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

‘제자’라는 용어 대신에 ‘선비’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합니다. 좀 배가 고파도, 좀 자신이 드러나지 않는다 할지라도, 길이 아니면 가지를 말고, 앉을 자리가 아니면 앉지 않는 것입니다. 선비라는 자존심 하나 만큼이라도 지키면서 사는 것입니다. 어쩌다 교회들이 부패와 불의의 온상처럼 여겨지고 있는지 할 말을 잃습니다. 기독교인이라는 것이, 목사라는 것이 부끄럽게 느껴집니다. 너무 돈을 밝히는 것 같습니다. 성공이 척도가 되었습니다. 크고 화려한 것에 눈이 멀어졌습니다. 마치 구약시대에 이스라엘이 이방국가의 왕 중심의 국가체제를 보고 왕을 달라고 때를 쓰던 그 때의 모습처럼 말입니다.

예수에게서 선비의 모습이 보입니다. “여우도 굴이 있고 공중의 새도 거처가 있으되 인자는 머리 둘 곳이 없다”(마태복음8:20)고 하였습니다. 자신의 안일을 위하여 이 길을 가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지요. 그는 진정 선비였습니다. 교회는 지금까지 ‘제자의 길’이라고 이름하였습니다. 그런데 제자라는 말은 수동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제자라는 말은 우리의 정서에 무엇인가 2%가 모자란 느낌입니다. 누구도 “나는 제자이다.”라고 말하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

선생처럼, 또 하나의 선생으로 살고자 하는 ‘선비의 길’이 보다 더 적극적인 느낌을 줍니다. 선비라는 말에는 자신의 결연한 의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진정 기독교인이 되는 것은 이처럼 선비가 되는 것이지요. 어두운 세상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고, 세상의 부패를 방지하고자 자기 자리를 지키는 것입니다.

섬김이란 관점에서 보면, 선비의 개념이 적합하지 않겠지만, 세상에 모범을 보인다는 면에서, 섬김의 또 다른 면인 것이지요. 제자라는 말 대신에 선비라는 말을 써 봅니다.

 

신학
뉴올리언즈의 제일그레이스연합감리교회 션 모세 목사(오른쪽)가 교회에 등록한 교인 가정을 환영하고 있다. 사진, 캐티 길버트,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으로 등록한다는 의미는?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이 된다는 것은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고자 오셨던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이들의 모임에 동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앙 간증
2018년 1월 30일, 플로리다 세인트피터즈버그에 소재한 올렌데일 연합감리교회의 앤디 올리버 목사(왼쪽)가 탬파 이민 사무소 앞에서 루이스 블랑코와 함께 기도하고 있다. 교회는 블랑코와 가족이 추방 절차를 겪는 동안 그들에게 지지를 보냈다. 올리버 목사는 현재도 플로리다의 소외된 공동체와 연대하며, 주 내 이민자 구금시설 앞에서 매주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 제공, 앤디 올리버 목사.

웨슬리를 본받아 약자와 동행하는 목사

30대 초반 심장마비로 목회 현장을 떠났던 앤디 올리버 목사는 다시 교회로 돌아와 감리교 창시자 존 웨슬리처럼 사회적 약자와 동행하며 감리교인의 정체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민
플로리다 세인트피터즈버그에 소재한 올렌데일 연합감리교회를 담임하는 앤디 올리버 목사(가운데)가 서류미비자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구금하고 있는 에버글레이즈의 악어 앨커트래즈(Alligator Alcatraz)’ 앞에서 다른 시위자들과 함께 서 있다. 올리버 목사는 “사람들이 겪는 고통을 세상에 알리고, 그들의 이야기를 증폭시키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라고 말했다. 사진 제공, 앤디 올리버 목사.

플로리다 연합감리교회 목회자들, 이민자를 향한 억압에 맞서다

연합감리교 목사인 올리버와 로이 테리는 플로리다 정부의 권한 남용에 맞서 앞으로도 시위를 계속 이어겠다는 뜻을 밝혔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