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번호 13027!

Translate Page

지난 주일에 있었던 새 교우 환영만찬은 참 유익하고 행복한 천국잔치와도 같은 자리였습니다. 작년 말부터 저희 교회에 출석하셔서 등록교인이 되신 8분을 모시고 환영과 사랑을 표현하며, 우리 교회의 정식 멤버로서 본격적인 교회생활을 시작하는 새 교우들의 심경과 교회에 대한 그 동안의 소감 등을 나누는 자리이기도 했습니다.

임원들이 먼저 돌아가면서 교회에서 맡은 직분과 새 교우들에 대한 환영의 인사를 하였는데, 제 차례가 되어 저도 작년에 부임하여 받은 우리 교회의 교인번호인 13027을 외치며, 제 소개를 하였습니다.

임원소개가 끝나고 이제 새 교우들의 자기 소개가 이어졌는데, 대부분 여러 교회를 찾는 중에 우리 교회의 첫 인상이 교인들이 행복해 보였고, 첫날 방문부터 너무도 따뜻하게 맞이해 준 것에 대하여 좋은 인상을 갖게 되었노라고, 그 이후 교회를 계속 출석하게 되어 드디어 교회의 한 식구가 될 수 있었다는 이야기들을 이어갔습니다.

한 새 교우의 차례가 되었습니다.

“저는 수인번호 14001, XXX입니다.” 하시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교인번호 14001’이라고 하실 것을 잘못 말씀하신 줄 알았는데, 계속해서 본인이 수인(囚人)번호라고 한 이유를 말씀하셨습니다.

“처음 이 교회에 와서는 목사님으로 인해서 한 발이 붙잡혔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제는 여러 교인들로 인해서 다른 발마저 붙잡히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두 발 모두 교회에 완전히 붙잡혔다는 생각이 들어서 교인번호라는 말 대신에 마치 감옥에 갇힌 사람과 같이, 수인(囚人)번호라고 저 스스로를 불렀습니다.”

어렵게 찾아온 교회에서 행복해 보이는 목사와 교인들에게 자연스럽게 끌리게 되어서 이제는 손님이 아니라 내 교회가 되었노라고 고백하시는 그 분의 나눔을 통해서 환영만찬에 참석한 우리 모두는 감사했고, 아직은 부족하지만, 교회다운 교회, 건강한 교회로 세워져 나가고 있는 교회인 것 같은 표시를 발견한 기쁨으로 감사했던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새 교우 환영 만찬을 통해서 다시 확인한 사실은 우리 교회를 처음 찾아 오시는 새 교우들은 우리의 얼굴을 먼저 보고 교회의 분위기를 읽고 계셨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정말 예수를 믿는 것으로 행복하고, 성도간의 교제에서 사랑을 나눈다면, 그 모습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우리 교회에 발을 붙잡히게(?) 된다는 것입니다. 성도의 얼굴에서 나타나는 행복은 감출 수 없습니다. 우리가 복음을 입으로 전하지 않았어도, 때로는 우리의 얼굴로 복음은 이미 전해지고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일주일 내내 새 교우의 그 고백을 떠올리며, 앞으로도 우리 교회를 찾아올 새 교우들을 예수의 사랑으로 행복한 우리의 얼굴이 그분들을 붙잡을 수 있다는 생각에 기뻤습니다. .

이제 제 소개를 다시 해야겠습니다. “예수로 행복한 센터빌 캠퍼스에 붙잡힌 수인번호 13027번, 윤국진입니다.”

개체교회
박정찬 감독이 연합감리교회 총회에서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연합감리교뉴스 파일.

나는 왜 여전히 연합감리교인인가?

박정찬 감독은 one out of many의 비전과 정신이 성서가 증언하는 하나님 나라의 모습 속에 반영되어 있음을 믿고, 이를 지향하는 연합감리교회의 전통과 역사의 진행에 동참하는 것을 특권으로 생각한다고 말한다.
개체교회
2023년 9월 23일 토요일 동부 시간 오후 7시에, 동북부와 중북부 그리고 서부 한인선교구가 연합으로 주최하고, 한인목회강화협의회와 여선교회 전국연합회가 후원한 연합감리교회 평신도와 함께하는 미래 컨퍼런스가 132명이 참가한 가운데 화상으로 모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평신도들과 목회자들은 자신이 왜 연합감리교회에 남기로 결정했는지를 나눴다. 사진은 회의 동영상을 갈무리한 것이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평신도들이 전한 연합감리교회에 남아야 하는 많은 이유들

지난 9월 23일, 동북부와 중북부 그리고 서부 한인선교구가 연합으로 주최하고, 한인목회강화협의회와 여선교회 전국연합회가 후원한 연합감리교회 평신도와 함께하는 미래 컨퍼런스가 132명이 참가한 가운데 화상으로 열렸다.
선교
1903년 하디 선교사의 선교사 연합수련회에서의 공개적 회개는 원산 부흥 운동으로 이어져, 1907년 평양 대부흥이라는 열매를 맺게 했다. 사진은 하디가 사역하던 원산 남산동 제일감리교회가 새 건물을 짓고 교인들이 함께 모여 기념 촬영을 한 것이다. 사진 출처, 신앙과지성사.

‘한국 교회 부흥운동의 아버지’ 하디 회심 120주년 포럼과 연합성회가 열린다

2023년 9월 13일, 하디 선교사의 영적 각성 1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처음으로 미주하디기념사업회가 주최하는 감리교 포럼과 평신도 연합성회가 열린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3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