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이민 1세대가 안수 과정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위한 해결방안

2014년, 한인목회강화협의회와 한인총회(KAUMC)는 연합감리교회의 한인 이민 1세대 안수와 관련한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미래위원회 분과인 한인 목회자 안수 문제연구 특별소위원회(task force)를 만들었다.

특별소위원회는 연합감리교회 사역자 안수를 원하는 한국인 1세대의 경험을 연구 분석하였다. 한인총회는 이 분석결과를 안수 후보자의 효과적 지원과 안수 과정의 평등하고 포용적인 면을 만드는 데 사용할 것이다. 이 위원회의 구성원은:

Grace Pak(박신애)목사, 태스크 포스 회장
Paul Chang(장학순) 목사,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조건삼 목사
한의준 목사
강혜경목사
박희로 목사, 총회고등교육사역부

“연합감리교회에서 한인들이 안수를 받는 과정과 관련된 문제는 많은 복잡한 측면과 여러 양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연합감리교회가 세계를 향한 예수 그리스도의 신실한 증인의 역할을 계속해서 감당해 가길 희망하며 우리는 이러한 부분들에 대해 검토하였습니다.”라고 위원회 회장 박신애 목사는 말했다. 박 목사는 “저는 이 보고서가 하나님의 소명을 따르는 연합감리교회 모든 소수 민족 공동체의 경험과 어려움들을 나타내고 있다고 믿습니다.”라고 말하며 이 연구가 한인 공동체를 넘어서 다른 공동체에게도 이익이 될 것으로 믿고 있다.

이 위원회는 24명의 한국인 1세대 한인 안수 후보자들을 인터뷰하고 설문조사를 했으며, 그중 19명이 설문조사에 응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4가지 주요이슈가 드러났다.

연대성 안의 네트워크 기회 부족

이 설문조사의 응답자는 모두 미국 외에서 출생했으며, 미국 거주 기간이 평균 4년 정도이다. 이로 인해 지원할 수 있는 관계성과 네트워크의 기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설문조사를 통해 위원회는 한인 안수 사역후보자들을 한인총회나 지역 한인 목회자 모임에서 소개하는 시간을 갖는 것과 한인공동체 안의 미래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언어와 문화의 차이

설문 응답자의 절반은 그들이 안수 과정 인터뷰를 할 때 한국어 통역자가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에 따른 위원회의 제안 안 중 하나는 필요와 요청에 따라 안수위원회가 한인 통역자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청원안을 2016년 연합감리교회 총회에 제출하는 것이다. 또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언어장벽의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는 미국의 문화에 익숙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위원회는 소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에 관한 워크숍과 멘토링을 고려하고 있다.

합법적인 이민 신분

시민권 신분 또한 한국인 1세대 후보자들의 안수 과정에 어려움이 되고 있다. 53퍼센트의 안수 후보자들이 그들의 비자와 이민 신분 상태가 안수 과정에 영향을 끼친다고 응답했다. 특별위원회는 또한 많은 연회들이 안수 후보자의 합법적인 이민 신분을 돕기 위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적었다. 위원회는 후보자의 이민 신분이 안수 과정을 막거나 진행하는 데 방해가 되지 말아야 하며, 이민신분 이슈를 돕기 위한 자료를 안수 후보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이와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공식적으로 2020 총회에서 다룰 것을 제안하였다.

인종/민족 차별의 경험

안수 후보자들의 응답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대다수에게는 차별(불평등)은 이슈가 되지 않는다고 했다. 21 퍼센트의 응답자만이 안수 과정에서 인종차별 또는 편견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이 응답은 차별을 경험하는 안수 후보자들을 경청하고 안내할 수 있는 평등과 정의 위원회를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안에 만드는 것을 이 위원회가 제안하기에 충분했다.

박 목사는 이 보고서가 우리 교단이 앞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촉매 역할을 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우리가 연합감리교회 내의 안수 과정과 정회원에 따른 이러한 이슈들이 아주 복잡하다는 것을 이해하며, 우리가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따르는데 우리 교단이 더욱 돕고 힘쓸 수 있는 전략과 계획을 세워가야 합니다”라고 박 목사는 말했다.

이 기사는 총회고등교육사역부(GBHEM)의 기사를 번역한 글입니다.

글쓴이: Tyrus Sturgis, Senior Communications Specialist
올린날: 2015년 10월 22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사회적 관심
폴 공(Paul Kong) 목사가 캄보디아 프놈펜의 희망직업학교에서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서 빗물 저장 탱크가 식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인 <희망의다리>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동남아시아에서 신앙과 과학이 만나 ‘생명수’를 길어 올린다

2025년 10월 13~17일, 프놈펜 희망직업학교에서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 동남아 5개국의 교회와 사역자들이 참여해 물 부족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식수 확보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 <희망의다리>가 공동 주최했다.
신학
뉴올리언즈의 제일그레이스연합감리교회 션 모세 목사(오른쪽)가 교회에 등록한 교인 가정을 환영하고 있다. 사진, 캐티 길버트,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으로 등록한다는 의미는?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이 된다는 것은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고자 오셨던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이들의 모임에 동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선교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연례회의가 2025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뉴저지주 티넥(Teaneck)에서 열렸다. (앞줄 왼쪽부터) 장학순 목사, 김성실 권사, 정희수 감독, 전주연 목사, 이형재 목사, 방지민 목사. (뒷줄 왼쪽부터) 원홍연 목사, 권혁인 목사, 이재명 목사, 박미소 목사, 이푸르메 목사.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선교 전략과 사역 방향 새롭게 다듬다

한인목회강화협의회는 향후 3년에서 5년 이내에 자립 가능한 한국어 회중 12곳과 영어 회중 5곳을 개척하는 것을 특별한 목표로 세우고 있다. 참석자들은 새 교회 개척 현황과 자립 여정을 보고받으며, 그 비전이 이미 현실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