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셉은 무성한 가지라’

Translate Page

오래 전에 방영된 ‘개구쟁이라도 좋다. 튼튼하게만 자라다오’라는 내용의 TV 광고를 기억하십니까? 세월호 침몰 사건을 지켜보는 우리 고국의 모든 부모들이 한 번쯤 자녀에 대한 욕심을 내려놓고 되뇌어 보았음직한 말이 아닌가 합니다. 개구쟁이면 어떻습니까? 다른 아이보다 좀 처지면 어떻습니까? 아이는 그 자체로 우리의 기쁨이요 사는 이유이지 않습니까? 아이들이 부모들에게 주는 기쁨은 그 어떤 물질적 가치로 환산할 수 없는 것입니다. 문제는 오늘 우리 시대에 이 아이들이 부모들의 우상이 되어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우리는 이런 현실을 철저히 경계해야 합니다. 부모와 자식 모두가 망하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감리교 창시자인 요한 웨슬레 목사님의 어머니 수산나는 자식을 19 명이나 낳아서 키웠습니다. 오늘 자식이 둘만 되도 바람 잘 날 없다고 하는데 그 가정은 어땠을까? 그러나 그 가정은 우리가 상상하는 바와 전혀 달랐습니다. 19명의 고만고만한 아이들이 모여 사는 가정 같지 않게 질서가 있었습니다. 그녀는 자녀교육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는데, 그때마다 "첫째는 성경이요, 둘째는 채찍입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수산나는 성경교육을 통해 하나님과 긴밀한 관계에 있도록 가르쳤고 잘못했을 때는 회초리를 들어 매를 두려워할 줄 아는 아이들로 키웠다는 것입니다.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 (잠언22:6). 부모들의 책임 중 하나는 ‘마땅히 행할 길’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아이에게 이 마땅히 행할 길을 가르치지 않으면 아이들은 무지해집니다. 적어도 아이들이 무지해서 심판을 당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우리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마땅히 가르쳐야 할 것은 진리의 말씀입니다. “내가 내 자녀들이 진리 안에서 행한다 함을 듣는 것보다 더 즐거움이 없도다” (요삼1:4). 요한 사도는 부모의 참 기쁨으로 자녀들이 진리에 따라 행한다는 소식을 듣는 것이라 했습니다. 여러분은 부모로써 자녀들로부터 어떤 소식을 들을 때 기쁩니까? 과연 우리들 중 얼마나 많은 분들이 자녀들이 진리 안에서 행하는 모습을 보며 진심으로 기쁘다고 할지 모르겠습니다. 혹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더라도, ‘부를 쌓을 수만 있다면 OK’라고 생각하진 않습니까? 진리 안에 행하지 않더라도, 자녀들이 ‘세상에서 출세할 수 있다면 OK’라고 생각하진 않습니까? 전도사 시절에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어느 장로님의 아들이 교회출석을 못하기에 무슨 일이 있느냐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그 분 하는 말이 "우리 아이가 올해 고3입니다. 올해는 교회 못 나옵니다."라는 것이었습니다. 참 기막힌 일이 아닙니까?

우리 아이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대부분 부모를 떠납니다. 대학으로 진학하거나 직장을 찾아 독립해 나갑니다. ‘품 안의 자식’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부모의 품을 떠나면 자식이라도 마음대로 할 수 없습니다. 각자가 자기의 인생을 사는 것입니다. 품에서 떠난 자식으로 인해 가슴을 치지 않으려면 품 안에 있을 때 자식에게 ‘마땅히 행할 길’을 가르쳐야 합니다. 잠언서 기자는 그 일의 중요성을 이렇게까지 강조했습니다. “아이를 훈계하지 아니하려고 하지 말라 채찍으로 그를 때릴지라도 죽지 아니하리라 그를 채찍으로 때리면 그 영혼을 음부에서 구원하리라”(잠언23:13).

개체교회
박정찬 감독이 연합감리교회 총회에서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연합감리교뉴스 파일.

나는 왜 여전히 연합감리교인인가?

박정찬 감독은 one out of many의 비전과 정신이 성서가 증언하는 하나님 나라의 모습 속에 반영되어 있음을 믿고, 이를 지향하는 연합감리교회의 전통과 역사의 진행에 동참하는 것을 특권으로 생각한다고 말한다.
개체교회
2022년 3월 21일부터 25일까지 5일 동안 진행된 제1회 사모를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의 주제와 수련회 모습 콜라주의 일부. 사진 제공, 권 초향 사모.

제2회 사모들을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 사랑하는 나의 딸에게

제2회 사모들을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가 <사랑하는 나의 딸에게>라는 주제로 2024년 3월 4일(월)부터 8일(금)까지 애리조나주 투산에 소재한 리뎀투어리스트 수양관에서 열린다.
선교
1903년 하디 선교사의 선교사 연합수련회에서의 공개적 회개는 원산 부흥 운동으로 이어져, 1907년 평양 대부흥이라는 열매를 맺게 했다. 사진은 하디가 사역하던 원산 남산동 제일감리교회가 새 건물을 짓고 교인들이 함께 모여 기념 촬영을 한 것이다. 사진 출처, 신앙과지성사.

‘한국 교회 부흥운동의 아버지’ 하디 회심 120주년 포럼과 연합성회가 열린다

2023년 9월 13일, 하디 선교사의 영적 각성 1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처음으로 미주하디기념사업회가 주최하는 감리교 포럼과 평신도 연합성회가 열린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3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