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3일은 미주한인의날(Korean-American Day)

1월 13일은 미주한인의날(The Korean American Day)이다. 이날은 1903년 1월 13일 최초의 한인 이민자가 미국에 첫발을 디딘 것을 기념하고, 재미 한인들이 미국 사회에 끼친 지대한 공헌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인천에서 출발한 한국인 첫 이민자들은 1902년 12월 22일 호놀룰루 입항을 허가받고, 이듬해인 1903년 1월 13일 하와이에 발을 디뎠다.

그로부터 100년이 지난 2003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한인 이민 100주년을 기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후 2005년 12월 13일에 미국 하원이, 그다음 날인 16일에는 미국 상원이 만장일치로 미주한인의날 지정을 지지한다는 간단한 결의안을 통과시키자, 전국 각 주에서는 1월 13일을 미주한인의날로 지정하는 법안이 우후죽순처럼 통과되었다.

한국과 미국은 고종 즉위 19년인 1882년 5월 22일(음력 4월 6일) 제물포에서 체결된 조·미수호통상조약(Treaty of Peace, Amity, Commerce and Navigation, Korea-United States Treaty of 1882)을 통해 정식 외교 관계를 성립했다. 이 조약은 조선이 서양 국가와 맺은 최초의 수호 통상 조약이다.

한국인의 미국으로의 이민은 조미조약이 체결된 지 20년 후인 1902년 12월에야 시작되었다. 102명의 한인 이민자가 SS겔릭호를 타고 하와이 호놀룰루로 출발한 이래, 2년 동안 7,500명 이상의 이민자가 미국에 도착했을 뿐 아니라, 1970년에 이르러서는 이민과 유학의 붐을 타고 많은 한국인이 미국으로 이주했다.

2020년 실시된 미국 센서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에는 1,989,519명의 한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2010년 170만여 명보다 약 17% 증가한 수치이며, 미국 총인구 331,449,281명의 0.6%에 해당하는 수치다.

한인이 많이 거주하는 10대 주를 보면, 한인 중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는 한인 수는 564,015명으로 가장 많이 살고 있으며, 이는 미주 한인 10명 중 3명에 해당한다. 이어 뉴욕 160,603명, 텍사스 116,998명, 뉴저지 109,965명, 워싱턴주 101,338명, 버지니아 95,782명, 조지아 77,467명, 일리노이 72,970명, 메릴랜드 61,637명, 펜실베니아 50,982명 순으로 집계됐다.

하와이 그리스도 한인연합감리교회의 역사는 한인 이민사이자 한인 교회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02년 12월 2일 제물포항을 떠난 첫 이민단 102명은 인천 내리교회를 포함한 서부지방의 여러 교회에서 모집된 감리교인들이었고, 그들이 하와이 수수 농장 노동자로 일하며 세운 교회가 하와이 그리스도 한인연합감리교회이기 때문이다.

한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인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한인교육원은 다가오는 2025년도 미주한인의날을 맞이하여, “2025 미주한인의날 기념 쇼츠 공모전”을 개최한다.

강전훈 LA 한국교육원장은 LA 한국교육원 홈페이지에 “이번 미주한인의날 기념 공모전은 짧은 호흡의 콘텐츠를 선호하는 MZ세대 트렌드를 적극 반영하고 대학생으로까지 참여 대상을 확대 진행하여 여느 때보다도 큰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공모전을 계기로 미국 내 한인 청소년들이 122년 한인 이민 역사에 축적된 미주 한인의 정체성과 이민 선조들의 업적을 되새기고 모국의 문화와 언어에 친숙해지기를 바란다.”라고 공모전을 실시하는 배경을 밝혔다.

LA 한인교육원은 미국 사회에 정착한 한인 청소년들에게 민족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2007년부터 미주한인의날 기념 미술대회 등의 문화 행사를 꾸준히 개최해 왔다. 지난해 가을에는 자랑스러운 한국국기 만들기 프로젝트를 통해, 아이들에게 자신만의 국기를 만들며 문화를 배우는 시간을 가졌으며, 이 행사는 2024 Korean American Day Art Contest라는 이름으로 유튜브에 공개되어 있다.  

이 밖에도 미주 각지에서 다양한 행사가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한인회에 문의하기를 바란다.

김응선 목사는 연합감리교뉴스의 한국/아시아 뉴스 디렉터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email protected]이메일 또는 전화 630-797-6848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사회적 관심
캘리포니아-태평양 연회 한인연합감리교회연합회 소속 목회자들과 교인들은 1월 13일 화상으로 기도회를 열고, 1월 26일을 “LA 산불 재해 특별주일”로 지정하여, 화재 피해자들을 위해 함께 기도하고, 화재 피해 지원 기금을 모으기로 하는 등 재난 극복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에 나섰다. 사진은 줌으로 열린 기도회 모습. 제공, 캘리포니아-태평양 연회 한인연합감리교회연합회.

칼팩 한인연합감리교회연합회 LA 산불 피해자 돕는 모금 시작

캘리포니아-태평양 연회 한인연합감리교회연합회 소속 목회자들과 교인들은 1월 13일 기도회를 개최하고, 화재 피해자들을 돕기 위한 기금을 모으기로 했다. 이 기도회에는 칼팩 연회의 에스코베도-프랭크 감독과 오하이오 연회의 정희수 감독 등 미국 전역의 목회자와 평신도 80여 명이 함께했다.
선교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가 140명의 세계선교부 소속 해외선교사를 지원하는 <선교언약> 신청 마감일(1월 31일)이 2주 앞으로 다가왔다. 한인총회는 오는 2월 15일 첫 선교비를 전달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포스터 제공, 한인총회.

선교언약 신청 접수 마감일 두 주 앞으로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가 140명의 세계선교부 소속 해외선교사를 지원하는 <선교언약> 신청 마감일(1월 31일)이 2주 앞으로 다가왔다. 한인총회는 오는 2월 15일 첫 선교비를 전달할 예정이다.
신학
녹색은 주현절 후 강단에 사용되는 색이다. 이 시기에 우리가 읽는 성경 구절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 삼아 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뒷받침한다. 사진, 수샌 닐스, 플리커,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주현절 후 교회는 사역의 목표를 어디에 둬야 하나요?

주현절 후 교회는 교인들 가운데 아직 세례를 받지 못한 사람들과 동행하며 예수를 구주로 고백하고 세례받을 준비를 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