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이 말을 걸다.

Translate Page

욥의 고통, 무고하게 찾아온 고통이다. 그래서 고난이라 부른다. 욥으로서는 이유를 알 수 없는 큰 고난인 것이다. 이 억울함을 어디에 호소할까? 이런 경우에 누가 무슨 말을 어떻게 할 수 있는가? 하나님께서 대답하시는가? 기도하여 해결이 되는가?
이렇게 죽은 예수님이 있다. 십자가에 달려 죽으셨다. 성경은 십자가의 고통이 누군가를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인류의 죄를 대신한 죽음이라고 말한다. 여기에는 고통과 죽음에도 희망이 있음을 말한다. 예수님의 고난 이야기는 욥의 후편인 것처럼 보인다.

고통은 누가 뭐래도 아픔이다. 그런데 그 고통이 누군가를 위한 것이라면 희망이 있는 것이다. 그 희망 속에 고통을 초월하는 답이 있지 않을까?
그러면 욥의 고통은 누구를 위한 것일까? 욥은 모르지만 ‘사심 없는 신앙’을 밝히는 하나님을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욥의 고통 속에는,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 무엇 때문인 이유가 있는 것이다.

왜 욥인가? 그 고통이 하필이면 남이 아닌 나에게 발생하는 것인가? 아니다.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찾아올 수 있는 것이다. 마치 죽음이 기다리고 있는 것처럼.
무고한 고통은 없다. 나만의 고통도 아니다. 지금은 모르지만 누구나 누군가를 위한 고통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누군가를 위한 것이기에 희망이 있는 것이다. 발생한 고통을 통하여 모르는 고통을 알아가는 것이다. 초월해 가는 것이다. 아직 누구를 위한 고통인지를 모를 뿐이다. 내가 잘못하여 발생한 고통이 아니라면.
(사순절에 욥기를 읽으며)

글쓴이: 이선영 목사, 덴버연합감리교회, CO
올린날: 2016년 2월 18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개체교회
영화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포스터.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를 통해 생각하는 그리스도 제자란?

이 글은 연합감리교뉴스의 <영화와 설교> 시리즈로 현혜원 목사는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를 리뷰하면서 독자들에게 삶의 여정에 하나님이 함께하시냐고 묻는다.
개체교회
지난 2021년 6월 27일, 북일리노이 연회의 정회원 목사이자 연합감리교뉴스의 한국/아시아 뉴스 디렉터로 섬기는 김응선(Thomas Kim) 목사가 테네시 웨스트엔드 연합감리교회의 설교자로 초청받아 설교에 앞서 담임목사인 캐롤 캐빈-딜론 목사가 집례하는 유아 세례를 돕고 있다. 사진 출처, WEUMC 예배 동영상 갈무리.

덜렁이 목사의 천방지축 타인종목회 11: 결혼식 주례도 할 줄 모르던 목사?

김응선 목사가 타인종목회에 첫발을 디딘 목회자들에게 보내는 갈팡질팡 천방지축 타인종목회 시리즈의 열한 번째로, 결혼식 주례조차도 제대로 집례할 줄 모르던 자신을 도와 목사로 서고, 성장할 수 있게 도와준 교인들과의 일화를 소개한다.
신학
클라우디아 텔리 운게산이 코트디부아르의 맨에 소재한 템플 엠마누엘 연합감리교회 예배에서 찬양을 부르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부활절은 언제까지이고, 그다음은 무슨 절기인가요?

부활절 절기는 부활절 주일 전날인 토요일 일몰에 시작하여, 성령의 오심과 교회의 탄생을 축하하는 오순절이 시작하는 50일 간으로, 그리스도인들이 신앙 안에서 성장하도록 돕는 시기입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3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