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

‘제자’라는 용어 대신에 ‘선비’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합니다. 좀 배가 고파도, 좀 자신이 드러나지 않는다 할지라도, 길이 아니면 가지를 말고, 앉을 자리가 아니면 앉지 않는 것입니다. 선비라는 자존심 하나 만큼이라도 지키면서 사는 것입니다. 어쩌다 교회들이 부패와 불의의 온상처럼 여겨지고 있는지 할 말을 잃습니다. 기독교인이라는 것이, 목사라는 것이 부끄럽게 느껴집니다. 너무 돈을 밝히는 것 같습니다. 성공이 척도가 되었습니다. 크고 화려한 것에 눈이 멀어졌습니다. 마치 구약시대에 이스라엘이 이방국가의 왕 중심의 국가체제를 보고 왕을 달라고 때를 쓰던 그 때의 모습처럼 말입니다.

예수에게서 선비의 모습이 보입니다. “여우도 굴이 있고 공중의 새도 거처가 있으되 인자는 머리 둘 곳이 없다”(마태복음8:20)고 하였습니다. 자신의 안일을 위하여 이 길을 가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지요. 그는 진정 선비였습니다. 교회는 지금까지 ‘제자의 길’이라고 이름하였습니다. 그런데 제자라는 말은 수동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제자라는 말은 우리의 정서에 무엇인가 2%가 모자란 느낌입니다. 누구도 “나는 제자이다.”라고 말하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

선생처럼, 또 하나의 선생으로 살고자 하는 ‘선비의 길’이 보다 더 적극적인 느낌을 줍니다. 선비라는 말에는 자신의 결연한 의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진정 기독교인이 되는 것은 이처럼 선비가 되는 것이지요. 어두운 세상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고, 세상의 부패를 방지하고자 자기 자리를 지키는 것입니다.

섬김이란 관점에서 보면, 선비의 개념이 적합하지 않겠지만, 세상에 모범을 보인다는 면에서, 섬김의 또 다른 면인 것이지요. 제자라는 말 대신에 선비라는 말을 써 봅니다.

 

신학
예수께서 사시던 시대에 화장은 로마인들 사이에서는 널리 행해졌지만, 육체의 부활을 믿었던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는 잘 행해지지 않았다. 사진 출처, 메리 W, 픽사베이.

연합감리교회는 장기기증과 화장을 뭐라 설명하나요?

연합감리교회는 11월 둘째주일(2025년은 11월 9일)을 장기기증주일로 지킵니다. 장기 기증과 화장에 대한 최근 경향과 연합감리교회의 입장을 소개합니다.
신학
 <만인성도주일>이 다가오고 있다. 연합감리교인들은 장례 예배와 추모 예배를 드리며 죽은 사람들을 향한 하나님의 자비와 돌보심을 간구합니다. 사진, 케이트 배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인들도 죽은 사람들을 위한 기도를 드립니까?

만인성도주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연합감리교회에서는 11월 1일 <만인성도일(All Saints Day)> 또는 11월 첫 주일을 <만인성도주일>로 지킵니다. 이와 관련하여 왜 연합감리교인들이 추모 예배를 드리고 죽은 사람들을 위한 기도를 드리는지 신학적이고 역사적인 배경을 살펴봅니다.
선교
2025년 10월 22일, 아시아선교지도자대회 마지막 날, 캄보디아 프놈펜에 위치한 세계선교부 캄보디아 사무소 앞에 캄보디아 선교회 직원들과 아시아 선교 지도자들과 세계선교부 관계자들이 함께 모였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아시아 선교 지도자들 선교의 미래를 함께 그리다

캄보디아에서 열린 세계선교부 아시아선교지도자대회에서 참석자들은 협력과 현지 사역자들의 권한 강화를 비롯해, 성령의 부르심 아래 함께 미래를 그려가는 공동의 선교 비전을 나누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