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픈 사연

Translate Page

사람은 각자 슬픈 사연을 가슴에 두고 살아간다. 주변에는 가난으로 인해 슬픈 일을 겪는 사람들이 많다. 지독한 가난 때문에 배우지도 못하고, 병을 치료받지도 못하며, 일거리를 찾아 타향살이를 하는 자들의 슬픔이 있다. 무엇보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은 가슴이 시리도록 슬픈 일이다. 혹자는 “이별이 슬픈 이유는 한 사람은 헤어져야 하는 이유를 명확히 아는데 다른 한 사람은 그 이유를 모르기 때문이라”고 했다. 사실, 이별이 슬픈 것은 헤어짐의 그 순간이 아닌 그 뒤에 찾아올 혼자만의 그 외로움의 시간 때문일 것이다. 이별과 관련해서 최고로 슬픈 사연은 사별(死別)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어린 자녀들을 불의의 사고나 몹쓸 질병으로 어쩔 수 없이 떠나 보내야 하는 부모의 심정은 슬픔으로 갈기갈기 찢겨져 나간다.

한 개인과 가정의 슬픔도 그렇거니와 민족적으로 당하는 슬픔이 있다. 그것은 주로 전쟁으로 인한 것이다. 전쟁으로 인한 참상을 어떻게 필설로 다 그려낼 수 있겠는가? 우리 민족은 동족상잔의 비극을 경험했다. 그 후유증으로, 남북이 두 동강이 난 채 그토록 오랜 세월이 지나가도록 식구들의 생사조차 확인하지도 못하고 살아가는 이산가족들의 그 슬픔을 누가 헤아릴 수 있겠는가? 얼마 전에도 있었지만, 1980년대 초에 한동안 남북 이산가족이 상봉하는 일이 있었다. 수십 년 만에 만나는 그들의 얼굴에는 폭포수와 같은 애절한 눈물이 흘러내렸다. 그 광경을 지켜보는 모든 사람들의 눈에도 눈물이 솟구쳤다. 우리 민족의 이 한 맺힌 슬픔은 지금도 눈물이 되어 온 강토에 흘러내리고 있다. 도대체 이 슬픔의 눈물은 언제나 멈추어질까?

‘하시디즘’(Hasidism)이라고 일컫는 유대교 신비주의에 속하는 책에 이런 우화가 전해지고 있다.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은 천국의 문 앞에 있는 커다란 나무 앞으로 가게 된다. ‘슬픔의 나무’라고 불리는 그 나무에는 사람들이 삶에서 겪은 온갖 슬픈 이야기들이 가지마다 매달려 있다. 이제 막 그 곳에 도착한 영혼은 자신의 슬픈 사연을 종이에 적어 가지에 걸어 놓은 뒤, 천사의 손을 잡고 나무를 한 바퀴 돌며 그 곳에 적혀 있는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는다. 마지막에 이르러 천사는 그 영혼에게 그 이야기들 중 어떤 것을 선택해 다음 생을 살고 싶은가를 묻는다. 자신이 보기에 가장 덜 슬퍼 보이는 삶을 선택하면 다음 생에 그렇게 살게 해 주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어떤 영혼이든 결국에는 자신이 살았던 삶을 다시 선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슬픔의 나무’에 적혀 있는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고 나면, 그래도 자신이 살았던 삶이 다른 사람들의 삶보다 덜 슬프고, 덜 고통스러웠음을 깨닫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토록 저마다 슬픈 사연을 두고 사는 것이 삶의 진실이라면 차라리 슬픔을 당할 때 실컷 울자. 천국에는 더 이상 슬픔이 없을 테니까. "그들의 눈에서 모든 눈물을 닦아 주실 것이니, 다시는 죽음이 없고, 슬픔도 울부짖음도 고통도 없을 것이다."(계시록 21:3-4, 새번역)

 

다문화 섬김
연합감리교회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와 한인여교역자전국연합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연합 집회가 7월 31일부터 나흘간 와싱톤 DC에 있는 사귐의교회에서 열린다. 사진은 대회의 제목인 “눈으로가 아니라 믿음으로 걸어라: 영적 생명력과 연대주의(Walk by Faith, Not by Sight: Spiritual Vitality and Connectionalism).” 그래픽 제공,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

타인종목회자회와 여성교역자회가 연합하여 2019년 이후 첫 대면 대회를 연다

연합감리교회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와 한인여교역자전국연합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연차 대회가 7월 31일부터 나흘간 와싱톤 DC에 있는 사귐의교회에서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라는 주제로 열린다.
개체교회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평화위원회가 주최한 평화학교인 2023년 <샬롬 아카데미>에 참석한 사람들. 사진 제공, 한인연합감리교회 평화위원회.

샬롬 아카데미, 평화의 불꽃을 심다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평화위원회가 주최한 평화학교가 2월 6일부터 8일까지 열렸다. 이주희 목사는 “주님의 평화를 이루고자 하는 그 소망이 저의 마음에 작은 평화의 불꽃을 심어주었습니다. 평화를 이루려는 자들의 이야기를 계속 기대합니다.”라고 말했다.
개체교회
비무장지대에 걸려있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순례자들의 기도문이 적힌 리본들. 사진, 그레고리 드 폼벨리, 세계교회협의회.

평화와 화해사역을 위한 샬롬아카데미가 열린다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평화위원회는 2023년 2월 6일부터 8일까지 뉴욕의 후러싱제일 연합감리교회에서 샬롬아카데미 세미나를 개최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3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