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교회를 세우라고 보내심을 받은 사람들이다

The Rev. Dr. Hyekyoung Pauline Kang. Photo courtesy of the author.사진 제공, 강혜경 목사.    

(편집자 주: 본 기고문은 연합감리교뉴스와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최근 교단 내에서 발생하는 한인 교회 목사 파송과 감독의 파송권에 관한 기사를 읽다 보니 만감이 교차합니다.

지금으로부터 꼭 10년 전에 제가 속한 연회 안에 한인 공동체에 큰 영향을 끼친 파송이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파송이었기에 상당히 강하게 반응했었습니다. 

괴로워하던 저에게 지금은 꽤 큰 한인 교회를 섬기는 목사님 한 분은 그 파송을 인정하고 순응하며 협조하라는 충고를 해주었습니다. 그분이 이번에 있었던 한인 교회 목사 파송에 어떠한 반응을 보일지 궁금하지만, 부디 “그때는 옳았고, 지금은 그렇지 않다!”라고 하지 않으셨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위에 언급한 일 때문인지는 알 수 없으나, 그 후 저는 한인 공동체에서 멀리 떨어진, 콩밭으로 둘러싸인 동네의 교회로 파송을 받았습니다.

그 파송으로 인해 힘들어하는 저에게 목회협력위원회와의 만남에 동행했던 제 아들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엄마, 무슨 이유로 감독님이 엄마를 그 교회에 파송하셨는지와 상관없이, 그 교회 교인들은 좋은 목사님이 오시기를 간절히 바라는 것 같아 보였어. 엄마가 그냥 그 교회에 가서 좋은 목사님이 되어주면 안 돼?”

그날 밤, 저는 회개의 눈물을 흘렸습니다. 아들을 통해 하나님이 제게 말씀하시는 것을 들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제가 연합감리교회 목사로 안수받을 때 했던 서약과 “내가 여기 있나이다 부르심을 들었나이다 인도하사 보내소서 주의 백성 섬기오리다. (편집자 주: 바다와 하늘의 주, 찬송과 예배 263장; Here I Am, Lord, UMH #593)”라고 찬송을 떠올렸습니다.

그 후로 저는 그 약속을 상기하며 파송에 임합니다.

이번 기사를 읽고 저에게는 이런 질문이 생겼습니다.

현재 중형, 대형 한인 교회를 섬기시는 목사님들 중에 감독의 파송 전권의 수혜자가 아닌 분들이 몇 분이나 되실까요? 그분들이 그 교회에 파송되었을 때, 과연 모든 사람이 참으로 적합한 파송이라고 수긍했었을까요? 내가 그 교회에 간 것도 감독의 파송권 때문이었는데 다른 교회로 가라는 것은 횡포일까요? 제가 경멸해 마지않는 어느 비도덕적인 영화감독의 제목 짓기처럼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인가요?

시간이 지나 깨닫게 된 것이지만, 저는 감독 파송권의 큰 수혜자입니다. 한인 여성 목회자인 제가 타인종 타문화 회중을 섬길 수 있는 특별하고 놀라운 기회를 얻었고, 목회자로서의 제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 것이 바로 이 때문이지요.

한인 여성이 타인종 타문화 목회지에 파송되어 섬기는 것이 항상 쉬운 일은 아닙니다.

저의 동역자 중 한 분이 새로운 교회로 파송 받아 갔을 때 일입니다. 그 목사님의 파송 직전에 교회를 담임했던 목사님이 교인들에게 이렇게 이야기했다고 합니다.

“여러분이 그동안 저를 심하게 대해서, 하나님께서 한인 여성 목사를 보내셔서 여러분을 벌하시는 겁니다. Since you haven’t been good to me, God is punishing you by sending a Korean woman!”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목사님은 그 교회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섬긴 목회자가 되었고, 교회도 부흥시켰고, 150만 달러 규모의 성전 건축까지 마무리했습니다.

아마도 지금 그 목사님의 파송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겠지요.

감독들과 감리사들의 파송 결정에 결점이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니, 제 말에 오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인간인 그들도 잘못된 결정을 내리거나 실수를 합니다. 그들이 내린 파송 결정으로 인해 문제가 생기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못한다면, 그들이 하나님 앞에 해명해야겠지요.

마지막으로, 저는 웨슬리 목사님의 후예로서 파송 받아 사역지를 옮기며 사역하는 순회제도(circuit rider) 정신과 제도를 소중하게 여깁니다. 우리가 섬기기 이전에도, 우리가 섬기고 있는 그 교회를 섬기시던 목사님들이 계셨고, 우리 이후에는 더 많은 목사님이 계실 것이니, 우리는 그저 지나가는 목회자 아닐까요?

저의 순례길에, 제 아들을 통해 하나님께서는 하나님 나라 사역의 중심이 제가 아닌 하나님이심을 깨우쳐주셨습니다. 사람들은 파송을 수만 가지 방법으로 해석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신실한 종들을 통해 역사하십니다.

목회자로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우리가 파송 받은 교회를 세우는 것입니다. 교회를 세우는 대신 무너뜨리고 혼란에 빠지게 하는 사람들은 하나님 앞에서 책임을 져야 하겠지요.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교회라면  제가 없어도 하나님께서 분명히 지키실 줄로 믿는데 목사님들의 생각은 어떠세요?

강혜경 목사는 대뉴저지 연회의 정회원 목사이며, 서울 감리교 신학대학교의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전화 (615-742-5109)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개체교회
내쉬빌에 소재한 웨스트엔드 연합감리교회의 평신도 대표인 에드 징키에비츠가 회의를 인도하고 있다. 사진, 캣 베리, 연합감리교뉴스.

장정은 교회의 임원 자격과 각 위원회의 역할은 어떻게 규정하나요?

가을에 있을 교회의 임원들을 선출하는 구역회(charge conference)를 앞두고, 교회의 임원과 각 위원회의 위원이 될 수 있는 자격과 새로운 장정이 규정한 목회협력위원회와 재단이사회의 역할과 책임을 소개합니다.
사회적 관심
폴 공(Paul Kong) 목사가 캄보디아 프놈펜의 희망직업학교에서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서 빗물 저장 탱크가 식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인 <희망의다리>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동남아시아에서 신앙과 과학이 만나 ‘생명수’를 길어 올린다

2025년 10월 13~17일, 프놈펜 희망직업학교에서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 동남아 5개국의 교회와 사역자들이 참여해 물 부족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식수 확보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 <희망의다리>가 공동 주최했다.
선교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연례회의가 2025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뉴저지주 티넥(Teaneck)에서 열렸다. (앞줄 왼쪽부터) 장학순 목사, 김성실 권사, 정희수 감독, 전주연 목사, 이형재 목사, 방지민 목사. (뒷줄 왼쪽부터) 원홍연 목사, 권혁인 목사, 이재명 목사, 박미소 목사, 이푸르메 목사.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선교 전략과 사역 방향 새롭게 다듬다

한인목회강화협의회는 향후 3년에서 5년 이내에 자립 가능한 한국어 회중 12곳과 영어 회중 5곳을 개척하는 것을 특별한 목표로 세우고 있다. 참석자들은 새 교회 개척 현황과 자립 여정을 보고받으며, 그 비전이 이미 현실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