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을 준비

가을은 죽음을 준비하는 계절이다. 한 여름 내내 무성한 잎사귀를 내며 있는 대로 가지를 뻗쳐 간 나무들이 가을이 깊어갈수록 하루가 달리 모습이 변해간다. 가장 빨리 변하는 것은 잎사귀 색깔이다. 하지만 아무리 빨갛고 노랗고 형형색색으로 물들어 그 자태를 한껏 뽐낸다 해도 금방 시들시들하다 떨어져 버린다. 그래서 가을은 ‘떨어짐’(Fall)의 계절이다. 이 떨어짐에 착안하여 사람들은 ‘인생의 황혼기’를 가을과 견준다. 그렇다면 죽음은 다름 아닌 ‘삶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죽음은 모든 사랑하는 것들과의 결별이며 또 다른 출발을 위한 종착점인 것이다. 그렇다면 마땅히 이 결별을 준비해야 하지 않겠는가? 종착점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가까이 나아가는데 자신은 아직도 출발점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생각한다면 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그러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인생의 허무는 ‘사람은 반드시 죽는다’는 사실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조금씩 다가오는 죽음을 전혀 준비하지 않는 그 어리석음에 있다 할 것이다 (전도서 7:4, “지혜로운 사람의 마음은 초상집에 가있고 어리석은 사람의 마음은 잔칫집에 가있다” - 표준새번역).

사람은 내일 일을 알지 못한다. 아니,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존재이다. 그러기에 더욱 죽을 준비를 해야 한다. 사실, 황혼기에 접어든 자들만이 그렇지 않은 자들보다 죽음에 더 가까운 것은 아니다. 살아갈 날이 한창인 나이에, 아직 죽을 때가 아닌데 갑자기 죽는 것을 가리켜 ‘요절’(夭折, untimely death)이라 한다. 주변에는 이 시기 상조의 죽음을 당한 사람들이 부지기수다. 문제는 누구도 이 요절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항상 죽을 준비를 해야 한다. 모든 사랑하는 것들과의 결별이 먼 장래에 있지 않다는 것을 알고 살아야 한다. 마치 오늘 내가 종착점에 와 있는 것처럼 말이다.

바로 그런 점에서 죽을 준비는 살 준비다. 멀쩡한 사람이 죽음을 앞둔 사람처럼 산다고 하여 염세적 허무주의에 빠져 무기력하게 살라는 말이 아니다. 도리어 이와 정 반대다. 우리 모두 넓은 의미에서 시한부 인생을 산다면 오늘 하루를 함부로 살 수 없다. 더 열심히, 더 뜨겁게 살아야 한다. 더 웃으며, 더 즐겁게 살아야 한다. 더 아끼며, 더 사랑하며 살아야 한다. 미국의 호스피스(hospice)운동의 선구자로 30년간 죽음에 대한 연구를 한 퀴블러-로쓰(1926-2004)가 그의 명저, ‘인생수업’(Life Lessons)에서 한 말이다. “죽어가는 사람들로부터 배울 수 있는 가장 큰 교훈은 바로 이 것이다. 지금 이 순간을 살라고, 삶이 우리에게 사랑하고, 일하고, 놀이를 하고, 별들을 바라볼 기회를 주었으니까. 살고(Live), 사랑하고(Love), 웃으라(Laugh), 그리고 배우라(Learn). 이것이 우리가 이곳에 존재하는 이유다. 삶은 하나의 모험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지금 이 순간, 가슴 뛰는 삶을 살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다. 우리는 내일을 사는 것이 아니라 바로 오늘, 이 순간을 힘써 살아야 한다. 이것이 죽음을 준비하는 사람의 진면목이다.

 

사회적 관심
조지아주 현대·LG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기술자들이 체포되는 장면이 2025년 9월 13일 한국 MBC 뉴스 영상을 통해 전해졌다. 이번 사건으로 인해 한국과 미국 양국에서 비판 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상처 입은 사회, 어떻게 정의와 희망을 선포할 것인가

정희수 감독은 목회 서신에서 조지아주 현대·LG 배터리 공장에서 드러난 직원들에 대한 무차별적 구금과 억압, 그리고 비인격적인 처우는 우리 사회 전반에 충격과 분노를 불러일으켰다고 말하고, 이 상황에서 교회와 목회자에게 '어떻게 정의와 희망을 선포할 것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개체교회
빈 의자는 우리가 한동안 만나지 못했던 사람들을 생각나게 한다. 사진 출처, 연합감리교공보부.

최근 교회에 출석하지 못한 분들께 보내는 편지

한동안 함께하지 못한 이들을 다시 공동체로 초대하고, 예배와 기도, 교제와 봉사를 통해 함께 자라가기를 권하는 편지다. 이글은 무엇보다 개인적인 초대와 지속적인 기도는 떠나있던 이들을 자연스럽게 돌아오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한다.
선교
2025년 8월 4일,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에 소재한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개회예배에서, 한 참석자가 두손을 들고 선교를 위해 기도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와 신앙, 더 나아가 선교의 미래를 함께 나누는 자리였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선교는 하나님의 미래에 투자하는 것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마지막 날인 2025년 8월 6일,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를 대표해 발제한 이창민 목사는 메리 스크랜턴의 담대한 발걸음처럼, 오늘 우리의 뮤추얼 선교가 후세들에게 믿음과 사랑, 헌신으로 이어질 질문과 유산이 되기를 소망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