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과 평화

2019년은 3.1 운동이 100주년을 맞이하는 해다. 3.1운동은 일제 식민주의 억압에 항거하여 독립운동의 큰 맥을 세운 우리 민족의 역사이자 평화 운동으로, 세계 역사에 크게 공헌했다.

비록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북미 회담이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공동선언을 이끌어내지는 못했지만, 한반도에는 평화의 새 바람이 불고 있다.

한국교회는 우리 민족 최대 과제인,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에 관해 3.1 운동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생각해보자.

첫째, 불의한 억압과 압박에 굴하지 않는 ‘저항 정신의 실천’이다.

한민족은 일제의 강제 점령으로 야기된 정치· 경제· 군사적 착취로 인해, 육체적· 정신적· 심리적 고통이 극에 달했다.

그 가운데서 교회와 기독교 학교를 중심으로 연대가 가능했던 기독교인들은, 약자를 돌보시고 공의를 실현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힘입어, 한민족의 자주권과 인간 해방의 만세를 외치며 제국주의 폭력에 항거했다.

한반도의 전쟁과 분단 그리고 갈등은 과거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세계열강의 불의와 깊은 관계가 있다.

오늘의 평화 운동은 그 모든 불의에 대한 저항이다.

둘째, 모든 차별 없이 누구나 참가하는 “대동 정신의 실천”이다.

3월 1일의 독립선언서는 당시 엘리트 남성 종교 지도자들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내 남녀노소· 종교· 계급의 구분을 넘어 자발적인 민중운동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 디아스포라 동포 사회로 퍼졌다.

특히 오랜 가부장 문화의 편견을 깨고 죽음을 불사하며 거리로 나와, 지도력을 발휘한 여성들의 역할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큰 용기를 준다. 

셋째, 어느 무력보다도 더 강한 “비폭력 평화 정신의 실천”이다.

3.1 운동에 참여한 이들의 손에는 총과 칼 같은 무기가 아닌 태극기가 들려 있었다.

일제가 3.1 운동을 폭동으로 규정하고 무력으로 진압하여 3.1운동이 폭력화된 부분도 있지만, 맨주먹을 하늘에 올리며 외친 독립을 향한 함성은 다른 피식민지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이는 간디와 마틴 루터 킹으로 이어지는 초교파적 평화 운동의 기초로, 세계사적 의미를 가진다. 

저항 정신· 대동 정신· 평화 정신은 이미 예수가 삶과 사역을 통해 실천하고 가르친 바다. 예수는 로마 제국의 식민지배 아래 식민 백성의 한을 공유하며, 모든 인간이 함께 참여하는 평화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비전을 선포했다.

교회들은 3.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민족의 과제인 한반도 통일과 평화를 위해 3.1 정신을 실천하고, 예수의 치유와 회복 및 화해의 사역도 실천하기를 기도한다.

정화영 목사

연합감리교회 평화위원회

 

재난 구호
025년 2월 24일, 캘리포니아-퍼시픽 연회 한인연합감리교회연합회 임원들이 2025년 1월 초에 발생한 캘리포니아 남부 산불로 인해 전소된 역사적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회 중 하나인 알타데나 연합감리교회(Altadena UMC)를 방문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인연합감리교회연합회 캘팩 연회에 LA 산불 구호 기금 전달

2025년 2월 24일, 캘리포니아-퍼시픽 연회 한인연합감리교회연합회 임원들이 캘리포니아 남부 산불 피해자들을 돕기 위해, 한인 교회들과 한인 목회자가 섬기는 타인종 교회들이 모금한 $17,597의 성금과 $725 상당의 기프트 카드를 도티 에스코베도-프랭크(Dottie Escobedo-Frank) 감독에게 전달했다.
개체교회
뉴욕 후러싱 제일 연합감리교회 김정호 목사는 교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희년교회로서 '신학하는 과제(Theological Tasks)'를 수행하는 교회가 되기 위한 일환으로, 교리 교육을 위한 매일 묵상집인 『내일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365 말씀묵상』을 출간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서평, 『내일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365 말씀묵상』

뉴욕 후러싱 제일 연합감리교회 김정호 목사는 교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희년교회로서 '신학하는 과제(Theological Tasks)'를 수행하는 교회가 되기 위한 매일 묵상집 『내일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365 말씀묵상』을 출간했다.
선교
2024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연차대회 셋째 날인 2024년 10월 9일, 로스앤젤레스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한인총회와 연합감리교 세계선교부가 선교협약식을 맺은 후, 한인총회의 각 기관을 대표해서 (사진 맨 왼쪽부터) 여선교회전국연합회 최만금 장로, 정주디(Judy Chung) 세계선교부 부총무, 세계선교부 총무 롤랜드 퍼난데스와 한인총회 총회장 이창민 목사, 부총회장 권혁인 목사, 와싱톤한인교회 김유진 목사, 그리고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 안성천(Sunny Ahn) 목사가 협약식 이후 한자리에 모였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물방울이 모여 강을 이루듯

한국 선교 140주년을 맞이하는 2025년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는 목표했던 모든 세계선교부 140명에 대한 후원 약정을 마무리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