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이 말을 걸다.

욥의 고통, 무고하게 찾아온 고통이다. 그래서 고난이라 부른다. 욥으로서는 이유를 알 수 없는 큰 고난인 것이다. 이 억울함을 어디에 호소할까? 이런 경우에 누가 무슨 말을 어떻게 할 수 있는가? 하나님께서 대답하시는가? 기도하여 해결이 되는가?
이렇게 죽은 예수님이 있다. 십자가에 달려 죽으셨다. 성경은 십자가의 고통이 누군가를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인류의 죄를 대신한 죽음이라고 말한다. 여기에는 고통과 죽음에도 희망이 있음을 말한다. 예수님의 고난 이야기는 욥의 후편인 것처럼 보인다.

고통은 누가 뭐래도 아픔이다. 그런데 그 고통이 누군가를 위한 것이라면 희망이 있는 것이다. 그 희망 속에 고통을 초월하는 답이 있지 않을까?
그러면 욥의 고통은 누구를 위한 것일까? 욥은 모르지만 ‘사심 없는 신앙’을 밝히는 하나님을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욥의 고통 속에는,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 무엇 때문인 이유가 있는 것이다.

왜 욥인가? 그 고통이 하필이면 남이 아닌 나에게 발생하는 것인가? 아니다.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찾아올 수 있는 것이다. 마치 죽음이 기다리고 있는 것처럼.
무고한 고통은 없다. 나만의 고통도 아니다. 지금은 모르지만 누구나 누군가를 위한 고통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누군가를 위한 것이기에 희망이 있는 것이다. 발생한 고통을 통하여 모르는 고통을 알아가는 것이다. 초월해 가는 것이다. 아직 누구를 위한 고통인지를 모를 뿐이다. 내가 잘못하여 발생한 고통이 아니라면.
(사순절에 욥기를 읽으며)

글쓴이: 이선영 목사, 덴버연합감리교회, CO
올린날: 2016년 2월 18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신학
예수께서 사시던 시대에 화장은 로마인들 사이에서는 널리 행해졌지만, 육체의 부활을 믿었던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는 잘 행해지지 않았다. 사진 출처, 메리 W, 픽사베이.

연합감리교회는 장기기증과 화장을 뭐라 설명하나요?

연합감리교회는 11월 둘째주일(2024년은 11월 10일)을 장기기증주일로 지킵니다. 연합감리교회의 장기 기증과 화장에 대한 관점을 소개합니다.
사회적 관심
스웨덴 한림원은 지난 10월 10일, 소설가 한강을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발표하고, 그의 작품들이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의 삶의 연약함을 드러낸 강렬한 시적 산문”이라며 선정 이유를 밝혔다. 사진은 한강의 작품집 중 채식주의자(2007), 소년이 온다(2014) 그리고 디에센셜(2022년) 등 3편이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강에게 갈채를

박충구 박사는 “산문적 글쓰기의 정밀함과 아름다움 속에 인간의 비참함에 대한 깊은 연민과 동정, 그리고 분노를 넘어서 순수한 평화에 대한 깊은 열망”이 작가 한강을 노벨문학상으로 이끌었다고 생각한다.
신학
 <만인성도주일>이 다가오고 있다. 연합감리교인들은 장례 예배와 추모 예배를 드리며 죽은 사람들을 향한 하나님의 자비와 돌보심을 간구합니다. 사진, 케이트 배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인들도 죽은 사람들을 위한 기도를 드립니까?

만인성도주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연합감리교회에서는 11월 1일 <만인성도일(All Saints Day)> 또는 11월 첫 주일을 <만인성도주일>로 지킵니다. 이와 관련하여 왜 연합감리교인들이 추모 예배를 드리고 죽은 사람들을 위한 기도를 드리는지 신학적이고 역사적인 배경을 살펴봅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4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