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감리교 선교사의 상징 <십자가 닻>

연합감리교에서는 선교사가 파송 받을 때, 부름을 받은 선교사의 상징으로 <십자가 닻(anchor cross)>을 목에 걸어줍니다. 그 십자가는 그들이 연합감리교의 선교사임을 드러내고, 그들의 언약을 끊임없이 상기시키도록 돕습니다.

이 <십자가 닻>은 선교사에게 그리스도와 자신이 섬기는 지역 공동체 안에 닻을 내릴 뿐만 아니라, 어디든 자신을 필요로 하는 곳의 사람들과 함께 사역을 감당하라는 부르심에 닻을 내리는 것을 상징합니다. 

연합감리교회는 선교지에 사람들을 파송해 온 오랜 전통이 있습니다. 역사를 통해, 교회는 선교가 위험한 여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오늘날도 선교의 어려움은 과거와 다를 바가 없습니다.

가장 오래된 기독교 상징 중 하나이며, 그리스도 안에서의 믿음과 소망의 표현인 <십자가 닻>은 “우리가 이 소망을 가지고 있는 것은 영혼의 닻 같아서 튼튼하고 견고하여"라고 말씀한 히브리서 6:19(개역 개정)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는 고대 로마의 지하묘지(카타콤), 묘비, 기독교의 예술품에서도 이 상징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십자가와 닻이 합체된 <십자가 닻>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믿음· 소망· 사랑에 닻을 내린 선교사들을 기억하게 합니다. 이 상징은 또한 각 선교사를 더욱더 커다란 연합감리교 선교사 공동체와 연결해 주며, 그 여정에 동반자들이 있음을 기억하게 합니다.  

  • 연합감리교 선교사에 관해 더 알기를 원하면, 여기를 누르세요.     
  • 연합감리교회의 선교사가 되어 자신의 은사를 사용하기를 원하면, 여기를 누르세요.             

신앙과 교리에 관한 질문이 있으면Ask The UMC에 문의하거나 가까운 교회의 목사님을 찾아가세요.

 기사는 Ask The UMC에서 작성하여, 2019년 7월 16일 올린 내용을 번역한 것입니다.

연합감리교 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615-742-5470 or [email protected]로 하시기 바랍니다.

교단
2020/2024년 판 「연합감리교회 장정」, 연합감리교 출판부.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2020/2024 장정 어떻게 바뀌었나? 1 부 개체교회, 연회, 총회 기관

지난 2024년 4월 23일에서 5월 3일 열린 연합감리교 총회에서 의결하고 변경한 장정의 내용을 살펴보는 시리즈로 이글은 제1부로 개체교회, 연회, 총회 기관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선교
조오지 오글(뒷줄 오른쪽) 목사의 부인 도로시 오글(뒷줄 왼쪽) 여사는 1954년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 소속 선교사로 한국에 파송되어 1974년 강제 추방될 때까지 20년 동안 산업선교와 민주화를 지원 활동을 펼쳤다. 두 사람은 1남 2녀를 두었으며, 자녀들을 한국 학교에 보내는 등 한국인의 삶을 깊이 이해하고 사랑하기 위해 노력했다. 사진 발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인권과 평화의 선교사, 도로시 린드먼 오글 여사

1959년 남편 조오지 오글 목사와 함께 한국에 파송되어 산업 선교, 인권, 그리고 민주화 운동의 최전선에서 헌신적으로 사역했던 도로시 린드먼 오글(Dorothy Lindman Ogle) 선교사가 2025년 10월 30일, 콜로라도주 볼더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신학
사진 출처, 남부감리교회 퍼킨스 신학대학의 브리드웰 도서관 특별 컬렉션.

연합감리교회의 장정은 언제 처음 만들어졌나요?

감리교회의 첫 장정은 1784년 성탄절, 미국에서 새로 태어난 감리교의 치리를 위해 “토마스 코크, 프란시스 애즈베리 목사 및 다른 지도자들의 대화 회의록”이라는 이름으로 채택되었습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