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집회가 7월 워싱턴 DC에서 열린다

2023년 6월 25일은 한국전쟁 발발 73주년이 되는 날이고, 7월 26일은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 70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날을 맞이하여, <휴전선을 건너는 여성들(Women Cross DMZ)>는 오는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워싱턴 DC에서, 한반도의 평화를 염원하고 평화협정 체결을 호소하는 “한국평화행동(Korea Peace Action: National Mobilization to end the Korean War)”를 개최하고, 그리스도인을 비롯한 여러 종교단체와 시민단체 및 일반인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한국과 미국을 포함한 한국전쟁에 참여했던 22개의 유엔군이 참가하는 대규모 국제 기념식 등 국제사회가 함께하는 다양한 행사가 계획되어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열리는 대규모 집회이다.

한국평화행동(KoreaPeaceaction) 와싱톤 DC 집회 포스터. 포스터 출처, Koreapeaceaction.org.한국평화행동(KoreaPeaceaction) 와싱톤 DC 집회 포스터. 포스터 출처, Koreapeaceaction.org. 

민간인 포함 300만여 명의 남북한 사망자와 약 50만 명의 중국군 그리고 약 5만 명의 미군과 유엔군의 전사자를 낳은 1950년 한국전쟁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또는 정전협정)을 체결하면서 중지된 상태다. 하지만 이 정전협정에는 중국군과 북한군 그리고 유엔군 사령관만 서명했을 뿐, 한국군과 미국군은 서명하지 않았다. 국제법상 조약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당사국 의회 등의 비준을 요구하지만, 조약 체결 당시 전시 상태인 것을 고려해 군사령관의 서명만으로 비준이 완료된 것이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정전협정에는 3개월 이내에 휴전협정 당사국인 북한군, 중국군, 유엔군 간에 평화협정을 논의해야 한다는 내용이 의무 조항으로 포함되어 있었고, 1954년 제네바 회담에서도 한반도 평화협정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진행하기로 결정했지만, 지금까지 여러 가지 이유로 평화협정에 관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다.

한국에서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비롯한 370개 이상의 한국 시민사회 단체 및 종교 단체가, 국제적으로는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 이하 WCC)를 포함한 70개 이상의 국제 파트너 단체가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인 2020년부터 한국전쟁 종식하고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국제적인 ‘한반도 평화(Korea Peace Appeal)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감리교회는 1988년 이후 총회 때마다 한반도 평화에 대한 결의안을 꾸준히 채택해 왔으며, 2016년 총회에서는 ‘평화, 정의, 화해의 한국(Korea: Peace, Justice, and Reunification)’ 결의안을 의결하고, 연합감리교인들에게 1953년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치하기 위한 전 세계적 캠페인에 참여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올해에는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미국 내 연합감리교회의 북일리노이(Northern Illinois) 연회, 뉴욕(New York) 연회, 뉴잉글랜드(New England) 연회, 위스컨신(Wisconsin) 연회 등이 이달에 열린 연회에서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는 등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의 필요성을 호소한 바 있다.비무장지대를 행진하는 <비무장지대를 건너는 여성들>. 사무총장 크리스틴 안(왼쪽부터 네 번째), 사진 출처, Facebook CODEPINK.<비무장지대를 건너는 여성들>. 사진 출처, koreapeaceaction.org

<휴전선을 건너는 여성들(Women Cross DMZ)>이 주관하는 이번 와싱톤 DC 집회는 연합감리교인들 뿐 아니라 퀘이커(Quaker), 메노나이트(Mennonites), 가톨릭, 불교 등 기독교를 벗어나 범 종교적인 평화 집회를 통해, 한국전쟁 종전 선언과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할 계획이다.

행사의 시작일인 7월 26일에는 다큐멘터리 부분 에미상(Emmy-award winning documentary filmmaker)을 수상한 디앤 보세이 리엠(Deann Borshay Liem)의 환영 인사와 함께 오프닝 리셉션 행사가 진행된다.

정전협정 체결일인 7월 27일에는 오전 9시에 시작하는 의회 기자회견(Congressional Press Conference)을 필두로, 오후 1시에는 우리 한민족의 가슴에 품은 분단의 ‘한’을 풀어내는 행사(Participatory grief transmutation ceremony)가, 오후 5시에는 백악관 앞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과 미 의원들에게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 예정이다. 이어 저녁 7시에는 한국전 참전자 기념광장(Korean War Veterans Memorial)에서 침묵, 회개, 평화 묵상, 평화운동과 희생된 이들을 추모하는 기도, 말씀 묵상, 통성기도, ‘오소서’ 등 기독교적 행사와 함께 ‘우리의 소원은 통일’, ‘강강술래’와 ‘풍물놀이’ 등 범 교단 단체가 참여하는 행사가 열리게 된다.

7월 28일에는 조오지워싱턴 대학교(George Washington University)에서, 한반도 관련 석학인 브루스 커밍스 교수와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가들 및 핵 문제 관련 군사전문가인 댄 리프(Dan Leaf) 중령과 지그프리드 해커(Siegfried Hecker) 박사 등이 패널로 참여하는 평화 포럼이 준비되어 있다.

2018년 7월 26-28일 워싱톤 DC에서 열린 한반도평화축제에 모인 사람들이 한반도의 평화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2018년 7월 26-28일 워싱톤 DC에서 열린 한반도평화축제에 모인 사람들이 한반도의 평화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그간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온 연합감리교회에서는 사회부(General Board of Church and Society)와 세계선교부(General Board of Global Ministries) 그리고 연합감리교회 한인들의 공식 기구인 한인총회의 평화위원회가 이 행사를 후원하고 참여한다.

연합감리교회 평화위원회(회장 장위현 목사)는 이 행사에 한인연합감리교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호소하며, 참가자들의 숙박비를 후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평화위원회의 부회장인 홍사라 목사는 “2016년 총회에서 결의된 ‘평화, 정의, 화해의 한국(Korea: Peace, Justice, and Reunification)’ 결의안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참여하기를 원하는 모든 분의 참여를 바랍니다. 평화위원회는 이 행사가 활성화되길 바라며, 참여자들의 숙박비를 지원합니다.”라고 전했다.

또한 뉴욕 후러싱 제일 연합감리교회도 뉴욕 연회와 뉴욕 한인들의 참여를 돕기 위해, 집회의 하이라이트인 7월 27일 당일, 관광버스를 대절하여 뉴욕에서 워싱턴 DC까지의 교통편을 후원할 예정이다.

이 행사에 참여를 원하는 연합감리교인은 평화위원회 회장인 장위현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로 연락하면 된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더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선교
오하이오 감독구 정희수 감독(왼쪽), 서오하이오 연회의 교회역사보존위원회(GCAH) 위원장인 데이브 볼링, 내리교회의 김흥규 목사, 임찬순 목사가 연합감리교회 오하이오 감독구와 기독교대한감리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 140주년 기념행사를 마친 후, 프랭클린과 버타 외링거 선교사 부부의 묘지를 방문했다. 사진 제공, 임찬순 목사.

메리와 윌리엄 선교 140주년 기념대회와 그 메아리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 140주년 기념대회’에 참석한 임찬순 목사는 두 선교사의 신앙과 헌신을 되새기며, 그들의 사역이 한국 감리교회와 사회, 그리고 독립운동에 끼친 영향을 조명했다.
사회적 관심
조지아주 현대·LG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기술자들이 체포되는 장면이 2025년 9월 13일 한국 MBC 뉴스 영상을 통해 전해졌다. 이번 사건으로 인해 한국과 미국 양국에서 비판 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상처 입은 사회, 어떻게 정의와 희망을 선포할 것인가

정희수 감독은 목회 서신에서 조지아주 현대·LG 배터리 공장에서 드러난 직원들에 대한 무차별적 구금과 억압, 그리고 비인격적인 처우는 우리 사회 전반에 충격과 분노를 불러일으켰다고 말하고, 이 상황에서 교회와 목회자에게 '어떻게 정의와 희망을 선포할 것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선교
2025년 8월 4일,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에 소재한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개회예배에서, 한 참석자가 두손을 들고 선교를 위해 기도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와 신앙, 더 나아가 선교의 미래를 함께 나누는 자리였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선교는 하나님의 미래에 투자하는 것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마지막 날인 2025년 8월 6일,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를 대표해 발제한 이창민 목사는 메리 스크랜턴의 담대한 발걸음처럼, 오늘 우리의 뮤추얼 선교가 후세들에게 믿음과 사랑, 헌신으로 이어질 질문과 유산이 되기를 소망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