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아이가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큰 아이가 지난 주 대학을 졸업하였습니다. 목사의 아들로 사춘기를 어렵게 보낸 아이인지라 많은 아픔과 미안함 그리고 감사가 있었던 졸업식이었습니다. 둘째 아이보다는 큰 아이에게 제가 특별히 미안한 마음이 가는 이유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아이를 키우면서, 경험 없음과 조급함으로 첫째를 키우며, 아이 입장에서보다는 남에게 보이는 목사의 입장에서 그 아이를 키웠기 때문입니다.

교회에서 또래끼리 싸울라치면 언제나 저는 제 아이를 먼저 나무랬습니다. 아이끼리의 잘잘못을 따지기 이전에 언제나 “너는 목사 아들인데…” 하며, 아이를 다짜고짜 먼저 혼냈던 일이라든지, 초등학교 1학년 때까지 아이가 잠자리에 자주 실례(?)을 하였는데, 그것이 탈장으로 인한 증세임을 모른 체 무턱대고 아이를 혼냈던 일. 나중에 소아과에서 건강 검진하던 중 탈장을 발견하고 수술하면서 제대로 아이의 상황을 살피지도 못한 채 아이에게 상처만 준 것을 생각하면 지금도 얼뜨기 아빠가 아이를 잡았다는 미안함을 느끼게 됩니다.

큰 아이가 중고등학교,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목사의 아들이기 때문에 참아야 하고, 공부 잘해야 하고, 싸우지 말아야 하고… 이런 강요에 드디어 반항하면서 많은 경우 저의 바램과는 정반대의 행동을 하게 되었습니다. 아이가 몸이 커지면서 더 이상 말이나 매로는 해결할 수 없는 단계가 되면서, 저의 매일의 기도 제목은 바로 큰 아이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점점 더 반항의 강도를 높이는 아이를 대하면서 당시 저의 목회가 무너질 정도로 안타깝고 무기력한 상태가 되어 새벽마다 엎드리며 아이를 위한 눈물의 기도를 드리며 지내게 되었습니다.

그런 기도가 반년쯤 되어 가던 어느 날, 주님의 음성이 제게 와 닿았습니다. “그 아이는 내 아이니, 너는 걱정하지 말고 내게 맡겨라.” 그 날 이후로 아이의 어떤 말이나 행동에도 화가 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아이에 대하여 저의 생각이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주님께서 책임져 주신다고 하셨는데, 왜 내가 걱정하고 난리를 치는가…” 아마 그때부터 아이가 변화하기 시작했던 것 같습니다. 이제 아이에 대한 인간적인 기대와 간섭이 아니라, 그 아이를 책임져 주신다고 하신 하나님께 모든 것을 맡긴 순간부터 아이를 대하는 저의 태도도 변했던 것 같습니다. 인간적으로 둘째에 비해서 첫째 아이에게 더 미안했던 것이 바로 부모로서 경험이 없는 미숙함 때문에 준 상처였는데, 그럼에도 감사한 것은 이런 저의 미련함을 채워 주시고 책임져 주신 하나님이, 제 아이의 진정한 아버지가 되어 주셔서 이렇게 번듯하게 대학을 졸업하여 건강한 사회인으로 발걸음을 뗄 수 있게 하셨기 때문입니다.

이제 센터빌에 부임해 온 지 어느덧 일년이 되갑니다. 20년간 청년 목회만 하였기에 장년 목회에서는 풋내기 목사가 감당하기에는 너무도 부족하고 성숙하지 못했던 일 년이었습니다. 그래서 때로는 방향 잃은 열심과 말들로 교우들에게 상처를 드리지는 않았는지 걱정됩니다. 그래서 요즘은 새벽마다 엎드려 이렇게 기도합니다. “주님, 이 교회의 주인은 오직 당신입니다. 당신께 온전히 맡깁니다.”

신앙 간증
2018년 1월 30일, 플로리다 세인트피터즈버그에 소재한 올렌데일 연합감리교회의 앤디 올리버 목사(왼쪽)가 탬파 이민 사무소 앞에서 루이스 블랑코와 함께 기도하고 있다. 교회는 블랑코와 가족이 추방 절차를 겪는 동안 그들에게 지지를 보냈다. 올리버 목사는 현재도 플로리다의 소외된 공동체와 연대하며, 주 내 이민자 구금시설 앞에서 매주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 제공, 앤디 올리버 목사.

웨슬리를 본받아 약자와 동행하는 목사

30대 초반 심장마비로 목회 현장을 떠났던 앤디 올리버 목사는 다시 교회로 돌아와 감리교 창시자 존 웨슬리처럼 사회적 약자와 동행하며 감리교인의 정체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민
플로리다 세인트피터즈버그에 소재한 올렌데일 연합감리교회를 담임하는 앤디 올리버 목사(가운데)가 서류미비자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구금하고 있는 에버글레이즈의 악어 앨커트래즈(Alligator Alcatraz)’ 앞에서 다른 시위자들과 함께 서 있다. 올리버 목사는 “사람들이 겪는 고통을 세상에 알리고, 그들의 이야기를 증폭시키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라고 말했다. 사진 제공, 앤디 올리버 목사.

플로리다 연합감리교회 목회자들, 이민자를 향한 억압에 맞서다

연합감리교 목사인 올리버와 로이 테리는 플로리다 정부의 권한 남용에 맞서 앞으로도 시위를 계속 이어겠다는 뜻을 밝혔다.
개체교회
2025년 6월 11일 열린 북일리노이 연회 목회자 은퇴찬하예배에서 신경혜 목사가 은퇴사를 전하고 있다. 왼쪽은 남편 주원종 교수.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타인종 목회를 마무리하며: 조금 덜 두려워하고, 조금 더 사랑하라

2025년 6월 11일 북일리노이 연회 은퇴찬하예배에서 신경혜 목사가 전한 은퇴사로, 신 목사는 목회 여정 속에서 두려움보다 사랑을 선택할 때, 그 사랑이 자신과 공동체를 변화시키는 은혜로 역사했다고 고백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