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한인총회 이틀째, 소통과 비전의 시간을 갖다

줌으로 진행된 2021년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둘째 날 집회는 ‘소통과 비전’을 주제로, 한인총회의 미래에 관한 토론과 보고의 시간으로 채워졌다.

한인총회 총무인 권혁인 목사가 진행한 둘째 날 집회는 한인교회총회의 회장인 이철구 목사의 기도로 시작되었다.

한인총회 총무인 권혁인 목사가 둘째 날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행사 장면 갈무리.한인총회 총무인 권혁인 목사가 둘째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행사 장면 갈무리.
류계환 목사가 발표한 PPT의 한 장면 갈무리. 류계환 목사가 발표한 PPT의 한 장면 갈무리.   

이어 선교 총무인 류계환 목사는 발제를 통해, 교단의 현황과 2022년에 열리는 연합감리교 총회 후 교단의 분리 가능성을 개진하고, 교단과 한인교회의 나아가야 할 방향과 미래에 관해 점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류 목사의 발표 중 “우리는 어디로 갈 수 있는가? (Where can we go?)”와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 (Where should we go?)”라는 질문은 많은 사람의 이목을 끌었다.

한인목회강화위원회의 사무총장인 장학순 목사는 연대기관에 관한 보고에서, “현 교단의 분리는 한인 교회가 주도한 이슈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우리 안의 긴장이 너무 고조되어 있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또한, 그는 “동성애 문제가 현재 교단의 분열을 일으키는 방아쇠(trigger) 역할을 하고 있지만, 진짜 원인은 감독 파송제와 선교분담금, 리더들의 진보적 편향성 및 동성애 등의 문제가 누적되어 생겨난 것.”이라고 피력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장 목사는 연대기관들의 회의에서 연대기관 대표자 모임을 한인총회를 대신하는 임시 관리기구로 단독 상정하기로 결의했다고 보고하고, “이는 NEXUS, 한인교회총회, 여교역자 그리고 타인족목회자 등 4대 기관의 회장과 부회장으로 구성된 회원들이 2021년 한인총회의 폐회 시점부터 2022년 교단 총회 후 첫 한인총회까지의 기간을 임시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설명했다.

장 목사의 보고는 지난 2019년 한인총회에서 4개 연대기관 대표자들에게 한인총회의 미래와 구조를 연구하도록 결의한 것에 관한 내용이다.

2019-2021년에 소천한 목회자 가운데 최고령자인 조찬선 목사의 추모 장면 갈무리.2019-2021년에 소천한 목회자 가운데 최고령자인 조찬선 목사의 추모 장면 갈무리.

한인총회의 일정 가운데 가장 중요한 순서 하나는 총회와 총회 사이에 소천한 동역자들을 추모하는 시간이다. 이번 추모 예배에서 강혜경 목사는 선배 목회자들의 소천을 “한반도 감리교 운동의 결과로 이 땅 미국 곳곳에 복음을 전하고, 어둠의 시간에 산 자의 땅으로 떠나신 그분들을  박수쳐드리지 못 하고 보내드린다.”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아래는 한인총회가 추모한 분들의 명단이다.  

김태민 목사(2021년 3월 3일)
조찬선 목사(2021년 1월 26일)
김해종 감독(2020년 11월 3일)
유연실 목사(2020년 12월 4일)
최문희 목사(2019년 7월 7일)
이근섭 목사(2019년 7월 15일)
박청수 목사(2020년 7월 21일)
김용욱 목사(2020년 4월 3일)
장정순 목사(2020년 4월 13일)

 

관련 기사 보기

2021년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시작하다

2021년 한인총회 뜨거운 토론과 함께 마무리 되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전화 (615-742-5109)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개체교회
내쉬빌에 소재한 웨스트엔드 연합감리교회의 평신도 대표인 에드 징키에비츠가 회의를 인도하고 있다. 사진, 캣 베리, 연합감리교뉴스.

장정은 교회의 임원 자격과 각 위원회의 역할은 어떻게 규정하나요?

가을에 있을 교회의 임원들을 선출하는 구역회(charge conference)를 앞두고, 교회의 임원과 각 위원회의 위원이 될 수 있는 자격과 새로운 장정이 규정한 목회협력위원회와 재단이사회의 역할과 책임을 소개합니다.
사회적 관심
폴 공(Paul Kong) 목사가 캄보디아 프놈펜의 희망직업학교에서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서 빗물 저장 탱크가 식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인 <희망의다리>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동남아시아에서 신앙과 과학이 만나 ‘생명수’를 길어 올린다

2025년 10월 13~17일, 프놈펜 희망직업학교에서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 동남아 5개국의 교회와 사역자들이 참여해 물 부족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식수 확보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 <희망의다리>가 공동 주최했다.
신학
뉴올리언즈의 제일그레이스연합감리교회 션 모세 목사(오른쪽)가 교회에 등록한 교인 가정을 환영하고 있다. 사진, 캐티 길버트,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으로 등록한다는 의미는?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이 된다는 것은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고자 오셨던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이들의 모임에 동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