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불안”을 왜 느끼는가?

알랭드 보통이라는 저자가 쓴 “불안”이라는 책을 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현대인들은 왜 불안을 느끼는가에 대해 매우 재미있는 분석을 한 사람입니다. 그것은 다름 아닌 모든 사람이 평등하며 모든 사람들에게 평등한 기회가 주어졌다고 믿는 신화에서 생겼다고 합니다.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고 한다면 각 개인이 가진 지능, 창의성, 용기, 체력 등을 가지고 수고한 것에 대한 보상이 정당하게 배분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공한 사람들이 능력있는 사람들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을 ‘능력주의 사회’ (meritocracy)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능력주의 사회에서 가난한 사람들은 실패자들이 된다는 것이지요. 성공이 자기 노력의 결과라면 실패 또한 자신의 무능력의 결과로 보여지는 사회에 살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사람들은 영국 여왕이나 자신들과 전혀 다른 종류의 사람들을 부러워하지 않는답니다. 그러나 자기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자기보다 잘 나면 부러워하는 정도가 아니라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입니다. 과거에 가난한 사람들은 운이 없는 사람 (un-fortunate)이라고 불린데 반해서, 이 능력주의 사회에서는 가난한 자들은 실패자(loser)로 간주된다는 것입니다. 그 어느 때보다 불안한 사람이 많고 자살률이 많은 이유가 이 평등한 사회, 능력있는 자들이 제대로 보상을 받는 정의로운 사회라는 신화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이 신화가 신화라고 생각해야 하는 까닭은 이렇습니다. 현실 사회에서 결코 개인의 부와 지위가 정당하게 부여되는 것이 아닙니다. 1) 모든 이들에게 평등한 기회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2) 물론 사람 자체도 평등하지 않습니다. 또한 3) 능력주의 사회에서 이야기하는 성공은 획일적으로 지위의 상승이나 부의 축적의 여하에 따라 결정되는데 그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는 것이랍니다. 성공의 길인 줄 알고 열심히 달려왔는데 그것이 자기가 원하는 것이 아니었으면 어떻게 하냐는 것입니다. 자기가 원하는 것을 기쁘게 하는 것이 행복이고 성공이지 않겠느냐 하는 이야기였습니다. 그러면서 알랭드 보통에 따르면 획일적인 능력주의 사회에서 우리를 방어해 주는 것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기독교라는 것입니다. 참고로 이 사람은 무신론자입니다. 성 어거스틴은 “하나님만이 우리를 제대로 판단하실 수 있다”라는 사상이 우리에게 세상 기준의 성공에 따라 자신을 평가하는 사회에서 자유함을 준다는 것입니다.

알랭드 “보통”의 생각이 기독교에 관한 한 “보통”인 것 같습니다. 예수님은 세상이 규정하는 실패자들이건 불운한 사람이건 그들을 더 귀하게 여기셨습니다. 그래서 세상이 규정하는 시스템을 뒤집어 놓으셨습니다. 마음이 가난한 자가 복이 있다고 하시고 애통하는 자가 복이 있다고 하셨습니다. 뿐만 아니라 예수님은 병든 자, 세리, 간음한 여인들을 하나님의 사랑으로 회복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왜 불안한지 분석만 하지 그치지 않으시고 세상이 줄 수 없는 평안을 주시는 분이십니다. 예수님은 과연 “보통”을 뛰어넘으십니다.

선교
연합감리교회 제자사역부는 다양한 소수민족/인종기금을 최대 1만 달러까지 지원한다. 기금 신청 마감일은 2025년 9월 1일이다. 사진 출처, 연합감리교회 제자사역부.

소수 인종과 소수 민족 교회 사역을 돕는 기금

연합감리교회 제자사역부는 다양한 소수 인종/민족 교회의 사역을 돕기 위해 최대 1만 달러까지 지원한다. 이번 기금 신청 마감일은 2025년 9월 1일이다.
개체교회
다락방 영성형성 아카데미는 시편을 사랑하는 목회자와 평신도를 대상으로, 오는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애리조나주 투산에 소재한 리뎀토리스트 수양관에서 “영혼의 노래, 시편과 함께하는 여정”이라는 주제로 <영성형성 아카데미>를 개최한다. 사진은 <영성형성 아카데미>가 열리는 리뎀토리스 수양관에서 바라본 애리조나 사막의 풍경을 담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시편과 함께하는 여정: 광야로 오십시오

다락방 영성형성 아카데미는 시편을 사랑하는 목회자와 평신도를 대상으로 오는 2025년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애리조나주 투산에 소재한 리뎀토리스트 수양관에서 “영혼의 노래, 시편과 함께하는 여정”이라는 주제로 수양회를 개최한다.
개체교회
영화 <장미의 이름>의 소재가 된 울베르토 에코 장편소설 <장미의 이름>의 표지 중 일부.

영화 《장미의 이름 The Name of the Rose》에 나타난 기독교윤리 1-2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은 중세 기독교 신학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중용의 교리와 신앙의 실천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통찰로 이어졌다. 김영일 교수는 종교는 인간에게 의미와 소속감, 평화와 윤리, 더 나아가 사회 통합과 변화의 동기를 제공하는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며, 사회를 외면하는 교회는 살아 있는 교회가 아니라고 말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