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과 평화

2019년은 3.1 운동이 100주년을 맞이하는 해다. 3.1운동은 일제 식민주의 억압에 항거하여 독립운동의 큰 맥을 세운 우리 민족의 역사이자 평화 운동으로, 세계 역사에 크게 공헌했다.

비록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북미 회담이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공동선언을 이끌어내지는 못했지만, 한반도에는 평화의 새 바람이 불고 있다.

한국교회는 우리 민족 최대 과제인,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에 관해 3.1 운동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생각해보자.

첫째, 불의한 억압과 압박에 굴하지 않는 ‘저항 정신의 실천’이다.

한민족은 일제의 강제 점령으로 야기된 정치· 경제· 군사적 착취로 인해, 육체적· 정신적· 심리적 고통이 극에 달했다.

그 가운데서 교회와 기독교 학교를 중심으로 연대가 가능했던 기독교인들은, 약자를 돌보시고 공의를 실현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힘입어, 한민족의 자주권과 인간 해방의 만세를 외치며 제국주의 폭력에 항거했다.

한반도의 전쟁과 분단 그리고 갈등은 과거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세계열강의 불의와 깊은 관계가 있다.

오늘의 평화 운동은 그 모든 불의에 대한 저항이다.

둘째, 모든 차별 없이 누구나 참가하는 “대동 정신의 실천”이다.

3월 1일의 독립선언서는 당시 엘리트 남성 종교 지도자들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내 남녀노소· 종교· 계급의 구분을 넘어 자발적인 민중운동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 디아스포라 동포 사회로 퍼졌다.

특히 오랜 가부장 문화의 편견을 깨고 죽음을 불사하며 거리로 나와, 지도력을 발휘한 여성들의 역할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큰 용기를 준다. 

셋째, 어느 무력보다도 더 강한 “비폭력 평화 정신의 실천”이다.

3.1 운동에 참여한 이들의 손에는 총과 칼 같은 무기가 아닌 태극기가 들려 있었다.

일제가 3.1 운동을 폭동으로 규정하고 무력으로 진압하여 3.1운동이 폭력화된 부분도 있지만, 맨주먹을 하늘에 올리며 외친 독립을 향한 함성은 다른 피식민지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이는 간디와 마틴 루터 킹으로 이어지는 초교파적 평화 운동의 기초로, 세계사적 의미를 가진다. 

저항 정신· 대동 정신· 평화 정신은 이미 예수가 삶과 사역을 통해 실천하고 가르친 바다. 예수는 로마 제국의 식민지배 아래 식민 백성의 한을 공유하며, 모든 인간이 함께 참여하는 평화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비전을 선포했다.

교회들은 3.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민족의 과제인 한반도 통일과 평화를 위해 3.1 정신을 실천하고, 예수의 치유와 회복 및 화해의 사역도 실천하기를 기도한다.

정화영 목사

연합감리교회 평화위원회

 

사회적 관심
2025년 8월 15일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 통치로부터 해방되고 독립을 선포한 지 80주년을 맞는 날이며 분단 80주년이다. 사진은 2025년 6월 24일, 6대륙 15개국에서 온 세계감리교청년평화순례 참가자 45명이 파주 비무장지대를 방문해 참관한 모습이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해방 80주년과 희년 묵상

정희수 감독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 통치로부터 해방되고 독립을 선포한 지 80주년을 맞는 2025년 8월 15일을 앞두고, “비록 우리는 여전히 분단되어 있지만, 평화의 왕이신 성령께서 인류의 복지를 위한 거룩한 사명으로 통일을 이루시기를 기도하자”라고 말했다.
개체교회
2024년 10월 7일, LA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연차대회 첫날 개회예배에서 참석자들이 손을 흔들며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인총회 ‘다시,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주제로 뉴저지에서 열린다

오는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2025년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가 창립 50주년을 맞은 뉴저지주 이스트 브룬스위크에 소재한 갈보리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다시,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주제로 개최된다.
전도
2025년 6월 24일, 세계감리교청년평화순례 참가자들이 파주 비무장지대방문 중 DMZ 표지 앞에 모였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WCC와 KNCC 광복절 80주년 기념 예배 서울에서 공동으로

광복절 80주년을 맞아 세계교회협의회(WCC) 제리 필레이 총무가 한국을 방문한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화해통일위원회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2025년 한(조선)반도 평화통일 남북공동기도문을 전 세계에 배포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