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담하지 말라”

Translate Page

올 해 한국은행의 일반 사무직 채용공고에 3400명이 지원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채용 인원이 20명 이내인 것을 고려하면 경쟁률이 무려 170대1에 이른 셈입니다. 일반 사무직에는 그 동안 상업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주로 채용되었는데, 몇 해 전부터 청년실업이 심각해지면서 정년이 보장되는 안정된 직업에 4년제 대학졸업자까지 대거 몰리면서 경쟁률이 이렇게 급상승한 것입니다. 그런데 사실 이런 현상은 몇 해 전, 한 방송사에서 실시한 초등학생들의 장래 희망 조사에서 이미 예측되었습니다.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대망의 1위는 공무원이었습니다. 공무원이라는 직업을 폄하하는 것은 아니나, 동심을 너무 일찍 잃고 현실적으로 되는 것 같아서 씁쓸하지 않습니까? 허황된 듯 들려도 아이들에게 장래 꿈을 물으면 “대통령이요!”라고 하던 시절이 그립습니다.

하나님께서 다윗을 사울의 뒤를 이어 이스라엘의 ‘대통령’으로 삼으신 이유는 그가 하나님의 신에 붙잡힌,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사람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소위 말하는 ‘현실적인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하나님이 심어주신 비전을 따라 살았던 것입니다. 한 예로, 그가 블레셋의 장수 골리앗 앞에서 한 말을 보십시오. 다윗은 아버지의 명을 받아 전쟁터에 있는 형들을 면회 갔다가 이스라엘 군대가 골리앗 앞에서 모욕을 당하고 있는 것을 목격했고, 한 병사의 중재로 사울을 만나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다윗이 사울에게 말하되 그로 말미암아 사람이 낙담하지 말 것이라’(삼상17:32). 보십시오. 다윗이 이스라엘 군대의 병사가 되지 못한 것은 어렸기 때문입니다. 이는 다윗이 이스라엘 사회에서 사람 수에 들어가지 못하는 자였다는 의미입니다. “요압이 백성의 수효를 다윗에게 보고하니 이스라엘 중에 칼을 뺄 만한 자가 백십만 명이요 유다 중에 칼을 뺄 만한 자가 사십칠만 명이라”(대상21:5).

사울 왕이 전시 상황에서 이렇듯 ‘칼을 빼지 못하여’ 백성의 수에도 들어가지 못하는 어린 다윗을 만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까? 자연스럽지 않습니다. 그러기에 이 만남 자체에 하나님의 역사하심이 있었다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또 소년이 왕에게 “사람이 낙담하지 말 것이라”는 말을 하고 있는 이런 상황도 그렇습니다. 왕 앞에서 이런 담대한 선언을 한 것도 어린 소년이 한 말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그건 다윗을 붙잡고 있던 하나님의 신이 하게 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블레셋의 골리앗이 장대한 모습과 그가 쏟아내는 험한 말로 인해 마음이 녹아 전의를 상실해 가던 이스라엘을 구원하시기 위해 다윗을 보내셔서 말씀하신 것입니다. “골리앗의 크기에 기죽지 말라! 그의 험한 말에 영향을 받지 말라?” 하나님은 사람의 말에 휘둘려 전의를 상실한 이스라엘 군대를 세우기 원하셨던 것입니다.

지난 주, 홍정욱 전 국회의원의 근황에 관한 글을 읽었습니다. 그는 하버드 대학을 졸업하고 스텐포드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수재입니다. 여기에 영화배우 남궁원의 아들로, 잘 난 외모까지 더하니 정말 잘난 사람입니다. 그러나 그를 더욱 빛나 보이게 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가 어머니의 신앙을 물려받아 신실한 하나님의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그가 청년들을 대상으로 강의할 때마다, 자신이 삶에서 얻은 교훈이라며 나누는 말이 있습니다. "남의 말이 네 맘속에 파고들게 하지 말아라. 네 가슴과 직관은 이미 네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 가슴과 직관의 소리를 듣는 용기를 가지는 것이다.“

글쓴이: 이철구 목사, 남부플로리다한인연합감리교회, FL
올린날: 2015년 8월 25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리더쉽
엘리자베스 슈레이더는 파피루스 66의 요한복음 필사본에서 마리아가 마르다로 수정된 사실을 발견했다. 사진은 파피루스 66에 있는 요한복음 11장 3절에서 마리아의 이름이 마르다로 바뀐 부분. 이미지 출처, 위키미디어커먼스.

마리아와 마르다는 동일 인물인가?

현혜원 목사는 최근 연구된 자료를 근거로, “가로되 주여 그러하외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세상에 오시는 하나님의 아들이신 줄 내가 믿나이다.”(요한복음 11장 27절)라고 고백한 마르다는 마리아이며, 타워(탑, 塔)를 의미하는 막달라는 마리아의 별칭이었다고 말한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교단
연합감리교회를 떠나는 문제로 고민하는 몇몇 교회들과 교단의 미래에 대해 궁금해하는 현 상황에 맞춰, 연합감리교 공보부는 <연합감리교회에 관해 물어보세요(Ask The UMC)>를 통해 교단 탈퇴와 관련된 오해나 잘못된 정보를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될 질의응답 시리즈를 게재한다. 사진 제공, 로렌스 글래스,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 하나요? (9부)

이글은 장정 ¶2553의 미래와 장정 ¶2553에 의거한 교단 탈퇴가 허용되지 않거나 중단된 연회들 그리고 교단을 떠나는 교회에 파송되었지만, 교단에 남고자 하는 목회자들과 관련된 질문에 관한 내용입니다.
개체교회
하나님은 우리에게 이 땅에서 생육하고 번성하라고 하셨다. 생육하고 번성하는 삶을 살기 위해, 창조 세계의 온전한 보전이 제자도의 중요한 영역을 차지한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생육하고 번성하는 삶

생육하고 번성하는 삶을 살기 위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관계 회복은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의 화해뿐 아니라 신음하는 창조 세계와의 화해를 포함하고 있고, 제자도의 중요한 영역을 차지한다고 이준협 목사는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