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셉은 무성한 가지라’

오래 전에 방영된 ‘개구쟁이라도 좋다. 튼튼하게만 자라다오’라는 내용의 TV 광고를 기억하십니까? 세월호 침몰 사건을 지켜보는 우리 고국의 모든 부모들이 한 번쯤 자녀에 대한 욕심을 내려놓고 되뇌어 보았음직한 말이 아닌가 합니다. 개구쟁이면 어떻습니까? 다른 아이보다 좀 처지면 어떻습니까? 아이는 그 자체로 우리의 기쁨이요 사는 이유이지 않습니까? 아이들이 부모들에게 주는 기쁨은 그 어떤 물질적 가치로 환산할 수 없는 것입니다. 문제는 오늘 우리 시대에 이 아이들이 부모들의 우상이 되어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우리는 이런 현실을 철저히 경계해야 합니다. 부모와 자식 모두가 망하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감리교 창시자인 요한 웨슬레 목사님의 어머니 수산나는 자식을 19 명이나 낳아서 키웠습니다. 오늘 자식이 둘만 되도 바람 잘 날 없다고 하는데 그 가정은 어땠을까? 그러나 그 가정은 우리가 상상하는 바와 전혀 달랐습니다. 19명의 고만고만한 아이들이 모여 사는 가정 같지 않게 질서가 있었습니다. 그녀는 자녀교육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는데, 그때마다 "첫째는 성경이요, 둘째는 채찍입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수산나는 성경교육을 통해 하나님과 긴밀한 관계에 있도록 가르쳤고 잘못했을 때는 회초리를 들어 매를 두려워할 줄 아는 아이들로 키웠다는 것입니다.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 (잠언22:6). 부모들의 책임 중 하나는 ‘마땅히 행할 길’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아이에게 이 마땅히 행할 길을 가르치지 않으면 아이들은 무지해집니다. 적어도 아이들이 무지해서 심판을 당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우리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마땅히 가르쳐야 할 것은 진리의 말씀입니다. “내가 내 자녀들이 진리 안에서 행한다 함을 듣는 것보다 더 즐거움이 없도다” (요삼1:4). 요한 사도는 부모의 참 기쁨으로 자녀들이 진리에 따라 행한다는 소식을 듣는 것이라 했습니다. 여러분은 부모로써 자녀들로부터 어떤 소식을 들을 때 기쁩니까? 과연 우리들 중 얼마나 많은 분들이 자녀들이 진리 안에서 행하는 모습을 보며 진심으로 기쁘다고 할지 모르겠습니다. 혹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더라도, ‘부를 쌓을 수만 있다면 OK’라고 생각하진 않습니까? 진리 안에 행하지 않더라도, 자녀들이 ‘세상에서 출세할 수 있다면 OK’라고 생각하진 않습니까? 전도사 시절에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어느 장로님의 아들이 교회출석을 못하기에 무슨 일이 있느냐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그 분 하는 말이 "우리 아이가 올해 고3입니다. 올해는 교회 못 나옵니다."라는 것이었습니다. 참 기막힌 일이 아닙니까?

우리 아이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대부분 부모를 떠납니다. 대학으로 진학하거나 직장을 찾아 독립해 나갑니다. ‘품 안의 자식’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부모의 품을 떠나면 자식이라도 마음대로 할 수 없습니다. 각자가 자기의 인생을 사는 것입니다. 품에서 떠난 자식으로 인해 가슴을 치지 않으려면 품 안에 있을 때 자식에게 ‘마땅히 행할 길’을 가르쳐야 합니다. 잠언서 기자는 그 일의 중요성을 이렇게까지 강조했습니다. “아이를 훈계하지 아니하려고 하지 말라 채찍으로 그를 때릴지라도 죽지 아니하리라 그를 채찍으로 때리면 그 영혼을 음부에서 구원하리라”(잠언23:13).

2002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해외민주인사 초청 행사 당시 인혁당 사건 유가족들과 만난 조지 오글 목사와 도로시 오글 여사. 사진 제공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을 사랑한 도로시 오글 여사를 추모하며

정희수 감독은 도로시 오글 여사의 삶을 기리며 “그분을 통해 ‘믿음을 온전히 산다는 것’, 삶을 소유가 아닌 소명으로 바라보는 법, 그리고 세계의 평화와 정의가 힘이 아닌 ‘끈질긴 사랑’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배웠습니다.”라고 회고했다.
선교
연합감리교회 고등교육사역부 한국 허브 디렉터 백영민 목사가 11월 3일부터 7일까지 열린 아시아 감리교 청년 리더십 훈련  ‘ASCEND 2025’에서 강의하고 있다. 이번 훈련에는 캄보디아, 라오스, 몽골, 베트남 등 아시아 4개국에서 온 청년 감리교인들이 참여했으며, ‘섬김의 리더십은 멋진 아이디어가 아니라 삶으로 실천하는 것’이라는 메시지 아래 예배, 학습, 소그룹 토의 및 실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함께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아시아 감리교 청년들, 섬김의 지도자 상을 함께 그리다

아시아 감리교 청년 지도자 훈련 ‘ASCEND 2025’ 는 섬김의 리더십을 핵심 주제로 삼아, 아시아 각국의 젊은 감리교인들에게 겸손과 용기, 분별력, 자기 비움으로 섬기는 지도자의 상을 함께 그리는 시간을 가졌다.
신학
예수께서 사시던 시대에 화장은 로마인들 사이에서는 널리 행해졌지만, 육체의 부활을 믿었던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는 잘 행해지지 않았다. 사진 출처, 메리 W, 픽사베이.

연합감리교회는 장기기증과 화장을 뭐라 설명하나요?

연합감리교회는 11월 둘째주일(2025년은 11월 9일)을 장기기증주일로 지킵니다. 장기 기증과 화장에 대한 최근 경향과 연합감리교회의 입장을 소개합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