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아이가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Translate Page

큰 아이가 지난 주 대학을 졸업하였습니다. 목사의 아들로 사춘기를 어렵게 보낸 아이인지라 많은 아픔과 미안함 그리고 감사가 있었던 졸업식이었습니다. 둘째 아이보다는 큰 아이에게 제가 특별히 미안한 마음이 가는 이유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아이를 키우면서, 경험 없음과 조급함으로 첫째를 키우며, 아이 입장에서보다는 남에게 보이는 목사의 입장에서 그 아이를 키웠기 때문입니다.

교회에서 또래끼리 싸울라치면 언제나 저는 제 아이를 먼저 나무랬습니다. 아이끼리의 잘잘못을 따지기 이전에 언제나 “너는 목사 아들인데…” 하며, 아이를 다짜고짜 먼저 혼냈던 일이라든지, 초등학교 1학년 때까지 아이가 잠자리에 자주 실례(?)을 하였는데, 그것이 탈장으로 인한 증세임을 모른 체 무턱대고 아이를 혼냈던 일. 나중에 소아과에서 건강 검진하던 중 탈장을 발견하고 수술하면서 제대로 아이의 상황을 살피지도 못한 채 아이에게 상처만 준 것을 생각하면 지금도 얼뜨기 아빠가 아이를 잡았다는 미안함을 느끼게 됩니다.

큰 아이가 중고등학교,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목사의 아들이기 때문에 참아야 하고, 공부 잘해야 하고, 싸우지 말아야 하고… 이런 강요에 드디어 반항하면서 많은 경우 저의 바램과는 정반대의 행동을 하게 되었습니다. 아이가 몸이 커지면서 더 이상 말이나 매로는 해결할 수 없는 단계가 되면서, 저의 매일의 기도 제목은 바로 큰 아이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점점 더 반항의 강도를 높이는 아이를 대하면서 당시 저의 목회가 무너질 정도로 안타깝고 무기력한 상태가 되어 새벽마다 엎드리며 아이를 위한 눈물의 기도를 드리며 지내게 되었습니다.

그런 기도가 반년쯤 되어 가던 어느 날, 주님의 음성이 제게 와 닿았습니다. “그 아이는 내 아이니, 너는 걱정하지 말고 내게 맡겨라.” 그 날 이후로 아이의 어떤 말이나 행동에도 화가 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아이에 대하여 저의 생각이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주님께서 책임져 주신다고 하셨는데, 왜 내가 걱정하고 난리를 치는가…” 아마 그때부터 아이가 변화하기 시작했던 것 같습니다. 이제 아이에 대한 인간적인 기대와 간섭이 아니라, 그 아이를 책임져 주신다고 하신 하나님께 모든 것을 맡긴 순간부터 아이를 대하는 저의 태도도 변했던 것 같습니다. 인간적으로 둘째에 비해서 첫째 아이에게 더 미안했던 것이 바로 부모로서 경험이 없는 미숙함 때문에 준 상처였는데, 그럼에도 감사한 것은 이런 저의 미련함을 채워 주시고 책임져 주신 하나님이, 제 아이의 진정한 아버지가 되어 주셔서 이렇게 번듯하게 대학을 졸업하여 건강한 사회인으로 발걸음을 뗄 수 있게 하셨기 때문입니다.

이제 센터빌에 부임해 온 지 어느덧 일년이 되갑니다. 20년간 청년 목회만 하였기에 장년 목회에서는 풋내기 목사가 감당하기에는 너무도 부족하고 성숙하지 못했던 일 년이었습니다. 그래서 때로는 방향 잃은 열심과 말들로 교우들에게 상처를 드리지는 않았는지 걱정됩니다. 그래서 요즘은 새벽마다 엎드려 이렇게 기도합니다. “주님, 이 교회의 주인은 오직 당신입니다. 당신께 온전히 맡깁니다.”

교단
연합감리교회를 떠나는 문제로 고민하는 몇몇 교회들과 교단의 미래에 대해 궁금해하는 현 상황에 맞춰, 연합감리교 공보부는 <연합감리교회에 관해 물어보세요(Ask The UMC)>를 통해 교단 탈퇴와 관련된 오해나 잘못된 정보를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될 질의응답 시리즈를 게재한다. 사진 제공, 로렌스 글래스,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는 정말로 ㅁㅁㅁ 하나요? (9부)

이글은 장정 ¶2553의 미래와 장정 ¶2553에 의거한 교단 탈퇴가 허용되지 않거나 중단된 연회들 그리고 교단을 떠나는 교회에 파송되었지만, 교단에 남고자 하는 목회자들과 관련된 질문에 관한 내용입니다.
개체교회
남플로리다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4월 29에서 5월 2일까지 열린 2019년 한인총회 참가자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인연합감리교회의 방향과 미래를 논의할 ‘UMC 한인교회 미래 컨퍼런스’가 열린다

한인목회강화협의회는 한인연합감리교회의 미래와 나아갈 방향을 찾기 위한 웨비나를 4월 10일 개최한다. 이번 모임에서 교단을 지키는 한인 교회, 교인, 목회자들에게 어떤 메세지와 비전이 나눠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개체교회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인공지능시대 시대 신학하기 3: 새 하늘과 새 땅

강혜성 목사의 “인공지능 시대에 신학하기” 3편이자 마지막 시리즈로, 과거 2000년의 전통 신학을 뛰어넘어 다가오는 인공지능 시대를 아우를 수 있는 폭넓은 신학적 틀을 담보하고, 계속해서 기독교 교회로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려면, 하늘과 땅의 조화가 필요하다고 강 목사는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