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니느웨로 가고 있다

Translate Page

믿음이 부족해서인지, 어두운 밤이 깊어서인지 그럴듯한 간증을 만들지 못하겠다. 그러고 싶지 않다.

가시가, 상처가 보통 일이 아니다.

4년 전 좋은 선생님이 마음에 그려 준 그림.

다시스로 가는 배 밑창에 웅크리고 끙끙대는 그이가 꼭 내 꼴이다.

마음속 들여다보는 일을 피하고 싶었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도 잘 들리지 않는다. 은혜받는 표정을 하기도 조금 지쳤다.

마음이 답답해서 한 세션을 빠지고 방에 들어갔다가 걸렸다.

영성수련회를 다녀와서… 라고 칼럼을 쓰는 일이 고역이다. 이럴 땐 그냥 지리산을 걸으면 좋겠는데, 교회 가는 일이 밥벌이가 된 후로, 그리고 그 밥 기다리는 새끼가 둘이나 있어 뭐라도 써내야 한다.

저녁 예배 찬양이 이런다. 주의 영이 계신 곳에 참 자유가 있다네…

차마 부를 수가 없다.

자유하지 못한 목사여서… 늘 어디나 계신 분이 주님이라고, 그러니 니들 마음만 열면 된다고 스무살 교인들에게 자주도 말해왔는데, 나는 차마 이 노래를 부를 수가 없다. 주의 영이 계신 곳에 참 자유가 있다는데…

 개척교회 몇 년째…

애리조나에 콩 나듯 누가 칭찬할 일이 있어 기분 좋은 소리를 들으면 이렇게 대답한다 ‘ 하나님이 하셨다' 고 … 거짓말이다. 가끔 진짜 그렇게 고백할 때가 있지만,  마음 속 깊숙이 흐르는 강물 같은 교만은 나랑 하나님이랑 안다.

애리조나에 선인장 나듯 계획했던 대로 안된 일들이 많다. 하나님의 뜻에서 마음이 멀어진 목사에게 선택지는 둘 뿐이다. 환경과 남탓을 하던지 아니면 내 실패를 인정하던지…

감독님과 큰 교회 은퇴목사님이 이러신다.

목회의 결과로부터 자유하라. 큰 교회는 바쁘기만하고 좋은 것 없다. 나도 큰 교회 만들고 은퇴하면 저 말은 꼭 할꺼다…

칭찬받고 인정받고 남들보다 잘 나가는 목사가 되고 싶은, 재미없는 마음이 가슴에 거머리이다. 젖꼭지 옆에 붙어서 심장을 빨아 먹는다. 웅크리고 누울 수 밖에 없다.

아침밥을 굶고, 뭘 길게도 써보고, 처음 만난 선배님들의 피처럼 아름다운 이야기를 들어도 잠깐 따뜻해진 마음은 그 안에 쓰레기를 발견한다.

누가 설교를 하러 올라오면 ‘얼마나 잘하나?’를 먼저 생각한다. 쓰레기다

이웃집 아저씨 같은 사람이 큰 교회 담임목사라는 말을 들으면 그 사람 말할 때 내 귀의 각도가 달라진다. 쓰레기다.

개척교회 잘 키워 놓으면 어디서 나를 찾아줄까… 교회를 키운 팔할은 이 생각이다

지금도 이 글을 사람들 앞에서 읽을 생각을 하니까… 좀 솔직하고 생각이 깊은 사람으로 보이겠지? 하고 기대한다. 쓰레기다. 재활용도 안 된다.

내일은 아내 생일인데 여기서 이런 거 쓰고 있다 쓰레기다.

하나님의 법은 없고, 인정받고 잘나가고 싶어 하는 그 쓰레기만 가득하다. 죽어도 안 없어진다. 죽으면 없어질까?

제비가 요나를 불렀을 때 차라리 그는 행복했을지도… 죽어 버리면 더 이상 웅크려 꺼이꺼이 하지 않아도 될 테니…

성경은 큰 물고기가 있다고는 하는데…

믿음이 적은 것인지 어두운 밤이 깊은 것인지

..

젠장 죽을 용기도 없다.

용기가 없으면 꿈이나 꾸지 말지…

망했다.

나의 니느웨는 어딜까?

아무튼 나는 니느웨로 가고 있겠지? 

개체교회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인공지능시대 시대 신학하기 3: 새 하늘과 새 땅

강혜성 목사의 “인공지능 시대에 신학하기” 3편이자 마지막 시리즈로, 과거 2000년의 전통 신학을 뛰어넘어 다가오는 인공지능 시대를 아우를 수 있는 폭넓은 신학적 틀을 담보하고, 계속해서 기독교 교회로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려면, 하늘과 땅의 조화가 필요하다고 강 목사는 말한다.
신앙 간증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에서 필자와 김응선 목사.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그 산이 나를 품어주고 받아주었다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트레킹을 마치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나에겐 대단한 모험심이나 장엄한 히말라야에 대한 기억은 없다는 약간은 건방진 소감도 있었으나, 여러 사고 소식을 접하고 사실 자연이 그리고 그 산이 나를 품어주고 받아주었기에 그 트레킹이 가능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회적 관심
사진, 캐서린 베리, 연합감리교뉴스.

세계평화기도회 올해도 열린다

세계감리교협의회와 세계교회협의회를 비롯한 전 세계 기독교 단체 및 교단은 오는 3월 22일 수요일, 한반도와 우크라이나, 팔레스타인 등을 비롯한 세계의 평화를 간구하는 세계평화기도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