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담스러워야 정상입니다

얼마 전 존경하는 한 목사님께서 대화 중에 이런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조목사님, 수요예배 말씀을 전하는 중에 한번은 교인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제는 우리 교회에 새 가족들이 그만 왔으면 좋겠다’라고요. 다음 날 새벽기도를 마치고 장로님들이 아침식사를 사 주시면서 묻더라고요 ‘목사님, 그런데 어제 그 말씀은 왜 하신 겁니까?’ 그래서 저는 진심이었다고 말씀 드렸어요. ‘내가 진심으로 마음을 다해 사랑하고 돌볼 수 있는 교인은 몇십명에 불과하고 이미 이름도 외우지 못하는 성도들이 그 열 배도 넘게 있는데 매주마다 새로 오시는 새 가족들이 볼 때마다 부담스럽더라고요… “

말씀하신 의도를 이해할 것 같았습니다. 결코 대형교회 담임목사로서의 배부르고 교만한 마음에서 하신 말씀도 아니고, 새 가족이나 새 생명을 경시하는 마음에서 하신 말씀은 더더욱 아닌 것을 압니다. 오히려 맡겨 주신 영혼들을 제대로 돌보고 사랑해 주지 못함으로 인한 책임감과 미안한 마음에서 나온 말씀이라 믿습니다.

목사님의 그 마음을 닮고 싶습니다. 그 목사님처럼 많은 영혼을 맡게 해 달라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내가 얼마나 부족한 사람인지 온전히 아는 것입니다. 감당할 수 있는 사랑과 돌봄의 역량이 수십 명의 분량도 얼마나 부담스러워해야 할 존재인지를 아는 것입니다. 그래서 주님께서 한 영혼을 맡겨 주실 때마다 그것은 ‘멤버십의 수’가 아니라 두려움으로 감당해야 할 ‘책임의 수’임을 기억하기 원합니다.

그러고 보니, 저도 이미 감당하기 힘든 ‘책임들’을 맡고 있습니다. 제게도 어서 다섯 달란트, 열 달란트의 분량을 맡겨 주셔서 큰 영광을 보게 해 달라는 기도가 아니라, 이미 맡겨 주신 한 달란트, 두 달란트의 영혼들을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사랑하고 섬기는 일에 온 맘을 드려야 함을 깨닫습니다.

우리의 할 일은 맡겨 주신 분량에 성실과 감사로 최선을 다하는 것일 뿐, 맡기시는 시기와 분량은 오직 주님의 손에 달린 일입니다. 그러니 맡겨 주신 달란트에 오직 성실과 감사로 응답하고 있다면, 조급할 일도, 서운해 할 일도, 떼쓸 일도 아닙니다. 오직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사랑하고 섬길 마음만 남습니다.

오늘 맡기신 일에 충성함 없이 더 큰 것을 맡게 될 일은 없습니다. “그 주인이 이르되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적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내가 많은 것을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여할지어다…” (마태복음 25:21)

개체교회
내쉬빌에 소재한 웨스트엔드 연합감리교회의 평신도 대표인 에드 징키에비츠가 회의를 인도하고 있다. 사진, 캣 베리, 연합감리교뉴스.

장정은 교회의 임원 자격과 각 위원회의 역할은 어떻게 규정하나요?

가을에 있을 교회의 임원들을 선출하는 구역회(charge conference)를 앞두고, 교회의 임원과 각 위원회의 위원이 될 수 있는 자격과 새로운 장정이 규정한 목회협력위원회와 재단이사회의 역할과 책임을 소개합니다.
신학
뉴올리언즈의 제일그레이스연합감리교회 션 모세 목사(오른쪽)가 교회에 등록한 교인 가정을 환영하고 있다. 사진, 캐티 길버트,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으로 등록한다는 의미는?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이 된다는 것은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고자 오셨던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이들의 모임에 동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체교회
세계성찬주일, 그래픽, 연합감리교뉴스.

새로운 성찬예식으로의 초대

오는 10월 5일 세계성찬주일을 맞아, 그레이스 연합감리교회의 이형규 목사는 성찬식의 전통을 새롭고 창의적으로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