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의 비극 앞에서 기도하다

지금 우리 조국에선 피눈물로 드리는 애절하디 애절한 기도가 하늘을 찌르고 있습니다. 지난 수요일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인해 실종자 가족들은 물론이고 온 국민이 마음 졸이며 추가 생존자 소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 사고를 지켜보면서 더욱 마음이 아픈 것은 책임적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제 역할만 제대로 했어도 거의 희생자가 나지 않을 수도 있었던 상황이었기 때문입니다. 사고 직후 전혀 이해할 수 없는 대처로 인해서 승객들을 죽음으로 몰고 간 선장은 끝내 승객들을 버리고 제 목숨 건지기에 급급했습니다. 사고 소식을 접한 해경이나 정부 관계 부처들도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심지어는 미군이 헬기를 띄워 도와주려는 것도 돌려보내고, 구조를 도우러 달려가던 민간 어선들은 모든 승객이 구조되었다는 잘못된 소식을 듣고는 발길을 돌리는 어처구니 없는 일까지 있었습니다. 답답한 실종자 가족들이 민간 어선을 타고 사고 현장에 갔을 때에도 헬기와 군함이 각 두 대, 그리고 특수부대 보트 6척 뿐이었다는 소식에는 정말 가슴에서 불이 날 지경입니다. 더우기 정부 당국은 충분한 장비와 인원을 신속히 보내서 구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실종자 가족을 속였다니 더 이상 할 말을 잃게 됩니다. 오죽이나 속이 터졌으면 실종자 가족들이 직접 나서서 '대국민 호소문'을 내고 "국민 여러분, 정부의 행태가 너무 분해 눈물을 머금고 호소하려 합니다"라고, "아이들을 살릴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하겠습니까!

기도하는 마음으로 생존자 소식을 기다리며 틈나는 대로 인터넷을 클릭하지만, 마주치는 소식은 온통 타인의 생존 문제 앞에서 너무나 무책임하고 안일했던 사람들 얘기 뿐입니다. 국민이 재난을 당할 때에 국민을 보호할 기본적인 시스템조차 작동시키지 못하는 정부, 가슴 졸이며 발을 동동 구르는 실종자 가족들을 찾아와 얼굴이나 내밀면서 방송 한 번 더 타보려는 속물 정치인들과 정부 관료들, 제대로 확인되지도 않은 것을 사실인 양 보도함으로써 실종자 가족들을 혼란에 빠뜨리는 일부 언론, 그리고 저 살겠다고 무고한 승객들의 목숨을 헌신짝처럼 버린 선장과 선원들. 이 답답하고 슬픈 현실을 마주하면서 인간의 죄악은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이렇게 구제적인 '무책임'과 '무관심'이라는 행태로 표출되고 있음을 다시금 알게 됩니다. 사탄은 뿔 달린 괴물이 아니라 자기밖에 모르는, 철저하게 이기적인 내 안의 또 다른 나임을 다시금 깨닫게 됩니다.

아무쪼록 한 생명이라도 더 생존할 수 있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이미 가족을 잃은 유족들의 마음에 깊은 위로가 있기를, 구조 소식을 애타게 기다리는 실종자 가족들이 희망의 끈을 놓치지 않기를, 그리고 사고 생존자들의 몸과 마음이 하루 속히 평안해지기를 기도합니다.

 

선교
2025년 8월 5일, 샐리 딕 연합감리교회 은퇴감독이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에서 <교육의 열매>라는 제목으로 설교를 전하고 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연합감리교뉴스.

메리 스크랜튼과 유관순: 교육의 열매

샐리 딕 감독은 설교에서 유관순 열사를 예로 들면서 "오늘날 복음과 감리교회의 메시지가 소녀와 여성들이 자신들의 은사와 부르심을 따라 교회를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사명을 감당하도록 힘을 주고 있습니까? 또 그들이 자신을 온전히 드러내며, 하나님께 받은 선물을 세상에 전하도록 부름을 받고 있습니까?”라고 묻는다.
교회 역사
유석종 목사가 집필한 <애국지사 이대위>. 이대위 목사는 미주 한인사회를 이끌며 대한인국민회를 ‘나라 잃은 한인들의 가정부(假政府)’로 자리매김하게 했고, 미국 정부로부터 한인들의 독립적 지위를 인정받는 계기를 마련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일제 강점기 미주 독립운동을 이끈 이대위 목사 2

이대위 목사는 미주 한인사회를 이끌며 대한인국민회를 ‘나라 잃은 한인들의 가정부(假政府)’로 자리매김하게 했고, 미국 정부로부터 한인들의 독립적 지위를 인정받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는 독립운동과 교회 사역을 병행하며 한글 식자기를 발명하는 등 언론·교육 발전에도 기여했고, 생애 마지막 순간까지 복음과 민족을 위해 헌신했다.
선교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에 소재한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개회예배에서,  연합감리교회 총감독회 회장인 트레이시 S. 말론 감독이 <시대를 넘어 아시아>를 넘으라는 제목으로 설교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와 신앙, 더 나아가 선교의 미래를 함께 나누는 자리였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시대를 넘어, 아시아를 넘어

말론 감독은 “하나님의 선교는 언제나 앞에서 우리를 이끌어 주십니다. 하나님의 성령은 여전히 역사하고, 그리스도는 여전히 부르시며, 복음은 여전히 기쁜 소식입니다—상한 마음에 주는 기쁜 소식, 은혜를 갈망하는 세상과, 정의를 갈망하는 세상에 전하는 기쁜 소식입니다.”라고 강조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