총회 결의집)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신약 성서인 에베소서 1장을 보면, 바울은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라고 편지를 시작합니다.

총감독회는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바울은 편지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의 화평이신지라.’라고 선포했습니다. 이는 그리스도께서 ‘둘로 하나를 만드사 원수 된 것 곧 중간에 막힌 담을 허시고, 자기 안에서 한 새 사람을 지어 화평하게 하시며, 원수 된 것을 화목하게 하려 하신 분’이라는 말입니다.”

또한 연합감리교인들은 이렇게 고백합니다.

“하나님의 땅은 평화를 갈망합니다. 하지만 가정불화, 사람들 사이의 폭력과 학대, 내전을 비롯한 민족과 인종 간의 충돌, 종교적 분열 및 종교 사이의 갈등 그리고 테러 공격, 국가 간의 전쟁, 핵, 화학 및 생화학 무기 사용 위협 등 이 모든 것이 하나님의 샬롬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방해 요소입니다.” (평화건설을 위한 요청, 2016 총회 결의집)

“성경은 이사야 32장 17절과 야고보 3장 18절에서 정의를 평화와 뗄 수 없는 불가분의 요소로 여깁니다. 두 성경 구절 모두 인간 사회의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관계 및 지구와 연관된 생명력과 창조의 온전함 그리고 웰빙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정의와 평화를 별개로 떼어서 생각하는 것은 ‘정의와 평화가 입을 맞추리라.’(시편 85:10, 공동번역)라는 소망을 위태롭게 하는 것입니다.” (연합감리교회와 평화, 2016 총회 결의집)

평화는 어떤 모습일까요? 평화가 임하면, 아무도 굶주리지 않으며, 자신을 지키기 위해 남을 희생시키지 않으며, 서로의 번영을 돕고, 다름은 모두의 유익을 위한 재능으로 인정받으며, 외부의 위협이 있다 할지라도 우리가 살아갈 수 있는 최선의 충만한 삶을 사는 것을 방해받지 않습니다. 평화가 임하면, 모든 것이 기쁨의 터전이 됩니다.

우리가 평화를 간구하고 서로에게 그리스도의 평화를 나누면, 우리는 온전함을 이루기 위해 세계 질서를 재정리하는 하나님의 영원한 평화의 통로가 됩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성령 안에서 행동하면, 우리는 “미움이 있는 곳에 사랑의 씨를 뿌리고, 상처가 있는 곳에 용서를 베풀며, 어둠이 있는 곳에 빛을 비출 수 있습니다. 평화와 정의의 도구로서 우리는 다툼을 조화로 바꾸고, 샬롬의 온전함을 해치는 상처로부터 회복할 수 있습니다.” (정의와 평화주일 특별 헌금에 관하여, 2016 총회 결의집)

바울의 편지는 평화가 아직 결정되지 않은 미래의 일로 우리가 기다려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확신시켜줍니다. 지금 이 순간 하나님께서 평화를 우리 위에 부어주고 계십니다.

총감독회의 성명서는 “아무리 나쁜 일이 벌어지고 있어도, 하나님의 창조 사역은 계속됩니다. 그리스도의 부활은 죽음과 파괴가 최후의 승자가 아님을 확증합니다. 바울은 골로새서 1:20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께서 모든 피조물을 구속하시고 땅에 있는 것들이나 하늘에 있는 것들이나 다 화해시키셨다’라고 말합니다. 하나님의 영은 빈곤과 싸우고, 생명을 회복하며, 창조를 새롭게 하고, 민족들을 화해시키기 위해 일하는 모든 곳에서 항상 함께 일하고 계십니다.” (정의와 평화주일 특별 헌금에 관하여, 2016 총회 결의집)

 

관련 기사 보기

평화는 동사입니다

평화에 관한 자료 보기

The UMC and Peace

A Call for Peacemaking

Peace with Justice Sunday

Becoming a Peacemaker: A Reflection

Living as a Person of Peace in a Broken World

 

기사는 연합감리교 공보부의 사역인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전화 (615-742-5109)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신학
클라우디아 텔리 운게산이 코트디부아르의 맨에 소재한 템플 엠마누엘 연합감리교회 예배에서 찬양을 부르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부활절은 언제까지이고, 그다음은 무슨 절기인가요?

부활절 절기는 부활절 주일 전날인 토요일 일몰에 시작하여, 성령의 오심과 교회의 탄생을 축하하는 오순절이 시작하는 50일 간으로, 그리스도인들이 신앙 안에서 성장하도록 돕는 시기입니다.
사회적 관심
연합감리교회 사회부는 연합감리교인들에게 자신들의 지역구 의원들에게 한반도평화법안(H.R. 1841) 발의자로 참여할 것을 요청하라고 촉구했다. 사진은 한국전쟁 정전협정 70주년인 2023년 7월 27일, 수백 명의 한반도 평화 운동가들이 백악관 앞 라파예트 광장을 출발해 링컨기념관까지 평화통일 기원 행진을 하는 모습이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 사회부 한반도평화법안(H.R.1841) 지지 요청

연합감리교회 사회부는 교인들에게 자신이 속한 지역구의 연방 하원의원에게 한반도평화법안(H.R.1841)의 공동 발의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하라고 촉구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