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너를 위해 너를 사랑한다

Translate Page

5월은 가정의 달입니다. "가정은 교회처럼 교회는 가정처럼"이란 구호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가정이 예수님이 주인되는 교회처럼 되여야 하고 교회가 사랑으로 행복한 가정처럼 되어야지 그렇지않고 허구헌날 사랑해야 할 가족을 아프게 하고 상처주는 콩가루집안이 되고 모이면 싸우고 갈라지는 교회처럼 되어버리면 큰일나는 것입니다.

왜 사랑의 가정, 은혜의 교회가 되지 못할까요? 예수님이 주인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유대랍비 브리크너는 결혼의 성공이 내게 꼭 맞는 사람을 만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그사람에게 꼭 맞는 사람이 서로 되어주는 것이라 했습니다. 사람들이 사랑이라는 말을 쉽게 쓰지만 많은 경우 자기 자신을 위한 지극히 이기적인 것이 사랑일 수 있습니다. 칼릴 지브란이 쓴 '인간 예수'에 보면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말씀하시기를 "다른 사람들은 자기 자신들을 위해 너를 사랑하지만 나는 너를 위해 너를 사랑한다."(Others love you for themselves. But I love you for you.)라고 하십니다. 보통 사람들은 ‘나를 위해 너를 사랑한다.’는 사랑을 합니다. 어떤 때 이것이 부부 간에도 부모자녀 간에도 그런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사랑이란 명분 아래 상대방을 자기 자신을 위해 존재하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사랑은 '너를 위해 너를 사랑하는 사랑'입니다.

제가 결혼 주례를 할 때 가장 많이 인용하는 것이 어린왕자의 작가 쌩 땍쥐베르가 말한 사랑입니다. 그는 사랑을 말하면서 "어쩌면 사랑은 당신이 최고의 당신을 찾아가는 길에 부드럽게 옆에서 손을 잡고 동행하는 것이리라."고 했습니다. 부부 간에도 부모와 자녀 간에도 이런 사랑이 있으면 행복한 가정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제가 오래 전 시카고에서 대학생목회를 할 때 어떤 어머니가 딸에게 인격을 무시하는 말을 함부로 하고 손지껌까지 하기를 쉽게 했습니다. 나중에 딸이 참다 못해 집을 나갔는데 나를 찾아와서 그 어미가 하는 말이 "내가 그년을 얼마나 사랑했는데 나에게 이럴 수가 있느냐."고 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참 한심한 사람인데 다른 것이 문제가 아니라 모든 것이 자기 중심인 사람이었습니다. 사랑을 제대로 배워보지 못한 것입니다. 가정과 교회는 사랑을 배우는 학교가 되어야 합니다.

참 사랑은 예수님에게서 배워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내가 잘못 배운 것들 버리고 내려놓아야합니다. 사랑이란 이름 아래 자기 욕심 챙기고 상대방 인격 무시하고 자기 고집부리는 것 그만해야 합니다. 인생 가장 큰 후회는 사랑해야 할 사람들을 사랑하지 못한 것입니다. 나아가서 사랑해야 하는데 상처를 주는 일을 열심히 했다면 하나님 앞에 서는 날 심판이 두려울 것입니다. 예수님이 심한 책망을 하시는 말 가운데 어린아이들을 실족하게 하는 사람에 대한 것 만큼 큰 것은 없습니다. 그런 사람은 연자멧돌을 목에 메게 해서 바다에 던져지라고 했습니다. 사랑받고 자라야 할 어린아이들을 상처주고 노엽게 하고 아프게 하는 사람들에게 분노하신 것입니다.

어느 분이 ‘어린이날을 축하하며’라고 쓴 글인데 마음에 드는 글이 있습니다. “어린이가 입기 좋은 옷은 비싼 것이 아니라 입고 마음대로 놀 수 있는 옷입니다./ 어린이가 살기 좋은 집은 깨끗한 집이 아니라 마음대로 장난할 수 있는 집입니다./ 어린이가 살기 좋은 가정은 도덕적으로 완벽한 가정이 아니라 흠이 있어도 이해하고 감싸주는 가정입니다./ 어린이가 다니기 좋은 학교는 지식을 많이 얻을 수 있는 경쟁마당이 아니라 많은 것을 경험할 수 있는 놀이마당입니다./ 어린이가 살기 좋은 세상은 지식과 물질이 넘치는 곳이 아니라 사랑하고 꿈꾸기 좋은 세상입니다.

5월 가정의 달 천하 가장 행복한 가정 이루기 위해 예수님이 주인되는 가정되시길 빕니다.

 

개체교회
박정찬 감독이 연합감리교회 총회에서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연합감리교뉴스 파일.

나는 왜 여전히 연합감리교인인가?

박정찬 감독은 one out of many의 비전과 정신이 성서가 증언하는 하나님 나라의 모습 속에 반영되어 있음을 믿고, 이를 지향하는 연합감리교회의 전통과 역사의 진행에 동참하는 것을 특권으로 생각한다고 말한다.
개체교회
2022년 3월 21일부터 25일까지 5일 동안 진행된 제1회 사모를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의 주제와 수련회 모습 콜라주의 일부. 사진 제공, 권 초향 사모.

제2회 사모들을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 사랑하는 나의 딸에게

제2회 사모들을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가 <사랑하는 나의 딸에게>라는 주제로 2024년 3월 4일(월)부터 8일(금)까지 애리조나주 투산에 소재한 리뎀투어리스트 수양관에서 열린다.
선교
1903년 하디 선교사의 선교사 연합수련회에서의 공개적 회개는 원산 부흥 운동으로 이어져, 1907년 평양 대부흥이라는 열매를 맺게 했다. 사진은 하디가 사역하던 원산 남산동 제일감리교회가 새 건물을 짓고 교인들이 함께 모여 기념 촬영을 한 것이다. 사진 출처, 신앙과지성사.

‘한국 교회 부흥운동의 아버지’ 하디 회심 120주년 포럼과 연합성회가 열린다

2023년 9월 13일, 하디 선교사의 영적 각성 1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처음으로 미주하디기념사업회가 주최하는 감리교 포럼과 평신도 연합성회가 열린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3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