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연합감리교회의 한 담임목사 이야기

1. 우리 지역에 공식적으로 레즈비언임을 커밍아웃한 목사가 감독이 되어 부임하였습니다. 취임예배를 한다고 참석하라 합니다.

2. 아직 우리 연합감리교회는 이런 분이 목사가 될 수 없으며, 더욱 감독이 될 수가 없음에도 감독으로 선출이 되었고, 우리 연회로 파송을 받았습니다.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3. 우리 교인들이 이런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듣기 전에 담임목사에게 듣는 것이 낫겠다고 판단하여 임원회에 이 사실을 보고하였습니다.

4. 모두 “어떻게 그럴 수 있느냐?”는 것이었습니다. 교단 사법위원회에 제소되었고, 우리 교단은 법적으로 허용하지 않으며, 여러분의 담임목사도 동의하지 않으니 기다리자고 하였습니다.

5. 개체교회의 문제는, 다른 교단이나 다른 교회 교인들이 “연합감리교회가 그런 교단이래!”라고 하면서 연합감리교회의 문을 옥죄는 발언을 하는 경우입니다.

6. 특히 한인연합감리교회는 더욱 심각할 것입니다. 그렇기에 저는 한인연합감리교회의 담임목사로서의 입장을 밝힙니다.

7. 제가 파송 받은 교회의 교인들이 동성애에 관하여 반대를 하고 저도 동의하지 않는 한, 우리 공동체를 지키기 위하여 함께 노력할 것입니다.

8. 그러한 감독이 우리 교회를 방문할 경우에 개인적으로 환영은 하지만, 감독으로 교회에 소개하거나 그 직무에 협력하지 않을 것입니다. Apportionment는 충실히 내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9. 그의 감독 취임에 찬성하는 같은 연회의 멤버들이 있기에 다름을 인정하는 차원에서, 취임예배에 대하여 반대하거나 그 날에 그곳에서 시위를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10. 그리고 2016년 구역회에서 우리 교회의 이름으로 교회의 입장을 밝히고, 감리사에게 그 서신을 감독에게 전하도록 할 것입니다.

11. 저는 동성애를 찬성하는 그룹과 반대하는 그룹이 서로 나뉘는 것을 바랍니다. 만일 그것이 어렵다면 한인연합감리교회는 대부분 반대하는 입장일 것이기에, 우리의 입장을 강하게 부각시키는 일을 계속할 것을 권합니다.

12. 그리하여 진정 연합감리교회를 염려하는 마음들에 의하여 한인연합감리교회가 독자적으로 자기의 신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협력하게 하는 것입니다.

13. 세월이 흐르면 언제인가는 자연적으로 정리가 될 것이라 믿습니다. 그렇기에 그날이 올 때까지, 각자 자기의 신앙을 지킬 것이며, 우리는 끊임없이 우리의 다름을 드러낼 것입니다.

14. 우리의 것을 말하지 않는 이상, 누가 우리를 이해할 것이며, 우리의 입장을 말하므로 자존성을 세워 갈 것입니다.

글쓴이: 이선영 목사, 덴버연합감리교회, CO
올린날: 2016년 9월 16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교회 역사
1914년 촬영된 여러 신랑 신부의 합동 결혼식  사진. 이대위 목사는 뒷줄 중간에 있다. 사진 제공, 유석종 목사.

일제 강점기 미주 독립운동을 이끈 이대위 목사 1

이대위 목사는 “단순히 개인의 영적 구원에 머물지 않고, 공동체와 민족의 구원이라는 더 큰 목표 속에서 목회했다… 하나님 사랑과 나라 사랑은 한 샘에서 나온다… 우리가 성령으로 세례를 받듯 애국 열성의 피로 세례를 받고 나라와 민족을 위해 자신을 내어줄 때, 의로우신 하나님께서 반드시 금수강산의 복지를 되찾게 하실 것이라고 확신했다.”라고 유석종 목사는 기록했다.
교회 역사
2025년 8월 4일, 오하이오 한인 풍물놀이팀이 클리블랜드하이츠 소재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개막 만찬에서 전통 장단에 맞춰 공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연합감리교뉴스.

오하이오에서 한국까지: 메리 스크랜턴과 윌리엄 스크랜턴의 140년 유산을 기리다

8월 4일부터 6일까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의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신앙·미래를 나누는 행사가 열렸다.
사회적 관심
2025년 8월 15일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 통치로부터 해방되고 독립을 선포한 지 80주년을 맞는 날이며 분단 80주년이다. 사진은 2025년 6월 24일, 6대륙 15개국에서 온 세계감리교청년평화순례 참가자 45명이 파주 비무장지대를 방문해 참관한 모습이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해방 80주년과 희년 묵상

정희수 감독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 통치로부터 해방되고 독립을 선포한 지 80주년을 맞는 2025년 8월 15일을 앞두고, “비록 우리는 여전히 분단되어 있지만, 평화의 왕이신 성령께서 인류의 복지를 위한 거룩한 사명으로 통일을 이루시기를 기도하자”라고 말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