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빨리

경제적으로 초고속 성장을 한 우리 나라가 한편 자랑스럽기는 하지만 그 와중에 온 국민이 빨리빨리 문화에 빠져 들어가 가치관의 혼란을 보게 되어 안타깝다. 지금 온 국민의 마음에 비통함을 안겨준 세월호 침몰 사건도 따지고 보면 안전은 뒷전으로 한 채 순간의 이득과 편리를 위해 빨리빨리, 대충대충 짚고 넘어간 결과일 것이다. 빨리빨리 문화는 절대로 이웃에 대한 배려를 용납하지 못한다. 도리어, 다른 사람보다 뒤처지면 안 되기에 무한 경쟁의 이기심만 증폭시킨다.

그리고 하루 빨리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으로 인해 도리어 더 늦어지고 손해 보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 별로 길지 않은 간선도로나 고속도로 확충 공사 기간이 5년 이상 소요되는 것을 목격한 적이 있다. 우리 같았으면 불과 6개월 정도면 끝낼 수 있었을 텐데 말이다. 그런데 문제는 공사 후에 나타난다. 미국에서는 좀처럼 도로 개수나 보수 공사 현장을 보기가 어렵다. 하지만 우리는 툭하면 도로를 파헤친다. 그 바람에 아까운 시간과 돈과 힘을, 어떤 경우에는 몇 갑절로 낭비한다.

워낙 오랜 세월, 가난하게 살다 보니 “우리도 한 번, 잘 살아 보세, 잘 살아 보세” 하면서 눈만 뜨면 이 노래 부르며 정신 없이 달려온 지난 세월, 그 바람에 잘 살게 된 것은 사실이지만 궁핍했던 시절보다 오히려 국민정신이 병약해지고, 바른 삶에 대한 인식이 희미해져 버린 것 역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좀 잘 못살아도 '올곧게' 사는 것이, 잘 살면서 '뒤틀려' 사는 것보다 훨씬 낫겠다는 생각이다.

이러한 초고속 성장가도에 한국 교회 역시 급성장을 했다. 그 결과 한국은 세계 2위의 선교대국으로 부상했고, 또한 세계 10대 대형 교회 가운데 절반 이상을 한국 교회가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오래 전부터 불교와 가톨릭교의 성장세에 비해 개신교의 성장이 둔화되어 교인수가 감소하는 일이 벌어졌다.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왜곡된 교회 성장 제일주의로 인해 나타난 결과일 것이다. 교회마저 ‘더 빨리, 더 많이’를 목표로 내걸고 총력을 기울이는 동안 성경의 진리와는 거리가 먼, 기괴한 형태의 변형(?) 교회들이 출몰했다. '더 빨리, 더 많이'의 부산물로 유전자 변형 식품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인류에게 재앙으로 다가온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 문제도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가스배출의 속도가 그것을 동화시키는 지구의 느릿한 속도보다 빨라서 생긴 이상 현상이라 한다. 교회는 더 이상 외형적 ‘빨리빨리’ 성장에서 눈을 떼어 ‘느릿느릿’ 참고 기다리며, 한 영혼의 참된 신앙 성장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기다림이 곧 사랑이라면, 사랑은 빨리빨리보다는 느릿느릿과 어울리는 말이다. 기다림을 뺀 사랑이란 도무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사회적 관심
재외동포분포현황, 사진 출처, 기독일보.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2

한인 디아스포라는 단순한 이민자가 아니라, 역사적 고통과 신앙, 민족 정체성, 그리고 탈식민지화에 대한 열망 속에서 살아온 사람들로, 그들의 삶에는 해외에서의 정체성과 공동체 형성, 조국에 대한 사랑과 이념의 상처가 복합적으로 담겨 있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2편이다.
신학
종려주일에 군중들이 종려나무를 흔들며, 아이보리코스트(코트디부아르 공화국)의 거리를 행진하고 있다. 연합감리교인와 가톨릭 신자들은 매년 이 행사를 행하고 있다. 사진, 이삭 브라운, 연합감리교뉴스.

왜 사순절 여섯째 주일을 고난/종려주일(Passion/Palm Sunday)로 지키나요?

수난/종려주일에 초점을 맞추어 사순절을 지키는 것은, “세상을 변혁시키는 제자 삼기”라는 연합감리교회의 사명을 완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