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아이가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큰 아이가 지난 주 대학을 졸업하였습니다. 목사의 아들로 사춘기를 어렵게 보낸 아이인지라 많은 아픔과 미안함 그리고 감사가 있었던 졸업식이었습니다. 둘째 아이보다는 큰 아이에게 제가 특별히 미안한 마음이 가는 이유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아이를 키우면서, 경험 없음과 조급함으로 첫째를 키우며, 아이 입장에서보다는 남에게 보이는 목사의 입장에서 그 아이를 키웠기 때문입니다.

교회에서 또래끼리 싸울라치면 언제나 저는 제 아이를 먼저 나무랬습니다. 아이끼리의 잘잘못을 따지기 이전에 언제나 “너는 목사 아들인데…” 하며, 아이를 다짜고짜 먼저 혼냈던 일이라든지, 초등학교 1학년 때까지 아이가 잠자리에 자주 실례(?)을 하였는데, 그것이 탈장으로 인한 증세임을 모른 체 무턱대고 아이를 혼냈던 일. 나중에 소아과에서 건강 검진하던 중 탈장을 발견하고 수술하면서 제대로 아이의 상황을 살피지도 못한 채 아이에게 상처만 준 것을 생각하면 지금도 얼뜨기 아빠가 아이를 잡았다는 미안함을 느끼게 됩니다.

큰 아이가 중고등학교,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목사의 아들이기 때문에 참아야 하고, 공부 잘해야 하고, 싸우지 말아야 하고… 이런 강요에 드디어 반항하면서 많은 경우 저의 바램과는 정반대의 행동을 하게 되었습니다. 아이가 몸이 커지면서 더 이상 말이나 매로는 해결할 수 없는 단계가 되면서, 저의 매일의 기도 제목은 바로 큰 아이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점점 더 반항의 강도를 높이는 아이를 대하면서 당시 저의 목회가 무너질 정도로 안타깝고 무기력한 상태가 되어 새벽마다 엎드리며 아이를 위한 눈물의 기도를 드리며 지내게 되었습니다.

그런 기도가 반년쯤 되어 가던 어느 날, 주님의 음성이 제게 와 닿았습니다. “그 아이는 내 아이니, 너는 걱정하지 말고 내게 맡겨라.” 그 날 이후로 아이의 어떤 말이나 행동에도 화가 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아이에 대하여 저의 생각이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주님께서 책임져 주신다고 하셨는데, 왜 내가 걱정하고 난리를 치는가…” 아마 그때부터 아이가 변화하기 시작했던 것 같습니다. 이제 아이에 대한 인간적인 기대와 간섭이 아니라, 그 아이를 책임져 주신다고 하신 하나님께 모든 것을 맡긴 순간부터 아이를 대하는 저의 태도도 변했던 것 같습니다. 인간적으로 둘째에 비해서 첫째 아이에게 더 미안했던 것이 바로 부모로서 경험이 없는 미숙함 때문에 준 상처였는데, 그럼에도 감사한 것은 이런 저의 미련함을 채워 주시고 책임져 주신 하나님이, 제 아이의 진정한 아버지가 되어 주셔서 이렇게 번듯하게 대학을 졸업하여 건강한 사회인으로 발걸음을 뗄 수 있게 하셨기 때문입니다.

이제 센터빌에 부임해 온 지 어느덧 일년이 되갑니다. 20년간 청년 목회만 하였기에 장년 목회에서는 풋내기 목사가 감당하기에는 너무도 부족하고 성숙하지 못했던 일 년이었습니다. 그래서 때로는 방향 잃은 열심과 말들로 교우들에게 상처를 드리지는 않았는지 걱정됩니다. 그래서 요즘은 새벽마다 엎드려 이렇게 기도합니다. “주님, 이 교회의 주인은 오직 당신입니다. 당신께 온전히 맡깁니다.”

개체교회
뉴욕의 후러싱 제일 연합감리교회는 개체 교회 사역에 새로운 영감과 활력을 불어넣고 도약할 수 있도록 돕는 ‘마중물’인 <희년사역기금> 10만 불을 마련하고 신청을 받고 있다. 사진은 웨스트버지니아주 찰스톤 시청 앞에 설치된 지밀루 메이슨의 작품 도약(Cabriole).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뉴욕 후러싱 제일교회, 희년사역기금 10만 불로 작은 교회 도약 돕는다

뉴욕의 후러싱 제일 연합감리교회는 개체 교회 사역에 새로운 영감과 활력을 불어넣고 도약할 수 있도록 돕는 ‘마중물’인 <희년사역기금> 10만 불을 마련하고 신청을 받고 있다.
사법위원회
연합감리교회 최고 법원인 사법위원회는 결정문 1516에서, 동성 결혼을 포함 모든 결혼 및 종교 활동은 개체 교회 목사의 고유 권한이라고 판결했다. 이 결정은 4월 29일 사법위원회가 발표한 두 개의 결정 중 하나이다. 사진, 캐서린 배리, 연합감리교뉴스.

결혼 주례 판단은 목사의 고유 권한

연합감리교회 최고 법원인 사법위원회는 동성 결혼을 포함한 모든 결혼 및 종교 활동은 개체 교회 목사의 고유 권한이라고 판결했다.
신앙 간증
유석종 목사의 가족사를 담은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의 (오른쪽) 한글판과 영문판 표지 이미지.

한인 디아스포라의 고백과 치유 이야기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

유석종 목사의 가족사를 담은 책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영문판 REBUILDING THE FALLEN FENCE)는 일제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 디아스포라 가족의 아픔과 치유의 여정을 그린 이야기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