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을 준비

가을은 죽음을 준비하는 계절이다. 한 여름 내내 무성한 잎사귀를 내며 있는 대로 가지를 뻗쳐 간 나무들이 가을이 깊어갈수록 하루가 달리 모습이 변해간다. 가장 빨리 변하는 것은 잎사귀 색깔이다. 하지만 아무리 빨갛고 노랗고 형형색색으로 물들어 그 자태를 한껏 뽐낸다 해도 금방 시들시들하다 떨어져 버린다. 그래서 가을은 ‘떨어짐’(Fall)의 계절이다. 이 떨어짐에 착안하여 사람들은 ‘인생의 황혼기’를 가을과 견준다. 그렇다면 죽음은 다름 아닌 ‘삶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죽음은 모든 사랑하는 것들과의 결별이며 또 다른 출발을 위한 종착점인 것이다. 그렇다면 마땅히 이 결별을 준비해야 하지 않겠는가? 종착점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가까이 나아가는데 자신은 아직도 출발점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생각한다면 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그러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인생의 허무는 ‘사람은 반드시 죽는다’는 사실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조금씩 다가오는 죽음을 전혀 준비하지 않는 그 어리석음에 있다 할 것이다 (전도서 7:4, “지혜로운 사람의 마음은 초상집에 가있고 어리석은 사람의 마음은 잔칫집에 가있다” - 표준새번역).

사람은 내일 일을 알지 못한다. 아니,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존재이다. 그러기에 더욱 죽을 준비를 해야 한다. 사실, 황혼기에 접어든 자들만이 그렇지 않은 자들보다 죽음에 더 가까운 것은 아니다. 살아갈 날이 한창인 나이에, 아직 죽을 때가 아닌데 갑자기 죽는 것을 가리켜 ‘요절’(夭折, untimely death)이라 한다. 주변에는 이 시기 상조의 죽음을 당한 사람들이 부지기수다. 문제는 누구도 이 요절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항상 죽을 준비를 해야 한다. 모든 사랑하는 것들과의 결별이 먼 장래에 있지 않다는 것을 알고 살아야 한다. 마치 오늘 내가 종착점에 와 있는 것처럼 말이다.

바로 그런 점에서 죽을 준비는 살 준비다. 멀쩡한 사람이 죽음을 앞둔 사람처럼 산다고 하여 염세적 허무주의에 빠져 무기력하게 살라는 말이 아니다. 도리어 이와 정 반대다. 우리 모두 넓은 의미에서 시한부 인생을 산다면 오늘 하루를 함부로 살 수 없다. 더 열심히, 더 뜨겁게 살아야 한다. 더 웃으며, 더 즐겁게 살아야 한다. 더 아끼며, 더 사랑하며 살아야 한다. 미국의 호스피스(hospice)운동의 선구자로 30년간 죽음에 대한 연구를 한 퀴블러-로쓰(1926-2004)가 그의 명저, ‘인생수업’(Life Lessons)에서 한 말이다. “죽어가는 사람들로부터 배울 수 있는 가장 큰 교훈은 바로 이 것이다. 지금 이 순간을 살라고, 삶이 우리에게 사랑하고, 일하고, 놀이를 하고, 별들을 바라볼 기회를 주었으니까. 살고(Live), 사랑하고(Love), 웃으라(Laugh), 그리고 배우라(Learn). 이것이 우리가 이곳에 존재하는 이유다. 삶은 하나의 모험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지금 이 순간, 가슴 뛰는 삶을 살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다. 우리는 내일을 사는 것이 아니라 바로 오늘, 이 순간을 힘써 살아야 한다. 이것이 죽음을 준비하는 사람의 진면목이다.

 

사회적 관심
12월 11일 서울 종로구 향린교회에서 열린 ‘윤석열 즉각 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발족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 출처, 연합뉴스.

신앙의 위기의식 있어야

“세례 요한의 외침은 개인적 신앙의 회개보다 오히려 정치와 종교 지도자들 그리고 국가공무원들을 향하고 있다. 대통령은 나라를 잘 지켜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 죄가 있는 것처럼, 교회와 교단을 포함한 책임 있는 자리에 있는 지도자들이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어야 한다.”고 김정호 목사는 설교한다.
사회적 관심
사도들의 머리 위에 임한 성령의 불을 형상화한 오순절 모자이크. 이미지, 홀거 슈에, 픽사베이.

동성애에 관련한 나의 신학 여정 4: 성령님이 오셨을 때

이성호 목사는 유대인이 되기 위해 지켜야 할 규정과 예수님의 제자가 되기 위해 지켜야 할 규정이 같지 않으며, 성경은 다양한 입장을 가진 사람들의 공유물이라고 말한다.
사회적 관심
대강절 화환(Advent wreath)에 촛불 세 개의 촛불이 켜져 있다. 사진, 케이틀린 베리, 연합감리교뉴스.

대강절에 발생한 한국의 계엄 사태

김정호 목사는 메시아 오심을 기다리는 대강절에 한국에서 계엄 선포로 국민들에게 고통이 돌아갈 것이라고 염려하고, 회개의 합당한 열매로 소망, 사랑, 기쁨과 평화의 빛을 밝히는 사명을 감당하자고 말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4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