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복과 가정

조국 땅에서 일어난 [세월호] 사건은 적지 않은 트라우마를 주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우리가 그 동안 보지 못했던, 아니 알면서도 고치지 못했던 부분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참으로 안타깝고 부끄러운 기성세대의 자화상이 아닐 수 없습니다. 심지어 박근혜 대통령은 이같은 모습에 대해 “과거로부터 켜켜이 쌓여온 잘못된 ‘적폐’(積弊)를 바로잡지 못하고 이런 일이 일어난 것에 대해 너무도 한스럽다”고까지 할 정도로 개탄할 정도였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사건에서 충격적인 것은, 해경이 공개한 동영상에서 [세월호]를 탈출한 이준석 선장은 선장 제복을 안 입은 정도가 아니라, 평상복 상의에 사각팬티 차림이었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에 대해 해경은 그가 선장임을 알아보고 혹시나 "배로 다시 돌아가 승객들을 구조하라"고 지시할 것을 염려하여, 선장과 일부 승무원들은 배에서 탈출하기 직전 평상복으로 갈아입고 나왔다고 발표하였는데, 만약 사실이 그렇다면 더 기가 막힐 뿐입니다.

그런데 이들의 제복 미착용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들이 흥미롭습니다. 즉, “그들이 제복을 벗는 순간 450여 명의 목숨을 걸머진 선장과 승무원으로서의 책임감도 함께 벗어던진 것이며, 그들이 유니폼을 제대로 갖춰 입고 있었더라면 승객들이 보는 앞에서 그렇게 떳떳하게 배를 버리고 떠나지 못했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보통 사람이라도 의사 가운을 입고 있으면 주의력이 강해지고 자신의 행동에 조심성이 많아진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성경에서도 이 옷에 대한 중요성이 적지 않습니다. 구약에선 제사장이나 레위인, 찬양대, 성전봉사자 등의 위치에 있었던 사람들은 다 예복을 입어야만 했습니다. 예수님도 하나님 나라를 ‘혼인잔치’로 비유하시면서 예복을 입지 않고 예식에 참여한 자에 대해서 엄중한 책임을 묻습니다. 물론 이 예복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옷을 상징하는 말씀으로, 사도 바울은 이를 우리가 마땅히 입어야 할 ‘영적인 전신갑주’로까지 비유하고 있음입니다.

교회는 [가정의 달]이라 부르는 5월의 첫 주일인 오늘을 어린이주일로, 다음 주일을 어버이주일로 지킵니다. 이런 면에서, 아무리 오늘의 세대가 자유주의와 개인주의이며 탈 권위의 시대로 흘러간다고 하여도, 그리스도인의 영적 권위와 책임을 상징하는 제복인, 그리스도로 옷을 입어야 합니다.

사회적 관심
전남 무안공항에서 여객기 착륙 도중 충돌 사고가 난 29일 오후 소방 당국이 여객기 잔해를 살피고 있다. 사진 출처, 뉴시스.

연합감리교인들은 재난과 고통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2024년 12월 29일,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사고로 179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습니다. 연합감리교인으로서 우리는 이러한 재난과 재해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까요?
사회적 관심
2018년에 개장한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 위치한 국립평화정의기념관(National Memorial for Peace and Justice)은 흑인 커뮤니티가 역사적으로 겪어온 고통을 기리기 위해 설립한 미국 최초의 기념관이다. 사진의 조각상은 기념관 앞에 설치된 흑인들이 노예로 끌려가는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사진 제공, 김성실 권사, 인종정의실행위원회.

백인 중심 사상 안에서의 타인종/타문화 목회

김영동 목사는 한인 목회자들에게 인종차별이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중요한 사안임을 강조하며, 어느 한 인종이 중심되는 교회가 아니라 예수가 중심이 되는 교회를 회복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이 우리의 소명이라고 말한다.
선교
2024년 11월 4일, 글로벌 청년 지도자 훈련 프로그램인 어센드( ASCEND) 참석자들과 강사들이 프놈펜에 있는 희망직업학교 앞에서 점프를 하고 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연합감리교뉴스.

아시아 청년들 비상(飛上)을 꿈꾸다

연합감리교 세계선교부의 아시아 선교 이니셔티브 국가인 캄보디아, 라오스, 몽골, 베트남 등에서 사역하는 감리교 청년 지도자들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인 2024 어센드(ASCEND)가 11월 4일부터 5일간 캄보디아 프놈펜 소재의 희망직업학교에서 개최됐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