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it go’

Translate Page

비바람이 불고, 천둥치는 한밤에 길을 헤메던 한 사람이 있었다. 도움이 없는 외롭고 지친 길,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어두운 길, 춥고 무서운 길을 열심히 헤어나가던 중, 난데없이 헛발을 딛더니, 절벽에 떨어지고 말았다. “악” 소리를 지르며 곤두박질로 허공을 치며 떨어지지만, 듣는 이도, 보이는 이도 없다. 이젠 끝이구나 하며 내두르는 손끝에 잡히는 나뭇가지가 있었다.

이젠 죽을 힘을 다해 매달려 보지만 “뚝 뚝“ 하며 나뭇가지는 부러지기 시작하고, 절벽에 디딘 흙탕물로 번벅이 된 발끝으로 몸무게를 겨우 지탱하며, 마지막 소리를 질러본다. “사람 살려요!“ “듣는 사람 없소?“ 비바람과 휘날리는 나뭇가지 소리에 멀리서 유흥가의 술고래 소리 외에는 아무도 대답이 없다. 폭우의 급류가 수십 미터 발 아래서 삼키듯이 흘러가고, 이젠 뿌러져가는 나무를 잡는 손의 힘마저 시들어 간다. 희미한 기억 속에 “ 하나님“이 생각난다. “나 좀 도와주세요”라고 절벽 위로 소리를 치면서, 한구석 마음속에 하나님이 살아 계신다면, 한 번만 도와주시라고 절규한다.

“네 손을 놓아라!” 희미하지만 분명하게, 세미하지만 천둥소리보다 크게 응답하시는 소리는 그 손을 놓으라는 것이다. 밑은 한없는 절벽, 휩쓸리는 탁류에 떨어지고 말텐데, 그 소리는 손을 놓으란다. “안돼!” “이대로 죽을 순 없어...” 다시 입을 꽉 물고 손에 힘을 주고, 발을 다시 디디니 좀 힘이 나는 것 같다. 주는 힘 만큼 나뭇가지는 더 휘고 발은 더 미끄러지지만 마지막 힘을 모아 소리쳐 외친다. “거기 하나님 말고 다른 사람 없소?”

광야에 험한 길을 가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은 신명기에서 손을 펴라 하신다. 어쩔 도리 없이 끊어져 버릴 한계가 있는 우리 인생에서 우리는 우리 힘으로 같이 흘러가버릴, 보이고 잡히는 가지에 전 삶을 건다. 잡으면 그리고 더 힘있게 잡으면 영원한 구원이 될 것처럼, 제한된 앞을 모르는 시들어지는 세상에, 우리는 하나님의 제안을 거부한다. 내가 해보겠다고, 내가 나의 주인이 되겠다고, 나아가서는 내가 하나님이 되겠다는 우리 인생의 모습이다.

언어는 그 사회에 역사와 철학을 반영하는 약속이다. 생각만이 아니고 하루를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Let it go”를 혼으로 번역할 한국어가 없다. 가게 함으로, 손을 폄으로, 더 큰 능력과 문제 해결의 응답이 된다는 언어가 없다. 자손 대대 원수를 갚아야 하는 역사와 한을 끝까지 품고 기회를 찾는 울분의 탄식이 넘치는 사회, 이웃을 나의 경쟁과 나의 도전으로 만드는 경제구조, 그저 떡을 위해 나의 전체를 바쳐야 하는 교육관, 예수의 이름으로 “나”를 배채우려는 교회에서 “Let it go”를 번역할 언어가 만들어질 수는 없다. 우리의 가치관을 돌아보아야 하는 참사 속에서 원수를 갚으려는 기회를 찾는 우리, 눈물의 회개를 외쳐야 할 교회는 생각할 조차도, 그리고 믿을 만한 지도자가 외친다 해도 믿을만하게 들어줄 사람도 없는 우리 사회...

오늘을 살아야 할 그리스도의 영생은 손을 놓는데 있다. 그리고 “let it go” 하는 데 있다. 미운 자도, 원수도, “let it go” 하라. 내 삶에 있는 실망도, 후회도, ”let it go” 하라. 이루지 못한 꿈도 “let it go” 하라. 부러져가는 나무를 놓고, 어짜피 힘이 없어져 가는 손을 펼 때, 하나님을 체험하는 기적은 온다. 우리의 손을 펼 때 우리는 하나님 손 안에 있게 된다. 나를 포기할 때 우리는 하나님의 사람이 된다. 하나님께만 우리의 삶을 던져보자. 새 삶은 이제 시작이다.

선교
1903년 하디 선교사의 선교사 연합수련회에서의 공개적 회개는 원산 부흥 운동으로 이어져, 1907년 평양 대부흥이라는 열매를 맺게 했다. 사진은 하디가 사역하던 원산 남산동 제일감리교회가 새 건물을 짓고 교인들이 함께 모여 기념 촬영을 한 것이다. 사진 출처, 신앙과지성사.

‘한국 교회 부흥운동의 아버지’ 하디 회심 120주년 포럼과 연합성회가 열린다

2023년 9월 13일, 하디 선교사의 영적 각성 1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처음으로 미주하디기념사업회가 주최하는 감리교 포럼과 평신도 연합성회가 열린다.
개체교회
2023년 7월 31일부터 8월 3일까지 나흘간,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와 한인여교역자전국연합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연합 연차대회가 워싱턴 DC 센터빌에 위치한 사귐의교회에서 “눈으로가 아니라 믿음으로 걸어라: 영적 생명력과 연대주의”라는 주제로 열렸다. 사진 제공, 김희원 목사,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

믿음의 눈으로 소명을 재확인하고 담대하게 새 시대를 준비한 연차대회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와 한인여교역자전국연합회는 공동으로 팬데믹 이후 4년 만에 워싱턴 DC의 사귐의교회에서 “눈으로가 아니라 믿음으로 걸어라: 영적 생명력과 연대주의”라는 주제로 연차대회를 열었다.
교단
연합감리교회 2023 특별한인총회가 오는 10월 2일부터 5일까지 “각 사람은 부르심을 받은 그 부르심 그대로 지내라.”라는 주제로 시카고 근교 윌링에 소재한 시카고 한인제일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다. 그래픽은 2023특별한인총회 포스터의 일부이며, 2023 특별한인총회준비위원회가 제공했다.

한인총회 재건의 첫걸음이 될 2023특별한인총회가 10월 시카고에서

오는 10월 2일부터 5일까지<여기. 다시. 부르심. (RECLAIM. REVIVE. RENEW)>이라는 주제로 연합감리교회 2023 특별한인총회가 시카고 한인제일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3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