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발효과(Nearness Effect)

“간발효과”라는 이론이 있습니다. 큰 차이로 원하는 것을 이루지 못했을 때보다 아슬아슬 하게 간발의 차이로 실패를 경험했을 때 상대적으로 느끼는 상실감과 절망감이 훨씬 크다는 주장입니다. 올림픽 레슬링 경기에서 어떤 선수가 죽을만큼 노력해서 결승전에 올라갔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간발의 차이로 지는 바람에 은메달에 머물고 말았습니다. 또 다른 어떤 선수는 첫 번째 경기에서 패하는 바람에 일찌감치 탈락의 위기에 몰렸습니다. 그러나 패자 부활전에서 극적으로 승리하며 연승에 연승을 거듭한 결과 감격적으로 동메달을 따게 되었습니다.

나중에 이 두 사람이 함께 시상대에 올랐습니다. 과연 이 두 사람 중에서 누가 더 기뻐할까요? 대부분의 경우 은메달을 딴 선수보다 동메달을 받은 선수가 더 기뻐한다고 합니다. 은메달을 딴 선수는 간발의 차이로 금메달을 놓친 허탈감 때문에 소중한 은메달의 가치를 놓쳐버립니다. 은메달 리스트가 활짝 웃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반면에 동메달을 딴 선수는 거의 포기했던 시상대에 기적적으로 다시 오르게 된 감격 때문에 금메달을 딴 선수보다도 더 기뻐한다고 합니다.

공항에 30~40분 늦는 바람에 비행기를 놓친 사람보다 1분 차이로 비행기를 타지 못한 사람이 더 큰 절망감을 경험합니다. 학교 성적을 비관하면서 자살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간발의 차이로 상위권 진입에 실패한 아이들입니다. 처음부터 공부와는 거리가 먼 학생들은 자살은 고사하고 스트레스 조차도 받지 않습니다. 공부쪽으로는 처음부터 친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기 때문입니다. 인생의 성패는 결국 간발의 차이로 결정이 납니다. 거창하고 대단한 차이가 인생을 판가름 하는 것이 아니라, 간발의 작은 차이가 인생을 좌우합니다.

베드로와 가롯 유다는 동일하게 스승이신 예수를 배반한 사람들입니다. 누가 낫고 못하고를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 합니다. 은화 30냥에 스승을 판 놈이나, 진저리를 치면서 스승의 존재를 말살해버린 놈이나 그 놈이 그 놈입니다. 그런데 유다는 돌이킴 없이 끝까지 배신의 길을 갔고, 베드로는 마지막 순간에 회개하고 돌아섰습니다. 간발의 차이가 한 사람은 기독교 역사상 최고의 대사도로, 그리고 다른 한 사람은 영원한 배신자로 자리매김 해버렸습니다. 작은 차이가 두 사람의 운명을 바꾼 것입니다. 간발의 차이가 인생 전체를 좌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항상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다.

신앙 간증
유석종 목사의 가족사를 담은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의 (오른쪽) 한글판과 영문판 표지 이미지.

한인 디아스포라의 고백과 치유 이야기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

유석종 목사의 가족사를 담은 책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영문판 REBUILDING THE FALLEN FENCE)는 일제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 디아스포라 가족의 아픔과 치유의 여정을 그린 이야기다.
개체교회
영화 <Her(그녀)>의 트레일러 갈무리.

인공지능 HER의 사랑과 외롭고 불완전하고 서툰 인간의 사랑과…

현혜원 목사는 인공지능 시대에 AI와의 사랑을 나눈 영화 HER를 리뷰하며, “하나님은 완벽한 기계의 논리 속이 아니라, 때로는 미숙하고 불안정하지만, 진심으로 서로를 사랑하려는 사람들 사이에 거하십니다.”라고 말한다.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