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 상원의원 이산가족 상봉 법안 제출

2020년은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한국전쟁은 민간인을 포함한 남북한의 300만 명의 사망자를 비롯한 50만 명의 중국군, 약 5만 명의 미군과 유엔군의 전사자를 낳았고, 아직도 한국전쟁은 정전협정하에 놓여 있어 끝나지 않은 상태다.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이하여 전 세계의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행사를 통해 한국전쟁을 종식시키고, 한반도의 평화와 화해를 위해 지난 3월 1일부터 70일 기도 캠페인, “우리는 지금 당장 전쟁을 끝내고 평화를 위해 기도한다! (We Pray, Peace Now, End the War!)”를 시작했다.

이제 미국의 연방 상원에도 한반도 평화와 화해를 촉진할 수 있는 이산가족들의 상봉을 돕기 위한 법안이  제출되었다.

미국 연방 상원 공보부는 지난 3월 5일 두 명의 미국 연방 상원의원이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의 상봉을 돕기 위한 법안을 제출했다고 발표했다.

보도 자료에 따르면, “마지에 히로노(하와이-민주당)와 댄 설리번(알래스카-공화당) 연방 상원의원이 한국전쟁 이산가족 상봉 법안인 S.3395를 제출했다. 이 법안은 미 국무부에게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들이 북한의 가족과 상봉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실행 우선순위로  두라고 명령하는 법안”이다.

또한 이 보도 자료는 한반도에서 있었던 남북 이산가족 상봉의 역사에 대해서, “1953년 7월 27일 한국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된 이래, 미국 내의 한인들이 북에 두고 온 가족들과 연락할 없었다. 그러나 1985년 이후 남과 북의 가족들은 20여 회의 대면 상봉과 여러 번의 화상을 통한 접촉을 가졌다. 이를 통해 22,000명 이상의 남과 북의 이산가족들이 짧지만 그나마 재회할 기회가 있었다. 마지막 상봉은 2018년 8월에 있었다.”라고 상세히 설명했다.

이번에 제출된 법안은 앞으로 있을 이산가족 상봉에 미국 내의 한인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법안을 제출한 히로노 연방 상원의원은 이산가족의 상봉은 도덕적 의무라고 말했다.

“70년 전 북에 사랑하는 가족들을 두고 온 한국계 미국인들이 가족 상봉을 하는 것은 시급한 도덕적 의무”라고 말했다. “이 중요한 법안은 국무부가 남북한의 이산가족 상봉에 한인이 포함될 수 있도록 힘써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대부분의 이산가족 당사자들이 80-90대인 현실을 고려하여 이들에게 신속하게 가족 상봉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라고 그는 말했다.

히로노와 함께 이 법안을 공동 발의한 설리번 연방 상원의원은 전쟁의 비극이 전쟁이 발발한 지 70년이 지난 지금도 한인들 속에 지속되고 있다고 말하고, 작금의 남북 관계와 상황이 법안의 실현성을 높이고 있고, 희망을 품게 한다고 발표했다.  

“한국전쟁의 지속적인 비극은 아직도 한반도 38선을 따라 수많은 가족들이 갈라져 있다는 사실이다. 아버지, 어머니, 조부모, 숙모, 삼촌, 형제자매가 깨어나 보니 현실 속에서는 두 번 다시 가족들을 볼 수 없고 그들의 목소리도 들을 수 없게 것이다. 이 모든 것이 왕래할 수 없는 휴전선과 남북의 적대적 관계로 인한 것이다. 이제 변하는 양국 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고려할 때, 나는 이산가족들이 단기간만이라도 접촉하고 상봉할 수 있는 새로운 희망이 있다고 생각한다.”

2019년 10월 30일에도 이산가족 상봉 법안(H.R. 1771, Divided Families Reunification Act)이 연방 하원 외교위원회에 정식 상정되어 만장일치로 통과된 적이 있다.

당시 이 법안에는 미국 국무성이 미국 내 이산가족들이 북에 두고 온 가족을 만날 수 있도록 한국 정부와 상의하고, 국무성의 북한인권특별대사는 이산가족 대표들과 정기적으로 상의를 하고 통일의 노력에 협조하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번 법안은 국무부가 한국 정부와 상의하는 것 외에 구체적으로 실천 방안을 제시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미국 최대 규모의 한인 유권자 네트워크인 KAGC(Korean American Grassroots Conference)의 송원석 대표는 “미국의 한반도 정책에서 이산가족 상봉과 같은 구체적인 인도주의적 조치가 우선시된 지 오래되었다. 한국전쟁 이산가족 상봉법은 기념비적 진전이다.  왜냐하면 지난 2015년 이래 상원이 처음으로 이 문제를 다룬 것일 뿐만 아니라, 더욱 중요한 사실은, 과거에 상하 양원에서 통과시킨 결의안과는 달리 이것은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제안하는 최초의 법안이기 때문이다.”라고 이번 법안의 의의를 설명했다.

미국 내 이산가족들의 단체인 미국 이산가족협회(Divided Family USA)의 폴 리 회장은 “우리는 이번 법안을 통해 지난 70년 동안 북에 두고 온 사랑하는 가족들과 헤어져 있는 한인 이산가족의 문제를 제기해 준 히로노 상원 의원에게 박수를 보낸다. 한국전쟁으로 인한 상처를 취유하고, 가족 상봉이라는 보편적 인권을 우선시한 이 일은 역사적 진전이다.”라고 평가했다.

 

기사 출처: https://www.hirono.senate.gov/news/press-releases/-hirono-sullivan-introduce-bill-to-reunite-korean-americans-with-long-separated-family-members-in-north-korea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615-742-5470 또는 [email protected]로 하시기 바랍니다.

개체교회
영화 <Her(그녀)>의 트레일러 갈무리.

인공지능 HER의 사랑과 외롭고 불완전하고 서툰 인간의 사랑과…

현혜원 목사는 “하나님은 완벽한 기계의 논리 속이 아니라, 때로는 미숙하고 불안정하지만, 진심으로 서로를 사랑하려는 사람들 사이에 거하십니다.”라고 말한다.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사회적 관심
연합감리교회 사회부는 연합감리교인들에게 자신들의 지역구 의원들에게 한반도평화법안(H.R. 1841) 발의자로 참여할 것을 요청하라고 촉구했다. 사진은 한국전쟁 정전협정 70주년인 2023년 7월 27일, 수백 명의 한반도 평화 운동가들이 백악관 앞 라파예트 광장을 출발해 링컨기념관까지 평화통일 기원 행진을 하는 모습이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 사회부 한반도평화법안(H.R.1841) 지지 요청

연합감리교회 사회부는 교인들에게 자신이 속한 지역구의 연방 하원의원에게 한반도평화법안(H.R.1841)의 공동 발의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하라고 촉구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