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번호 13027!

Translate Page

지난 주일에 있었던 새 교우 환영만찬은 참 유익하고 행복한 천국잔치와도 같은 자리였습니다. 작년 말부터 저희 교회에 출석하셔서 등록교인이 되신 8분을 모시고 환영과 사랑을 표현하며, 우리 교회의 정식 멤버로서 본격적인 교회생활을 시작하는 새 교우들의 심경과 교회에 대한 그 동안의 소감 등을 나누는 자리이기도 했습니다.

임원들이 먼저 돌아가면서 교회에서 맡은 직분과 새 교우들에 대한 환영의 인사를 하였는데, 제 차례가 되어 저도 작년에 부임하여 받은 우리 교회의 교인번호인 13027을 외치며, 제 소개를 하였습니다.

임원소개가 끝나고 이제 새 교우들의 자기 소개가 이어졌는데, 대부분 여러 교회를 찾는 중에 우리 교회의 첫 인상이 교인들이 행복해 보였고, 첫날 방문부터 너무도 따뜻하게 맞이해 준 것에 대하여 좋은 인상을 갖게 되었노라고, 그 이후 교회를 계속 출석하게 되어 드디어 교회의 한 식구가 될 수 있었다는 이야기들을 이어갔습니다.

한 새 교우의 차례가 되었습니다.

“저는 수인번호 14001, XXX입니다.” 하시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교인번호 14001’이라고 하실 것을 잘못 말씀하신 줄 알았는데, 계속해서 본인이 수인(囚人)번호라고 한 이유를 말씀하셨습니다.

“처음 이 교회에 와서는 목사님으로 인해서 한 발이 붙잡혔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제는 여러 교인들로 인해서 다른 발마저 붙잡히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두 발 모두 교회에 완전히 붙잡혔다는 생각이 들어서 교인번호라는 말 대신에 마치 감옥에 갇힌 사람과 같이, 수인(囚人)번호라고 저 스스로를 불렀습니다.”

어렵게 찾아온 교회에서 행복해 보이는 목사와 교인들에게 자연스럽게 끌리게 되어서 이제는 손님이 아니라 내 교회가 되었노라고 고백하시는 그 분의 나눔을 통해서 환영만찬에 참석한 우리 모두는 감사했고, 아직은 부족하지만, 교회다운 교회, 건강한 교회로 세워져 나가고 있는 교회인 것 같은 표시를 발견한 기쁨으로 감사했던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새 교우 환영 만찬을 통해서 다시 확인한 사실은 우리 교회를 처음 찾아 오시는 새 교우들은 우리의 얼굴을 먼저 보고 교회의 분위기를 읽고 계셨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정말 예수를 믿는 것으로 행복하고, 성도간의 교제에서 사랑을 나눈다면, 그 모습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우리 교회에 발을 붙잡히게(?) 된다는 것입니다. 성도의 얼굴에서 나타나는 행복은 감출 수 없습니다. 우리가 복음을 입으로 전하지 않았어도, 때로는 우리의 얼굴로 복음은 이미 전해지고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일주일 내내 새 교우의 그 고백을 떠올리며, 앞으로도 우리 교회를 찾아올 새 교우들을 예수의 사랑으로 행복한 우리의 얼굴이 그분들을 붙잡을 수 있다는 생각에 기뻤습니다. .

이제 제 소개를 다시 해야겠습니다. “예수로 행복한 센터빌 캠퍼스에 붙잡힌 수인번호 13027번, 윤국진입니다.”

개체교회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인공지능시대 시대 신학하기 3: 새 하늘과 새 땅

강혜성 목사의 “인공지능 시대에 신학하기” 3편이자 마지막 시리즈로, 과거 2000년의 전통 신학을 뛰어넘어 다가오는 인공지능 시대를 아우를 수 있는 폭넓은 신학적 틀을 담보하고, 계속해서 기독교 교회로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려면, 하늘과 땅의 조화가 필요하다고 강 목사는 말한다.
개체교회
전임 목사가 장례식이나 결혼식을 주례하겠다고 나타나는 것은 새롭게 부임한 목사와 교인들 간의 신뢰 쌓기에 도움이 안 된다. 사진은 김응선 목사가 주례한 결혼식의 신랑 신부가 제공한 것이다.

덜렁이 목사의 천방지축 타인종목회 9: 전임 그리고 후임 목사와의 관계

김응선 목사가 타인종목회에 첫발을 디딘 목회자들에게 보내는 갈팡질팡 천방지축 타인종목회 시리즈의 아홉 번째로, 결혼식, 장례식, 세례식을 주례하겠다고 나타나는 전임 목사의 관계 설정에 관한 글이다.
리더쉽
연합감리교 공보부는 아시안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및 전도와 소통과 관련한 사역을 하는 목회자와 평신도를 모아 아시안 리더 패널을 진행할 예정이다. 사진은 지난 3월 2일 내쉬빌에서 열린 새연합감리교아시안연맹 결성식에 모인 사람들로, 새연합감리교아시안연맹은 12개의 아시아계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아시아계의 목소리를 담을 패널리스트를 모집한다

연합감리교 공보부는 아시안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 조사와 패널 토론에 참여할 전도와 소통 및 그와 관련된 사역을 하는 목회자와 평신도 리더를 모집한다. 모든 의사소통은 영어로 이루어지며, 패널리스트의 봉사 시간에 대해 일정의 수고료가 지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