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워놓고 싶은 제목입니다.

 
요즈음 시카고 가을 날씨가 아름답기가 그지 없습니다.  조금 일찍 시작한 가을날씨가 벌써 몇 주째 청명함을 더해 가고 있습니다.  날씨가 좋으니 괜스레 마음도 싱숭해 지는 것 같습니다.  왠지 어딜 가야 될 것 같은 생각도 들고 말이죠.  이민 목회를 하면서 늘 아쉬운 것이 조금만 더 여유가 있었으면 좋겠다 하는 것입니다.  재정적인 여유도 조금 있었으면 좋겠구, 시간적인 여유도 꼭 좀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 때가 많이 있습니다.
 
10 여년 전 미국인 교회를 시작했을 때의 일입니다.  교회에 부임한지 한 달여 되었을 때 어느 가정이 유아세례를 부탁해 왔습니다.  세례를 준 날, 가족들이 모여 축하 파티를 한다며 저희 가정을 초대해 주었는데, 가보니 위스콘신의 경계를 넘자마자 시원하게 펼쳐지는 목초지 위에서 말 농장을 하는 집이었습니다.  9월초 요즈음 같이 청명했던 가을 날, 세월의 바람 자국이 아늑한 농장 집 앞에 차려 놓았던 소박한 시골 음식이 생각 납니다.  그리고 마음 넉넉한 시골 할아버지처럼 듬직하게 서 있는 큰 나무 그늘 아래에 앉아 작은 파도처럼 이어지는 푸른 언덕배기로 달리는 말들을 바라보며 “음미했던” 커피 한잔이 아직까지 저의 마음을 훈훈하게 해 주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급성장하는 한인 교회에서 부목을 하며 진을 뺐던 자국들이 마음 여기저기 남아 있던 때 여서인지 그 때의 평안함이 더욱 소중하게 각인 되었던 것 같습니다.
 
몇 년 전에 법정 스님의 책에서 보았던 “삶의 여백”이라는 표현이 생각납니다.  동양화에서는 종이를 차지하고 있는 그림 만큼 비워 놓은 여백이 미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는 것처럼, 삶에 있어서도 우리가 성취하여 채워 놓은 것 만큼, 버리고, 비우고, 남겨 놓은 “여백”들이 우리들의 삶의 가치를 결정한다는 말씀입니다.  구약에서 그렇게도 강조하는 안식일도 결국은 삶의 여백을 위함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보면서, 지난 금요일에 마친 김진양 목사님의 모세 오경 강의 중에서 안식일을 “시간의 지성소”라고 했다는 아브라함 헤셀의 표현이 계속 생각을 맴돕니다.  두 분의 말을 합쳐 보면 삶의 여백이 있어야 하나님을 만나는 거룩한 역사가 일어난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 같은데 ...
 
이 렇듯 삶의 여백을 가지고 사는 것이 중요한데, 제 캘린더를 보니 공백으로 남아 있는 날 없이 빼곡히 차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아니, 어떻게든 채워 놓으려고 “몸부림친” 모습이 보이는 것 같아 편찮네요.  그리고 화창한 가을날 스산해 오는 중년남의 마음을 털어 놓고 싶어 문득 커피 한잔 같이 할 사람을 찾는데 ... 이름들이 떠오르지 않음에 조금 당황하게 됩니다.  빈자리를 메꾸는 “일”들은 많은데, 빈 공간에 함께 해 줄 “사람”이 없음이 적잖게 당황스럽습니다.  
 
모 세 오경 강의에서 하나님의 이름 “야훼”는 “혼자 존재하는 이” 보다는 “함께 존재하는 이”라는 뜻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는 새로운 배움을 기억하면서, ‘하나님도 외로우셔서 우리보고 만나자고 좋은 날씨를 주시는 건가?’ 하는 뚱딴지 같은 해석을 내려 봅니다.  그러면서 갑자기 드는 생각 ... ‘지난 주일 공영숙 집사님의 하모니카 특송이 은혜로웠는데 나도 하모니카나 배워 볼까?’  그리고 캘린더를 다시 보니, 수요일 오후에 시간이 나는 것 같은데 ... ... ...
 
글쓴이: 김태준 목사, 살렘한인연합감리교회, IL
올린날: 2015년 10월 15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신학
뉴올리언즈의 제일그레이스연합감리교회 션 모세 목사(오른쪽)가 교회에 등록한 교인 가정을 환영하고 있다. 사진, 캐티 길버트,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으로 등록한다는 의미는?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이 된다는 것은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고자 오셨던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이들의 모임에 동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체교회
세계성찬주일, 그래픽, 연합감리교뉴스.

새로운 성찬예식으로의 초대

오는 10월 5일 세계성찬주일을 맞아, 그레이스 연합감리교회의 이형규 목사는 성찬식의 전통을 새롭고 창의적으로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신앙 간증
2018년 1월 30일, 플로리다 세인트피터즈버그에 소재한 올렌데일 연합감리교회의 앤디 올리버 목사(왼쪽)가 탬파 이민 사무소 앞에서 루이스 블랑코와 함께 기도하고 있다. 교회는 블랑코와 가족이 추방 절차를 겪는 동안 그들에게 지지를 보냈다. 올리버 목사는 현재도 플로리다의 소외된 공동체와 연대하며, 주 내 이민자 구금시설 앞에서 매주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 제공, 앤디 올리버 목사.

웨슬리를 본받아 약자와 동행하는 목사

30대 초반 심장마비로 목회 현장을 떠났던 앤디 올리버 목사는 다시 교회로 돌아와 감리교 창시자 존 웨슬리처럼 사회적 약자와 동행하며 감리교인의 정체성을 실현하고 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