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절은 언제까지이고, 그다음은 무슨 절기인가요?

기독교인들에게 부활절은 하루가 아닙니다.

부활절 절기는 부활절 주일 전날일 토요일 일몰에 시작하여, 성령의 오심과 교회의 탄생을 축하하는 오순절이 시작하기까지 50일 간의 절기로, 유대교의 유월절부터 오순절(오십이라는 뜻)까지의 50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창세기 1장을 보면, 유대인들은 하루의 시작을 아침이 아닌 해지는 저녁으로 이해했습니다. ‘하나님이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창 1:5) 따라서 창세기에 나오는 하루의 시작인 저녁과 부활절을 종합해볼 때, 부활절의 시작은 토요일 저녁인 것입니다.

우리가 부활절 절기를 지키는 것은 단순히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축하하는 기간을 연장하거나 구약의 절기를 따르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초대 교회에서 사순절은 기독교인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이 예수의 가르침을 배우고, 부활절에 있을 세례를 준비하는 기간이었으며, 부활절 절기의 본래 목적은 세례를 받고 새롭게 된 그리스도인들이 계속해서 신앙 안에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처럼, 부활절 기간은 그리스도의 부활과 교회인 우리가 부활하신 주님의 몸이라는 사실을 기뻐하고, 우리의 삶 속에서 그것을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을 허락해 줍니다. 또한 기독교 핵심 교리와 신앙의 신비에 집중하면서, 성령께서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감당하게 하신 사역을 준비하는 기간이기도 합니다.

많은 교회가 부활절 기간에 성례전인 세례와 성만찬에 대해 가르치기도 하고, 교인들의 영적 은사나 소명을 분별하도록 돕기도 하며, 다가오는 오순절 예배에서 교인들을 각자의 은사에 맞는 사역 분야로 파송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도 합니다.

성령강림절(오순절) 이후의 절기는 삼위일체주일에 시작하여, 왕국주일(Christ the King Sunday)에 끝납니다. 이 시기는 우리가 예수의 이름과 성령의 능력으로 받은 은사를 통해, 주어진 사역을 감당하고 교회의 사역을 돕는 것입니다.

각 사역의 환경이 매우 다양할 수 있기에, 이 절기의 구약과 서신서로 구성된 성서일과표(lectionary) 본문들은 더 많은 유연성을 두고 있습니다. 목회자와 예배 준비 담당자들은 세 가지 본문의 흐름(구약, 서신서, 복음서) 중 각 교회의 사역 환경에 가장 적합한 것을 택해, 연속 설교를 구상할 수 있으며, 이 세 본문은 서로 직접적인 연관은 없습니다.

이 기사는 연합감리교뉴스의 Ask the UMC에 작성된 글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email protected]이메일 또는 전화 615-742-5109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선교
2025년 8월 4일,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에 소재한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개회예배에서, 한 참석자가 두손을 들고 선교를 위해 기도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와 신앙, 더 나아가 선교의 미래를 함께 나누는 자리였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선교는 하나님의 미래에 투자하는 것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마지막 날인 2025년 8월 6일,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를 대표해 발제한 이창민 목사는 메리 스크랜턴의 담대한 발걸음처럼, 오늘 우리의 뮤추얼 선교가 후세들에게 믿음과 사랑, 헌신으로 이어질 질문과 유산이 되기를 소망했다.
선교
2025년 8월 6일,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에서 연합감리교회 박정찬 감독이 폐회예배에서 말씀을 전하고 있다. 박 감독은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에게 왜 모든 것을 버리고 땅끝까지 가서 낯선 사람들을 위해 목숨을 바쳤는지 묻는다면, 그들은 아마도 ‘사랑이 우리를 그렇게 하도록 이끌었습니다.’라고 답했을 것입니다.”라고 말한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연합감리교뉴스.

담대한 믿음, 흔들림 없는 소망, 자신을 희생한 강렬한 사랑의 영

2025년 8월 6일,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폐회예배에서 연합감리교회 박정찬 감독은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에게 왜 모든 것을 버리고 땅끝까지 가서 낯선 사람들을 위해 목숨을 바쳤는지 묻는다면, 그들은 아마도 ‘사랑이 우리를 그렇게 하도록 이끌었습니다.’라고 답했을 것입니다.”라고 말한다.
선교
2025년 8월 5일,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둘째 날, 참가자들이 아침 예배를 마친 뒤 함께 기념 촬영을 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연합감리교뉴스.

아름다운 희생을 기억하며

정 감독은 선교대회를 통해 “한국감리교회와 연합감리교회가 사랑과 연대의 끈으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했으며… 우리는 단지 선교의 역사를 회상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한 미래 담론을 다시 열어가고 있습니다.”라고 선포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