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큰헤드 정신

1852년 2월 남아프리카공화국 근처, 영국 해군 수송선 버큰헤드(Birkenhead)호가 암초에 부딪혀 가라앉기 시작했습니다. 승객은 영국 73보병연대 소속 군인 472명과 그들의 가족 162명이었고, 구명보트는 3대뿐으로 180명만 탈 수 있었습니다. 함장 세튼 대령은 "그 동안 우리를 위해 희생해 온 가족들을 우리가 지킬 때다. 어린이와 여자부터 탈출시키자"라고 명령하였고, 함장을 비롯한 군인 472명은 구명보트를 향해 거수경례를 하며 배와 함께 가라앉았습니다.

몇 년 후, 이 사실은 작가 사무엘 스마일스을 통해 세상에 알려졌고, 이 때부터 영국 사람들은 큰 재난을 당하면 누가 먼저랄 것 없이 '버큰헤드를 기억합시다'고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정신은 1952년 군 수송선 윈드러시(Windrush)호 침몰 사고에서도 어김없이 지켜졌습니다. 알제리 인근 바다에서 배의 보일러실이 폭발했는데, 당시 군인과 가족 1,515명이 타고 있었고, 구명정은 턱없이 모자랐습니다. 곧바로 선장과 선원들은 여성과 아이, 환자들을 구명정에 태웠고, 마지막에 선원과 군인 300여 명이 남았습니다. 선장과 스콧 대령은 "이제 모두 바다에 뛰어내리라"고 지시한 후, 부하들이 모두 떠난 걸 확인한 뒤 마지막으로 물로 뛰어들었습니다.

며칠 전부터 블로그와 SNS에서 '버큰헤드 정신을 기억하자'는 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세월호] 선장과 일부 선원들이 승객들을 앞세우기는 커녕 자기부터 살아야겠다며 배를 빠져나온데 대한 분노를 담고 있음입니다. 선장을 비롯해 간부 선원들은 먼저 도망해 다 살아남았지만, 스물두 살 여승무원과 어린 학생 수백 명은 사망 및 실종, 아직 시신조차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 분노는 선장과 선원들을 향한 것이기보다는 ‘대한민국호’라는 정부와 차마 우리 아이들에게 못할 짓을 한 우리 스스로를 향한 비애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배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저의 마음은 당연히 우리교회를 한 주간 내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지금 우리 배는 어떠한가? 또 어려움이 온다면 어떻게 반응할까? 아니 나는 어떠한가? 문득, 어머님의 소리가 맴돕니다. “장목사, 항상 기억해라. 네가 잘 해서 잘 되는 게 아니다. 다 주님의 은혜이니, 늘 올챙잇적 생각하고 겸손히 죽도록 충성해라.”

‘주님의 은혜'에 반응하는 여러분들의 ‘버큰헤드 정신’이 우리 교회의 구석구석에서 일어나고 있음에 감사할 뿐입니다. 하루도 쉬지 않고 돌아가는 우리 교회의 모든 사역과 섬김. 아무리 생각해도 은혜가 아닐 수 없습니다. 하늘 복으로 충만하시길 기도드립니다.

사회적 관심
폴 공(Paul Kong) 목사가 캄보디아 프놈펜의 희망직업학교에서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서 빗물 저장 탱크가 식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인 <희망의다리>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동남아시아에서 신앙과 과학이 만나 ‘생명수’를 길어 올린다

2025년 10월 13~17일, 프놈펜 희망직업학교에서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 동남아 5개국의 교회와 사역자들이 참여해 물 부족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식수 확보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 <희망의다리>가 공동 주최했다.
선교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연례회의가 2025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뉴저지주 티넥(Teaneck)에서 열렸다. (앞줄 왼쪽부터) 장학순 목사, 김성실 권사, 정희수 감독, 전주연 목사, 이형재 목사, 방지민 목사. (뒷줄 왼쪽부터) 원홍연 목사, 권혁인 목사, 이재명 목사, 박미소 목사, 이푸르메 목사.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선교 전략과 사역 방향 새롭게 다듬다

한인목회강화협의회는 향후 3년에서 5년 이내에 자립 가능한 한국어 회중 12곳과 영어 회중 5곳을 개척하는 것을 특별한 목표로 세우고 있다. 참석자들은 새 교회 개척 현황과 자립 여정을 보고받으며, 그 비전이 이미 현실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선교
2025년 9월 29일-10월 2일 뉴저지주 이스트 브룬스위크에 소재한 갈보리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개회예배에서 참석자들이 찬양하고 있다. 콜라주 사진, (위) 신띠아 무어-코이코이 감독(대뉴저지 연회 및 동펜실베이니아 연회), 정희수 감독(오하이오 감독구), 도티 에스코베도-프랭크 감독(캘리포니아-태평양 연회), 김규현 목사(캘리포니아주 오린다 소재의 열린교회 담임). (왼쪽 아래) 이재명 목사(뉴저지 보어히스 소재의 호프 연합감리교회, 넥서스(NEXUS) 회장), (오른쪽 아래) 김미강 목사(버지니아 한인연합감리교회).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그리스도의 몸된 한인총회, 치유와 선교를 향해 미래로

“다시, 그리스도의 몸: 돌아봄. 돌봄. 하나됨!”을 주제로 열린 2025년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는 예배와 강의, 선교 보고를 통해 교회의 공적 사명과 연대를 되기고, 공공교회의 비전을 중심으로 치유와 화해, 세대 간 협력하는 공동체로 나아갈 것을 다짐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