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큰헤드 정신

Translate Page

1852년 2월 남아프리카공화국 근처, 영국 해군 수송선 버큰헤드(Birkenhead)호가 암초에 부딪혀 가라앉기 시작했습니다. 승객은 영국 73보병연대 소속 군인 472명과 그들의 가족 162명이었고, 구명보트는 3대뿐으로 180명만 탈 수 있었습니다. 함장 세튼 대령은 "그 동안 우리를 위해 희생해 온 가족들을 우리가 지킬 때다. 어린이와 여자부터 탈출시키자"라고 명령하였고, 함장을 비롯한 군인 472명은 구명보트를 향해 거수경례를 하며 배와 함께 가라앉았습니다.

몇 년 후, 이 사실은 작가 사무엘 스마일스을 통해 세상에 알려졌고, 이 때부터 영국 사람들은 큰 재난을 당하면 누가 먼저랄 것 없이 '버큰헤드를 기억합시다'고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정신은 1952년 군 수송선 윈드러시(Windrush)호 침몰 사고에서도 어김없이 지켜졌습니다. 알제리 인근 바다에서 배의 보일러실이 폭발했는데, 당시 군인과 가족 1,515명이 타고 있었고, 구명정은 턱없이 모자랐습니다. 곧바로 선장과 선원들은 여성과 아이, 환자들을 구명정에 태웠고, 마지막에 선원과 군인 300여 명이 남았습니다. 선장과 스콧 대령은 "이제 모두 바다에 뛰어내리라"고 지시한 후, 부하들이 모두 떠난 걸 확인한 뒤 마지막으로 물로 뛰어들었습니다.

며칠 전부터 블로그와 SNS에서 '버큰헤드 정신을 기억하자'는 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세월호] 선장과 일부 선원들이 승객들을 앞세우기는 커녕 자기부터 살아야겠다며 배를 빠져나온데 대한 분노를 담고 있음입니다. 선장을 비롯해 간부 선원들은 먼저 도망해 다 살아남았지만, 스물두 살 여승무원과 어린 학생 수백 명은 사망 및 실종, 아직 시신조차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 분노는 선장과 선원들을 향한 것이기보다는 ‘대한민국호’라는 정부와 차마 우리 아이들에게 못할 짓을 한 우리 스스로를 향한 비애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배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저의 마음은 당연히 우리교회를 한 주간 내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지금 우리 배는 어떠한가? 또 어려움이 온다면 어떻게 반응할까? 아니 나는 어떠한가? 문득, 어머님의 소리가 맴돕니다. “장목사, 항상 기억해라. 네가 잘 해서 잘 되는 게 아니다. 다 주님의 은혜이니, 늘 올챙잇적 생각하고 겸손히 죽도록 충성해라.”

‘주님의 은혜'에 반응하는 여러분들의 ‘버큰헤드 정신’이 우리 교회의 구석구석에서 일어나고 있음에 감사할 뿐입니다. 하루도 쉬지 않고 돌아가는 우리 교회의 모든 사역과 섬김. 아무리 생각해도 은혜가 아닐 수 없습니다. 하늘 복으로 충만하시길 기도드립니다.

개체교회
박정찬 감독이 연합감리교회 총회에서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연합감리교뉴스 파일.

나는 왜 여전히 연합감리교인인가?

박정찬 감독은 one out of many의 비전과 정신이 성서가 증언하는 하나님 나라의 모습 속에 반영되어 있음을 믿고, 이를 지향하는 연합감리교회의 전통과 역사의 진행에 동참하는 것을 특권으로 생각한다고 말한다.
개체교회
2023년 9월 23일 토요일 동부 시간 오후 7시에, 동북부와 중북부 그리고 서부 한인선교구가 연합으로 주최하고, 한인목회강화협의회와 여선교회 전국연합회가 후원한 연합감리교회 평신도와 함께하는 미래 컨퍼런스가 132명이 참가한 가운데 화상으로 모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평신도들과 목회자들은 자신이 왜 연합감리교회에 남기로 결정했는지를 나눴다. 사진은 회의 동영상을 갈무리한 것이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평신도들이 전한 연합감리교회에 남아야 하는 많은 이유들

지난 9월 23일, 동북부와 중북부 그리고 서부 한인선교구가 연합으로 주최하고, 한인목회강화협의회와 여선교회 전국연합회가 후원한 연합감리교회 평신도와 함께하는 미래 컨퍼런스가 132명이 참가한 가운데 화상으로 열렸다.
개체교회
2022년 3월 21일부터 25일까지 5일 동안 진행된 제1회 사모를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의 주제와 수련회 모습 콜라주의 일부. 사진 제공, 권 초향 사모.

제2회 사모들을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 사랑하는 나의 딸에게

제2회 사모들을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가 <사랑하는 나의 딸에게>라는 주제로 2024년 3월 4일(월)부터 8일(금)까지 애리조나주 투산에 소재한 리뎀투어리스트 수양관에서 열린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3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