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쁜 남자

예쁜 남자를 가리켜 ‘꽃미남’이라 한다. '왕의 남자’라는 영화가 한국 영화사상 최고의 흥행을 기록하는 대박을 터트렸던 일이 있다. 이런 인기몰이를 한 데는 그 영화에 출연한 배우 중 ‘꽃미남’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여자보다 더 예쁜 그 ‘꽃미남’ 배우의 미모(?)에 뭇 여성들이 푹 빠졌던 것이다. 과거에는 미남은 아니라도 사나이다운 데가 있으면 매력이 있었다. 남자들 특유의 미, 곧 ‘남성미’만으로도 충분했고 여자처럼 예쁜 남자는 도리어 외면을 당했다. 하지만 요즘 세태는 그렇지 않다.

한 설문 조사에 의하면 젊은 층 10명 중에 8명 이상이 자신의 외모에 불만을 갖고 있다고 한다. 성공의 조건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외모가 능력과 수위(首位)를 다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세태를 반영하듯 남성들 사이에서도 취업이나 결혼을 위한 성형 수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예쁜 남자가 되려고 서슴없이 수술대 위에 오르는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남자라는 단어 앞에 ‘예쁜’이라는 수식어는 어울리지 않는다. 물론 ‘이미지 메이킹’(image making) 차원에서 자신의 외모를 좀 더 준수하게 꾸며, 보는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려는 것까지 말릴 수는 없겠지만 멀쩡하게 생긴 남자들이 취업이나 결혼을 위해서 자신의 얼굴에 칼을 대게 하는 것은 아무래도 외모 지상주의의 부산물인 것 같아 마음이 여간 씁쓰름한 것이 아니다.

사람은 외모를 중시하니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은 당연한지도 모른다. 하지만 형형색색으로 정교하게 만들어 낸 ‘조화’(彫花)가 아무리 아름답다 한들 어찌 ‘생화’(生花)가 풍겨 내는 ‘생동미’나 그 ‘은근미’와 견줄 수 있겠는가? 성형의 미는 멀리서는 몰라도 코앞에서 들여다보면 어딘가 모르게 부자연스럽고 어색하다. 문제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신체의 일부를 훼손시켜 억지로 미를 만들어 내다가 생긴 모습 그대로 풍겨 나는 ‘자연미’는 물론이고 마음과 인격을 가꾸려는 ‘교양미’ 내지는 ‘인간미’마저 상실해 버리지는 않을까 하는 점이다. 남녀노소 불문하고 성형의 미에 집착하는 것은 심각한 사회적 병리 현상이라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람과는 달리 하나님은 외모가 아닌 중심(中心)을 보신다. 그러므로 옷 차림새나 얼굴 생김새, 그리고 피부색으로 사람을 판단하여 차별하는 것은 하나님께 심판 받을 일이다. 또한 자신의 선천적인 미모(특히 머리털)를 자랑하다가 도리어 그것이 걸림돌이 되어 죽음의 덫에 걸린(참고. 사무엘하 18:9) ‘꽃미남’의 원조 격인 다윗 왕의 아들 압살롬을 생각하면(사무엘하 14:25, “온 이스라엘 가운데 압살롬같이 아름다움으로 크게 칭찬받는 자가 없었으니 저는 발바닥부터 정수리까지 흠이 없음이라”) 예쁜 남자가 되려는 욕망은 부질없는 것이다.

개체교회
2025년 6월 11일 열린 북일리노이 연회 목회자 은퇴찬하예배에서 신경혜 목사가 은퇴사를 전하고 있다. 왼쪽은 남편 주원종 교수.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타인종 목회를 마무리하며: 조금 덜 두려워하고, 조금 더 사랑하라

2025년 6월 11일 북일리노이 연회 은퇴찬하예배에서 신경혜 목사가 전한 은퇴사로, 신 목사는 목회 여정 속에서 두려움보다 사랑을 선택할 때, 그 사랑이 자신과 공동체를 변화시키는 은혜로 역사했다고 고백한다.
개체교회
2024년 10월 7일, LA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연차대회 첫날 개회예배에서 참석자들이 손을 흔들며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인총회 ‘다시,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주제로 뉴저지에서 열린다

오는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2025년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가 창립 50주년을 맞은 뉴저지주 이스트 브룬스위크에 소재한 갈보리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다시,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주제로 개최된다.
총회
연합감리교회 총회인종위원회는 오는 10월 7일부터 9일까지 로스앤젤레스에서 타인종 및 타문화 사역에 헌신하는 목회자들을 위한 특별한 시간을 준비했다. 이번 모임은 제도적 어려움과 정서적 소진이 깊어지는 상황 속에서 목회자들이 잠시 멈추어 쉬고, 회복과 재충전의 은혜를 누릴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되었다. 그래픽 출처, https://www.gcorr.org/ftf2025.

타인종·타문화 목회자들을 위한 쉼과 회복, 재충전의 거룩한 시간

연합감리교회 총회인종위원회는 오는 10월 7일부터 9일까지 로스앤젤레스에서 타인종 및 타문화 사역에 헌신하는 목회자들이 쉼과 회복, 재충전의 은혜를 누릴 수 있도록 특별한 시간을 마련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