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적인 감사

큰 딸아이가 어렸을 때, 고모집에서 쓰던 침대를 사용하다가 셋째가 태어나면서 둘째인 동생과 같은 방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두 딸 아이를 위해 벙크 침대를 사 주었습니다. 딸 아이가 학교에서 돌아와 제 방에 놓인 새 침대를 보더니 껑충껑충 뛰면서 아래로 위로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아빠 감사해요. 엄마 감사해요.”하며 소리를 지르며 행복해 했습니다.

제 목에 매달려서 볼에 뽀뽀를 하면서 눈물이 글썽해 하며 기뻐하는 모습은 지금도 눈에 선합니다.
그런데 얼마 후 친구 집에서 돌아온 아이의 표정이 밝지 못했습니다. 알고 보니 부잣집 아이의 생일 파티에 다녀온 모양인데, 그 아이의 침대를 가서 보니 너무 황홀해 보인 것입니다.

고급 가구로 만들어진 것으로 옛날 같으면 공주들이나 쓰던 화려한 케노피 침대였던 모양입니다. 자기 침대와 비교해 보니깐 신경질 나는 것이었습니다.
좋은 것을 보기 전까지는 그렇게도 좋고 아름다워서 기쁨과 감사의 대상이었는데 이제는 불평과 원망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상대적인 감사는 이런 모순이 있습니다.

이렇게 비교적인 것에서부터 오는 상대적인 감사는 우리에게 감사도 될 수 있지만, 경우에는 불평을 가져다 줄 때도 있는 것입니다.
그에 비해 절대적인 감사는 내가 어떤 환경과 처지에서도 늘 감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절대적인 감사는 하나님을 아는 자들만이 할 수 있는데, 이런 감사는 환경과 운명을 바꾸어 놓습니다.

어려운 교회 건축을 앞두고 어느 목사님께서 이렇게 기도하셨습니다.

“사람의 힘으로 도무지 불가능한 일이라 감사합니다.”

그렇습니다. 불가능한 일이 감사 제목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람의 힘으로 불가능한 일이기에 그 교회 건축의 완공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살아계심이 증거 될 수 있기 때문에 감사한 것입니다.

하박국 선지자는 이렇게 절대적인 감사를 표현했습니다.

 “비록 무화과나무가 무성치 못하며 포도나무에 열매가 없으며 감람나무에 소출이 없으며 밭에 식물이 없으며 우리에 양이 없으며 외양간에 소가 없을지라도 나는 여호와를 인하여 즐거워하며
나의 구원의 하나님을 인하여 기뻐하리로다 주 여호와는 나의 힘이시라 나의 발을 사슴과 같게 하사 나로 나의 높은 곳에 다니게 하시리로다.”

하박국 선지자는 “없고 없을찌라도” 여호와 하나님으로 인하여 기뻐하고 즐거워하며 감사하겠다는 것입니다.

아메리칸 인디언의 축복 기도 중에 <당신에게 필요한 것을 당신은 이미 가지고 있습니다>란 글이 있습니다.

‘좋은 것이면 꼭 잡고 있거라, 그것이 한 줌의 흙일지라도. 네 믿음을 꼭 지켜라,
그것이 나무 한 그루 일지라도. 네가 하는 일을 귀하게 여겨라,
그것이 네게 힘겨울지라도. 네 생명을 잘 간직하라, 때때로 포기하고 싶을 때라도.
내 손을 꼭 잡아라, 내가 비록 너에게서 멀리 떠나있더라도.’

드림 가족 여러분, 하나님께서 이미 여러분들에게 허락하신 것을 감사하십시다.
오히려 이런 어려움 가운데 하나님만을 바라볼 수 있음을 감사하십시다.
그 분의 손을 잡은 감사로 두려움을 이기고 절망을 물리치며 다시 꿈을 갖는 감사절이 되길 바랍니다.

교회 역사
1914년 촬영된 여러 신랑 신부의 합동 결혼식  사진. 이대위 목사는 뒷줄 중간에 있다. 사진 제공, 유석종 목사.

일제 강점기 미주 독립운동을 이끈 이대위 목사 1

이대위 목사는 “단순히 개인의 영적 구원에 머물지 않고, 공동체와 민족의 구원이라는 더 큰 목표 속에서 목회했다… 하나님 사랑과 나라 사랑은 한 샘에서 나온다… 우리가 성령으로 세례를 받듯 애국 열성의 피로 세례를 받고 나라와 민족을 위해 자신을 내어줄 때, 의로우신 하나님께서 반드시 금수강산의 복지를 되찾게 하실 것이라고 확신했다.”라고 유석종 목사는 기록했다.
교회 역사
2025년 8월 4일, 오하이오 한인 풍물놀이팀이 클리블랜드하이츠 소재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개막 만찬에서 전통 장단에 맞춰 공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연합감리교뉴스.

오하이오에서 한국까지: 메리 스크랜턴과 윌리엄 스크랜턴의 140년 유산을 기리다

8월 4일부터 6일까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의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신앙·미래를 나누는 행사가 열렸다.
사회적 관심
2025년 8월 15일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 통치로부터 해방되고 독립을 선포한 지 80주년을 맞는 날이며 분단 80주년이다. 사진은 2025년 6월 24일, 6대륙 15개국에서 온 세계감리교청년평화순례 참가자 45명이 파주 비무장지대를 방문해 참관한 모습이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해방 80주년과 희년 묵상

정희수 감독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 통치로부터 해방되고 독립을 선포한 지 80주년을 맞는 2025년 8월 15일을 앞두고, “비록 우리는 여전히 분단되어 있지만, 평화의 왕이신 성령께서 인류의 복지를 위한 거룩한 사명으로 통일을 이루시기를 기도하자”라고 말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