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그네 길

말년에 이집트 왕을 만난 야곱이 자신의 인생을 이렇게 표현한 바 있습니다.  “내 나그네 길 세월이 일백삼십 년이요. 그리고 그것은 참으로 험악한 세월이었나이다” 라고 말입니다. 백삼십의 해가 짧다고 말한 야곱의 여정. 어쩌면 그가 말한 대로 힘들고 어려운 길이었기에 그리 짧게 느껴졌을지도 모릅니다. 주마등처럼 지나간 세월을 바라보던 야곱에게 이제 더 이상 과거의 영화에  연연하는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자신이 살아 온 인생이 결국은 나그네의 길일뿐이라는 사실을 깨우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나그네는 어딘가에 정착하여 사는 이들이 아닙니다. 유목민처럼 늘 떠돌아다니는 삶이 그들의 모습입니다. 물론 어딘가에 눌러 앉아 무언가를 소유하고픈 욕망을 누구나 다 안고 살아갑니다. 그런데 삶은 우리를 그대로 내버려 두지 않습니다. 늘 그대로인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때로는 쥐고 있는 것을 놓아 주어야 새로운 것을 손아귀에 쥘 수 있습니다. 때로는 들고 있는 것을 내려 놓아야 비로소 다른 것을 품에 안을 수 있습니다. 어려움이 닥치면 모든 것이 끝난 것 같지만, 어느 새 우리 삶의 행로가 새롭게 열려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별과 떠남이 또 다른 만남을 위한 전제가 된다는 사실도 마찬가지의 이유에서 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인생을 나그네 길에 비유할 수 있었던 것은 야곱이 현실적 욕망이나 집착이 궁극적으로 그에게 주어진 길의 마지막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나그네가 정처 없이 길을 떠날 수 있는 것이 정착이나 그 어떠한 소유욕도 주지 못하는 커다란 기쁨 때문인 것처럼 말입니다. 베드로전서 2:11에서 믿는 이들을 가리켜 나그네와 행인이라고 규정한 대목을 볼 수 있습니다. 그 말은 세상의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다시 말해 세상의 욕망과 이해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고 주어진 삶을 물 흐르듯 살아가는 성도의 삶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너무나 자주 들어서 지극히 당연한 말 같지만, 우리는 세상의 그 무언가를 소유하려는 집착과 욕망 때문에 수많은 것들을 놓치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땅과 재물에 대한 욕망을 안고 살았던 야곱이 그랬듯이 말입니다. 그래서 온통 험악하고 궂은 일 뿐이었다고 고백하고 있는것 아닙니까. 진정한 삶의 아름다움에 비하면 자기가 살아온 애욕의 세월은 그저 궂은 길일 뿐이라는 것이죠. 우리는 하나님으로부터 지음 받은 존재라는 사실을 믿고 의지하며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입니다. 그렇기에 우리가 머물 곳은 세상의 그 어떠한 욕구나 갈망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은 나그네들이어야 합니다. 진리요 생명의 길인 그리스도를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는 진정한 성도의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해서 우리가 지나온 인생의 여정이 참으로 험악한 것이 아니라 참 아름답고 소중한 것이었다고 고백할 수 있게 되기를 축원합니다.

글쓴이: 권혁인 목사, 버클리한인연합감리교회, CA
올린날: 2015년 4월 28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신앙 간증
유석종 목사의 가족사를 담은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의 (오른쪽) 한글판과 영문판 표지 이미지.

한인 디아스포라의 고백과 치유 이야기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

유석종 목사의 가족사를 담은 책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영문판 REBUILDING THE FALLEN FENCE)는 일제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 디아스포라 가족의 아픔과 치유의 여정을 그린 이야기다.
개체교회
영화 <Her(그녀)>의 트레일러 갈무리.

인공지능 HER의 사랑과 외롭고 불완전하고 서툰 인간의 사랑과…

현혜원 목사는 인공지능 시대에 AI와의 사랑을 나눈 영화 HER를 리뷰하며, “하나님은 완벽한 기계의 논리 속이 아니라, 때로는 미숙하고 불안정하지만, 진심으로 서로를 사랑하려는 사람들 사이에 거하십니다.”라고 말한다.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