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을 준비

가을은 죽음을 준비하는 계절이다. 한 여름 내내 무성한 잎사귀를 내며 있는 대로 가지를 뻗쳐 간 나무들이 가을이 깊어갈수록 하루가 달리 모습이 변해간다. 가장 빨리 변하는 것은 잎사귀 색깔이다. 하지만 아무리 빨갛고 노랗고 형형색색으로 물들어 그 자태를 한껏 뽐낸다 해도 금방 시들시들하다 떨어져 버린다. 그래서 가을은 ‘떨어짐’(Fall)의 계절이다. 이 떨어짐에 착안하여 사람들은 ‘인생의 황혼기’를 가을과 견준다. 그렇다면 죽음은 다름 아닌 ‘삶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죽음은 모든 사랑하는 것들과의 결별이며 또 다른 출발을 위한 종착점인 것이다. 그렇다면 마땅히 이 결별을 준비해야 하지 않겠는가? 종착점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가까이 나아가는데 자신은 아직도 출발점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생각한다면 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그러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인생의 허무는 ‘사람은 반드시 죽는다’는 사실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조금씩 다가오는 죽음을 전혀 준비하지 않는 그 어리석음에 있다 할 것이다 (전도서 7:4, “지혜로운 사람의 마음은 초상집에 가있고 어리석은 사람의 마음은 잔칫집에 가있다” - 표준새번역).

사람은 내일 일을 알지 못한다. 아니,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존재이다. 그러기에 더욱 죽을 준비를 해야 한다. 사실, 황혼기에 접어든 자들만이 그렇지 않은 자들보다 죽음에 더 가까운 것은 아니다. 살아갈 날이 한창인 나이에, 아직 죽을 때가 아닌데 갑자기 죽는 것을 가리켜 ‘요절’(夭折, untimely death)이라 한다. 주변에는 이 시기 상조의 죽음을 당한 사람들이 부지기수다. 문제는 누구도 이 요절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항상 죽을 준비를 해야 한다. 모든 사랑하는 것들과의 결별이 먼 장래에 있지 않다는 것을 알고 살아야 한다. 마치 오늘 내가 종착점에 와 있는 것처럼 말이다.

바로 그런 점에서 죽을 준비는 살 준비다. 멀쩡한 사람이 죽음을 앞둔 사람처럼 산다고 하여 염세적 허무주의에 빠져 무기력하게 살라는 말이 아니다. 도리어 이와 정 반대다. 우리 모두 넓은 의미에서 시한부 인생을 산다면 오늘 하루를 함부로 살 수 없다. 더 열심히, 더 뜨겁게 살아야 한다. 더 웃으며, 더 즐겁게 살아야 한다. 더 아끼며, 더 사랑하며 살아야 한다. 미국의 호스피스(hospice)운동의 선구자로 30년간 죽음에 대한 연구를 한 퀴블러-로쓰(1926-2004)가 그의 명저, ‘인생수업’(Life Lessons)에서 한 말이다. “죽어가는 사람들로부터 배울 수 있는 가장 큰 교훈은 바로 이 것이다. 지금 이 순간을 살라고, 삶이 우리에게 사랑하고, 일하고, 놀이를 하고, 별들을 바라볼 기회를 주었으니까. 살고(Live), 사랑하고(Love), 웃으라(Laugh), 그리고 배우라(Learn). 이것이 우리가 이곳에 존재하는 이유다. 삶은 하나의 모험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지금 이 순간, 가슴 뛰는 삶을 살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다. 우리는 내일을 사는 것이 아니라 바로 오늘, 이 순간을 힘써 살아야 한다. 이것이 죽음을 준비하는 사람의 진면목이다.

 

교회 역사
1914년 촬영된 여러 신랑 신부의 합동 결혼식  사진. 이대위 목사는 뒷줄 중간에 있다. 사진 제공, 유석종 목사.

일제 강점기 미주 독립운동을 이끈 이대위 목사 1

이대위 목사는 “단순히 개인의 영적 구원에 머물지 않고, 공동체와 민족의 구원이라는 더 큰 목표 속에서 목회했다… 하나님 사랑과 나라 사랑은 한 샘에서 나온다… 우리가 성령으로 세례를 받듯 애국 열성의 피로 세례를 받고 나라와 민족을 위해 자신을 내어줄 때, 의로우신 하나님께서 반드시 금수강산의 복지를 되찾게 하실 것이라고 확신했다.”라고 유석종 목사는 기록했다.
교회 역사
2025년 8월 4일, 오하이오 한인 풍물놀이팀이 클리블랜드하이츠 소재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개막 만찬에서 전통 장단에 맞춰 공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연합감리교뉴스.

오하이오에서 한국까지: 메리 스크랜턴과 윌리엄 스크랜턴의 140년 유산을 기리다

8월 4일부터 6일까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의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신앙·미래를 나누는 행사가 열렸다.
사회적 관심
2025년 8월 15일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 통치로부터 해방되고 독립을 선포한 지 80주년을 맞는 날이며 분단 80주년이다. 사진은 2025년 6월 24일, 6대륙 15개국에서 온 세계감리교청년평화순례 참가자 45명이 파주 비무장지대를 방문해 참관한 모습이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해방 80주년과 희년 묵상

정희수 감독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 통치로부터 해방되고 독립을 선포한 지 80주년을 맞는 2025년 8월 15일을 앞두고, “비록 우리는 여전히 분단되어 있지만, 평화의 왕이신 성령께서 인류의 복지를 위한 거룩한 사명으로 통일을 이루시기를 기도하자”라고 말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