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3일은 한국인의 날(Korean-American Day)

한인연합감리교회의 시작과 미주 한인의 역사는 동시에 시작되었다. 미주 한인 이민사와 한인연합감리교회의 100년간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비디오. 제공, 연합감리교 공보부.  

1월 13일은 한국인의 날(The Korean American Day)이다. 이날은 1903년 1월 13일 최초의 한인 이민자가 미국에 첫발을 디딘 것을 기념하고, 재미 한인들이 미국 사회에 끼친 지대한 공헌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1902년 12월 22일, 인천 첫 한국인 이민자들이 호놀룰루 입항허가를 받았고, 이듬해인 1903년 1월 13일 하와이에 발을 디딘 것을 기념하고,  한국인들의 미국 사회에의 공헌을 기리기 위한 날이다. 

이민 100년이 된 2003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한인 이민 100주년을 기념하는 성명을 발표했고, 그후 미국 하원은 2005년 12월 13일, 그리고 미국 상원은 다음날인 16일 만장일치로 미주한인의 날 지정을 지지한다는 간단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그 이후로 전국 각 주에서 1월 13일을 미주한인의 날로 지정하는 법안이 우훅죽순처럼 통과되었다.

한국과 미국은 고종 즉위 19년인 1882년 5월 22일(음력 4월 6일) 제물포에서 체결된 조·미수호통상조약(Treaty of Peace, Amity, Commerce and Navigation, Korea-United States Treaty of 1882)을 통해 정식 외교 관계를 성립했다. 이 조약은 조선이 서양 국가와 맺은 최초의 수호 통상 조약이다.

한국인의 미국으로의 이민은 조미조약이 체결된 지 20년 후인 1902년 12월에야 시작되었다. 102명의 한인 이민자들이 SS겔릭호를 타고 하와이 호놀룰루로 출발한 이래, 2년 동안 7,500명 이상의 이민자가 미국에 도착했을 뿐 아니라, 1970년에 이르러서는 이민과 유학의 붐을 타고 많은 한국인이 미국으로 이주했다.

2010년 실시된 센서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약 170만의 한인이 미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해외 지역을 통틀어, 미국은 중국 다음으로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나라이다.

미국 내에서 한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10대 주는 캘리포니아가 452,000명으로 주 전체 인구의 1.2%를 차지하고 있으며, 뉴욕에는 141,000명(0.7%), 뉴저지 94,000명(1.1%), 버지니아 71,000명(0.9%), 텍사스 68,000명(0.3%), 워싱톤 62,400명(0.9%), 일리노이 61,500명(0.5%), 조오지아 52,500명(0.5%), 메릴랜드 49,000명(0.8%), 페실베이니아 41,000명(0.3%) 그리고 콜로라도 31,000명(0.4%) 이며, 하와이는 23,000명으로 주 전체 인구의 1.8%를 한인이 차지하는 한인 비율이 가장 높은 주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한국인의 날 행사는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코로나바이러스 급증으로 위축되어, 지역마다 상황에 맞게 온라인과 대면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미국 내 한인 이민자의 본고장인 하와이 한인회는 13일 오후 4시 행사를 하와이 후놀룰루에 소재한 그리스도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스도 한인연합감리교회의 역사는 한인 이민사이자 한인 교회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02년 12월 2일 제물포항을 떠난 첫 이민단 102명은 인천 내리교회를 포함한 서부지방의 여러 교회에서 모집된 감리교인들이었고, 그들이 하와이 수수농장 노동자로 일하며 세운 교회가 하와이 그리스도 한인연합감리교회이기 때문이다.

한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인 로스앤젤레스의 한인교육원은 한국인의 날을 맞이하여 지난해 가을 미술대회를 실시했다. K-5 학년 학생은 ‘미국 속의 한국’을 주제로, 6-12학년 학생들은 ‘미주 한인사회의 역사와 문화’를 중심으로, 미국 사회에 정착한 한인들의 기여와 문화를 독창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을 심사하여 입상자들을 정하고, 대회 입상자들의 작품을 2022 미주한인의 날 기념 미술대회 온라인 전시회라는 형식으로 유튜브를 통해 공개했다.  

이 밖에도 미주 각지에서 다양한 행사가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한인회에 문의하기 바란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email protected]로 이메일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더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신학
버지니아주 요크타운의 한 가정이 할로윈을 기념하기 위해 집 앞마당을 유령 인형 등으로 장식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가 생각하는 현대적 의미의 할로윈이란?

연합감리교회에서는 할로윈과 만인성도주일을 통해, 어려운 시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거룩한 삶에 대한 이해와 다가올 부활을 향한 소망을 강조합니다.
사회적 관심
폴 공(Paul Kong) 목사가 캄보디아 프놈펜의 희망직업학교에서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서 빗물 저장 탱크가 식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인 <희망의다리>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동남아시아에서 신앙과 과학이 만나 ‘생명수’를 길어 올린다

2025년 10월 13~17일, 프놈펜 희망직업학교에서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 동남아 5개국의 교회와 사역자들이 참여해 물 부족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식수 확보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 <희망의다리>가 공동 주최했다.
신학
조엘 마르티네스(Joel Martínez) 감독이 2011년 텍사스 엘파소에 있는 리디아 패터슨 신학교(Lydia Patterson Institute)에서 개최된 연합감리교회 히스패닉 전국 단체인 마차(MARCHA) 모임의 개회 예배에서 성찬식을 집례하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성만찬 테이블 위에 놓아야 할 것과 놓지 말아야 할 것에는 무엇이 있나요?

성만찬 테이블에 있어야 할 것은 성찬식을 거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