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도라의 상자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판도라”(Pandora)는 구약성경 창세기에 나오는 “이브”(Eve)와 같은 출발점에 서 있으면서도 사뭇 다른 인생을 산 여인입니다. 이들은 모두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을 대표하는 인류 최초의 여성들입니다. 그러나 이브는 남편인 “아담”(Adam)을 축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선물인 반면에, 판도라는 남편인 “에피메테우스”(Epimetheus)를 저주하기 위해 만들어진 신들의 복수물입니다. 추위와 굶주림 그리고 질병에 시달리는 불쌍한 인간들을 위해 “프로메테우스”(Prometheus)와 에피메테우스 형제는 제우스의 명령을 어기고 신들의 “불”(Fire)을 훔쳐 인간들에게 전해줍니다. 제우스는 신들을 대표해서 이 괘씸한 두 형제를 벌하기로 작정합니다. 형인 프로메테우스는 이미 바위에 묶여 영원토록 독수리들에게 간이 뜯어 먹히는 형벌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인간 세상으로 도망친 동생 에피메테우스에게는 “판도라”라는 미녀가 아내로 주어졌습니다. 그것은 에피메테우스와 인류 전체를 벌하려는 신들의 음모였습니다.

형인 “프로메테우스”는 “에피메테우스”에게 제우스가 주는 것은 절대로 받아서는 안 된다고 충고했습니다. 그러나 판도라가 너무도 아름다운 여인이었기 때문에 에피메테우스는 거부하지 못하고 그녀와 사랑에 빠지고 맙니다. 제우스는 판도라를 그에게 주면서 한 가지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그녀를 아내로 맞으려면 반드시 그녀와 함께 “상자” 하나를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 상자에는 절대로 열어서는 안 된다는 주술이 걸려 있었습니다. 무엇이 들어있는지 궁금증을 가져서는 안됩니다. 그 속에는 신들의 사악한 저주가 들어 있었습니다. 에피메테우스는 판도라에게 절대로 상자의 뚜껑을 열어서는 안 된다고 누누이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호기심이 많았던 여인 판도라는 남편이 없던 어느 날 더 이상 참지 못하고 상자를 열게 됩니다. 그러자 그 안에 있던 온갖 악한 것들이 다 튀어 나옵니다. 가난, 질병, 전쟁, 죽음 같은 온갖 악들이 순식간에 온 세상으로 퍼집니다. 놀란 판도라가 얼른 상자의 뚜껑을 다시 덮습니다. 하지만 이미 때가 늦었습니다. 한 가지만 빼고 모든 것이 다 빠져나가고 말았습니다. 유일하게 남겨진 것은 “희망”(Hope)입니다. 그래서 세상사가 아무리 어려워도 인간에게는 언제나 “희망”이 남아 있다는 교훈을 전해주게 되었습니다.

세상에는 결코 열어서는 안 될 “판도라의 상자”가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사람들은 “호기심”이라는 이름으로 이 판도라의 상자를 엽니다. 그리고 감당할 수 없는 재난을 겪게 됩니다. 순간적인 호기심 때문에 손 댄 “마약”으로 인해 인생 전체가 잿빛으로 바뀌기도 하고, 어떤 마음일지 알아보려고 살짝 열어 본 “도박”과 “매춘”과 “부정비리”의 문틈으로 가혹한 재앙들이 파고 들어옵니다. 어쩌면 판도라의 상자는 고대 그리스에만 나오는 신화가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더 피부에 와 닿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인터넷이나 각종 첨단 장비들 그리고 여러 가지 아름답게 채색된 판도라의 상자들이 그 어느 때보다도 우리의 주변에 즐비하게 널려 있습니다. 무작정 호기심에 집어서 뚜껑을 열었다가는 걷잡을 수 없는 재앙에 휘말리게 됩니다. 그 어느 때보다도 사악한 판도라의 상자를 식별해 내는 지혜와 명철이 필요한 때입니다"

신앙 간증
유석종 목사의 가족사를 담은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의 (오른쪽) 한글판과 영문판 표지 이미지.

한인 디아스포라의 고백과 치유 이야기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

유석종 목사의 가족사를 담은 책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영문판 REBUILDING THE FALLEN FENCE)는 일제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 디아스포라 가족의 아픔과 치유의 여정을 그린 이야기다.
개체교회
영화 <Her(그녀)>의 트레일러 갈무리.

인공지능 HER의 사랑과 외롭고 불완전하고 서툰 인간의 사랑과…

현혜원 목사는 인공지능 시대에 AI와의 사랑을 나눈 영화 HER를 리뷰하며, “하나님은 완벽한 기계의 논리 속이 아니라, 때로는 미숙하고 불안정하지만, 진심으로 서로를 사랑하려는 사람들 사이에 거하십니다.”라고 말한다.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