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일은 잘 믿는 것”

얼마 전에 페이스 북에 올라 온 박노해씨의 <부모로서 해줄="" 단="" 세="" 가지="">라는 글을 보면서 많은 공감을 했습니다. 그래서 그 분의 글을 여러분들께 소개할까 합니다.

‘무기 감옥에서 살아나올 때 이번 생애는 아이를 낳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내가 혁명가로서 철저하고 강해서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허약하고 결함이 많아서이다. 하지만 기나긴 감옥 독방에서 나는 너무 아이를 갖고 싶어서 수 많은 상상과 계획을 세우곤 했다. 나는 내 아이에게 일체의 요구와 그 어떤 교육도 하지 않기로 했다. 미래에서 온 내 아이 안에는 이미 그 모든 씨앗들이 심겨져 있을 것이기에. 내가 부모로서 해줄 것은 단 세 가지였다.

첫째는 내 아이가 자연의 대지를 딛고 동물들과 마음껏 뛰놀고 맘껏 잠자고 맘껏 해보며, 그 속에서 고유한 자기 개성을 찾아갈 수 있도록 자유로운 공기 속에 놓아두는 일이다. 둘째는 ‘안 되는 건 안 된다’를 새겨주는 일이다. 살생을 해서는 안 되고, 약자를 괴롭혀서는 안 되고, 물자를 낭비해서는 안 되고, 거짓에 침묵동조해서는 안 된다. 안 되는 건 안 된다! 는 것을 뼛속 깊이 새겨주는 일이다. 셋째는 평생 가는 좋은 습관을 물려주는 일이다. 자기 앞가림은 자기 스스로 해나가는 습관과, 채식 위주로 뭐든 잘 먹고 많이 걷는 몸 생활과, 늘 정돈된 몸가짐으로 예의를 지키는 습관과, 아름다움을 가려보고 감동할 줄 아는 능력과, 책을 읽고 일기를 쓰고 홀로 고요히 머무는 습관과, 우애와 환대로 많이 웃는 습관을 물려주는 일이다.

그러니 내 아이를 위해서 내가 해야 할 유일한 것은 내가 먼저 잘 사는 것, 내 삶을 똑바로 사는 것이었다. 유일한 자신의 삶조차 자기답게 살아가지 못한 자가 미래에서 온 아이의 삶을 함부로 손대려 하는 건 결코 해서는 안 될 월권 행위이기에. 나는 아이에게 좋은 부모가 되고자 안달하기보다 먼저 한 사람의 좋은 벗이 되고, 닮고 싶은 인생의 선배가 되고, 행여 내가 후진 존재가 되지 않도록 아이에게 끊임없이 배워가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나는 그저 내 아이를 ‘믿음의 침묵’으로 지켜보면서 이 지구별 위를 잠시 동행하는 것이었다.’

저는 이 글을 읽으면서 부모로서 자녀에게 남겨 줄 하나 더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바로 하나님을 향한 믿음입니다. 마가복음 16장에 보면 예수님께서 부활하셨다는 이야기를 듣고도 믿지 않았던 제자들의 이야기가 여러번 나옵니다. 2천 년 후에도 각자의 소견을 따라 살아가려는 시대의 물결에 듣고도 믿지 못하는 경우가 너무도 많습니다. 요한복음 6장에 ‘하나님의 일은 잘 믿는 것’이라 했는데, 내가 먼저 잘 믿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2017년 새해를 맞이하면서 우리 교회 신앙의 선배 되시고, 모범이 되시며, 여러모로 헌신하시는 시무 장로님들께 제가 하나님의 일에 대해 몇 가지 부탁을 했습니다. 매 주일예배 중보기도 참여, 주차 봉사, 예배 안내를 한 달씩 섬겨 주시는 것과 소그룹의 활성화를 위해 목자로 헌신하실 것을 부탁 드렸습니다.

 2017년 새해가 열렸습니다. 지난 해 하나님의 향한 여러분들의 믿음은 어떠했나요? 잠시 일 손을 멈추고 지난 한 해를 되돌아 보며, 새로운 해, 새로운 결단으로 2017년을 시작했으면 합니다.

글쓴이: 이성현 목사, 샌디에고한인연합감리교회, CA
올린날: 2017년 1월 3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교회 역사
사진, 1914년 촬열된 신부 합동 결혼식. 이대위 목사는 뒷줄 중간에 있다. 사진 제공, 유석종 목사.

일제 강점기 미주 한인사회를 이끈 이대위 목사 1

이대위 목사는 “단순히 개인의 영적 구원에 머물지 않고, 공동체와 민족의 구원이라는 더 큰 목표 속에서 목회했다… 하나님 사랑과 나라 사랑은 한 샘에서 나온다… 우리가 성령으로 세례를 받듯 애국 열성의 피로 세례를 받고 나라와 민족을 위해 자신을 내어줄 때, 의로우신 하나님께서 반드시 금수강산의 복지를 되찾게 하실 것이라고 확신했다.”라고 유석종 목사는 기록했다.
교회 역사
2025년 8월 4일, 오하이오 한인 풍물놀이팀이 클리블랜드하이츠 소재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개막 만찬에서 전통 장단에 맞춰 공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연합감리교뉴스.

오하이오에서 한국까지: 메리 스크랜턴과 윌리엄 스크랜턴의 140년 유산을 기리다

8월 4일부터 6일까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의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신앙·미래를 나누는 행사가 열렸다.
사회적 관심
2025년 8월 15일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 통치로부터 해방되고 독립을 선포한 지 80주년을 맞는 날이며 분단 80주년이다. 사진은 2025년 6월 24일, 6대륙 15개국에서 온 세계감리교청년평화순례 참가자 45명이 파주 비무장지대를 방문해 참관한 모습이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해방 80주년과 희년 묵상

정희수 감독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 통치로부터 해방되고 독립을 선포한 지 80주년을 맞는 2025년 8월 15일을 앞두고, “비록 우리는 여전히 분단되어 있지만, 평화의 왕이신 성령께서 인류의 복지를 위한 거룩한 사명으로 통일을 이루시기를 기도하자”라고 말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