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입에서 연기가 나와요.’

 

얼마 전 새벽기도 후에 한 교우와 식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학교 공부 때문에 다른 주로 떠난 딸의 안부를 물었더니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주셨습니다. 전화하는데 딸아이가 놀라서 말하더랍니다. “엄마! 입에서 연기가 나와요." 딸의 말을 듣고 무슨 일이 생긴 줄 알고 깜짝 놀랐답니다. 저도 그 이야기를 들으면서 아이에게 문제가 생긴 줄로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야기를 계속 들으면서 우리는 그 엄마와 함께 한참 배를 잡고 웃었습니다. 얼마나 귀엽고 기발한지...

이야기인즉슨 대학을 가게 된 아이가 생전 처음 하와이를 떠나 추운 곳으로 가서 겨울을 맞게 된 것입니다. 갑자기 온도가 내려간 이른 아침에 깨어 엄마와 전화를 하면서 입에서 이상한 것이 나오는 것을 발견하곤 아이가 깜짝 놀랐던 것입니다. 전에 보지 못하던 하얀 연기가 입에서 나오는 것이었습니다. 입김이었죠. 처음으로 신기한 현상을 경험하면서 한국말이 어눌한 이 아이는 엄마에게 “엄마! 입에서 연기가 나와요, 연기가 나와요, 참 이상해요, 후- 후-” 하며 계속 엄마에게 놀라움을 전하였던 것입니다. 지금까지 입에서 연기가 나지 않는 곳에서만 살았던 아이가 새로운 환경 속에서 다른 경험을 하면서 하는 놀란 표현이 여간 재미있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입김이 나오지 않는 환경에서 살면서 그것이 전부인 줄 생각하고 살아갈 때가 많습니다. 그런데 세상에는 내가 알지 못하고 경험해 보지 못한 입에서 연기가 나오는 세상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또 그것이 그곳에서는 정상입니다. 그런데 입김이 나오지 않는 곳에서 살면서 그것이 전부인 줄 착각하며 산다면 얼마나 좁게 세상을 사는 것입니까? 제한된 세상에 살면서 좁은 자기가 되고 그것만이 전부라고 고집하는 아집과 교만 속에 살아가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입니다.

입에서 연기가 나오는 세상도 많습니다. 내가 경험하지 못했다고 이상하다고 해서는 안 됩니다. 내가 알지 못한다고 없다고 해서도 안 됩니다. 그것은 자기 착각이고 오만이며 무지입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사람은 견문을 넓혀야 한다고 했습니다. 보고 듣는 것이 많으면 자기 속에 갇히지 않습니다. 특별히 오늘날은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것들을 과감하게 깨 버리지 않으면 앞으로 나갈 수 없는 시대입니다. 생각의 틀, 생활 환경, 태도, 가치관, 세계관 등을 과감하게 깨트려야 합니다. 입에서 연기가 나오는 새로운 경험들을 속히 그리고 지속해서 해야 합니다.

우리는 육신을 넘어 영적 세계에 나오는 연기도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이사야는 기도 중에 환상을 보았습니다. 하늘 보좌에서 성전까지 흘러내린 하나님의 옷자락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그 성전에 가득 찬 향의 연기를 보았고, 불타는 화로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스스로 놀라 두려워했습니다. 이런 경험은 처음이었습니다. 너무나 놀라워서 그는 죽을 것만 같았습니다. 그 경이감 속에 그는 소리를 질렀습니다. “오, 내가 죽게 되었도다. 입술이 부정한 백성 중에 거하면서 거룩한 하나님을 뵈었구나. 이제 내가 죽겠구나.” 그때 그에게 음성이 들렸습니다. 생전 처음 듣는 내면의 영적 음성이었습니다. “내가 누구를 보낼꼬?” 거부할 수 없는 깊은 내면의 음성이며 충동이었습니다. “나를 보내소서!” 이사야는 그렇게 응답하였습니다.

세상에는 내가 알지 못한 깊은 존재의 세계가 있습니다. 영적 세계입니다. 믿는 사람들은 특별히 이 영적 세계를 향하여 깊이 나가야 합니다. 새롭게 체험하는 영적 세계를 접할 때 우리는 이런 세계도 있구나 하고 놀라게 됩니다. 그런 경이를 자꾸 경험하면서 우리 내면 세계의 지경도, 안목의 지경도, 삶의 지경도, 우리 안에 하나님 나라의 지경도 점점 넓어집니다.

사회적 관심
2018년에 개장한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 위치한 국립평화정의기념관(National Memorial for Peace and Justice)은 흑인 커뮤니티가 역사적으로 겪어온 고통을 기리기 위해 설립한 미국 최초의 기념관이다. 사진의 조각상은 기념관 앞에 설치된 흑인들이 노예로 끌려가는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사진 제공, 김성실 권사, 인종정의실행위원회.

백인 중심 사상 안에서의 타인종/타문화 목회

김영동 목사는 한인 목회자들에게 인종차별이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중요한 사안임을 강조하며, 어느 한 인종이 중심되는 교회가 아니라 예수가 중심이 되는 교회를 회복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이 우리의 소명이라고 말한다.
선교
2024년 11월 4일, 글로벌 청년 지도자 훈련 프로그램인 어센드( ASCEND) 참석자들과 강사들이 프놈펜에 있는 희망직업학교 앞에서 점프를 하고 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연합감리교뉴스.

아시아 청년들 비상(飛上)을 꿈꾸다

연합감리교 세계선교부의 아시아 선교 이니셔티브 국가인 캄보디아, 라오스, 몽골, 베트남 등에서 사역하는 감리교 청년 지도자들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인 2024 어센드(ASCEND)가 11월 4일부터 5일간 캄보디아 프놈펜 소재의 희망직업학교에서 개최됐다.
사회적 관심
사진 출처, 소년한국일보.

‘비상(非常)’에는 ‘비상(飛翔)’하라

이창민 목사는 “지금은 ‘비상(非常)’의 상황이며, 믿음의 날개를 펴고 ‘비상(飛翔)'해야 할 때입니다. 우리는 반드시 다시 일어서야 합니다. 일어서서 이전보다 더 열심히 달려가야 합니다. 위기의 벼랑 끝에서도 서로를 격려하며, 다시 미래를 향해 힘차게 비상하는 자랑스러운 조국이 되기를 기도합니다.”라고 말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