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직의 관행

청문회에 나온 사람들의 표절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대는 핑계가 '관행'이라는 말이다. 나도 10년 동안 교단에서 활동하면서 여러 가지의 '부정직의 관행'과 싸웠다. 그래서 그것이 현실이라는 사실을 안다. 하지만 그것이 핑계가 될 수 없다는 사실도 안다. 그러한 부정직의 관행을 깨는 사람만이 우리 사회를 섬기는 지도자의 자리에 설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원생 시절의 일이다. 조교로서 모셨던 은사께서 책을 하나 번역해보라고 하셨다. 당신에게 의뢰가 들어왔는데 번역할 여력이 없으니 나보고 해보라고 하셨다. 출판사에게는 이미 허락을 받았다고 하셨다. 첫 챕터를 번역하여 보여 드렸더니 그만하면 충분하다면서 그대로 진행하라고 하셨다. 다 번역하여 원고를 보여드렸더니, 얼마 후에 "출판사에서 공역자로 내 이름을 넣자고 하니 어쩌나?"라고 말씀하시며 곤란해하셨다. 출판사의 입장도 무시할 수는 없다고 하셨다. 나는 "교수님과 공역자로 이름이 나오는 것만도 영광입니다"라고 말씀드렸다. 그것만도 당시의 관행을 깬 것이었다. 당시의 관행은 조교가 번역하고 책 표지에 번역자 이름은 담당 교수의 이름을 내는 것이었다. 나의 은사께서는 그 관행을 깨셨다. 최대한 양보하여 공역자로 내 이름을 넣어 주신 것이다. 그리고 번역료는 고스란히 나에게 주셨다. 이것도 관행을 깬 것이었다. 당시의 관행은 교수가 다 가지든지 일부만 조교에게 주는 것이었다.

내가 교수가 되어서 은사께 배운 것이 지침이 되었다. 신학교수들 중에도 원고 청탁이 들어오면 일부는 자신이 직접 쓰고 일부는 조교들에게 맡겨 쓰게 하고 자신의 이름으로 출판사에 넘기는 관행이 있다고 들었다. 조교나 대학원생들에게 번역을 시키고 제대로 손을 보지 않고 출판하는 교수들도 많았다. 신학을 공부하면서 그런 책을 읽고 해독하느라고 많은 고생을 했다. 70년대에 번역된 신학전공 서적들은 대부분 그렇게 번역된 책들이었다. 그런 부정직의 관행에 의해 고통을 당했기 때문에 나는 그 관행을 깨고 싶었다. 그래서 내가 직접 쓸 수 없는 경우에는 원고 청탁을 사양해 왔다. 지금도 꾸준히 원고 청탁이 들어오는데 절반 정도는 사양하고 있다. 똑똑한 부목사에게 대신 쓰게 하고 살짝 고쳐서 자기 이름으로 내는 관행을 나는 받아들일 수가 없다. 그렇게까지 할 이유가 도무지 없다. 돈을 벌자는 것도 아니고, 유명해지자는 것도 아닌데, 왜 굳이 그렇게 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그 모든 것은 욕심과 허세에서 나오는 것이다.

이 부정직의 관행이 깨지지 않으면 한국 대학 교육의 앞날은 밝아질 수가 없다. 대학만이 아니라 모든 분야가 그렇다.

신앙 간증
유석종 목사의 가족사를 담은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의 (오른쪽) 한글판과 영문판 표지 이미지.

한인 디아스포라의 고백과 치유 이야기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

유석종 목사의 가족사를 담은 책 『무너진 울타리 다시 세우다』(영문판 REBUILDING THE FALLEN FENCE)는 일제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 디아스포라 가족의 아픔과 치유의 여정을 그린 이야기다.
개체교회
영화 <Her(그녀)>의 트레일러 갈무리.

인공지능 HER의 사랑과 외롭고 불완전하고 서툰 인간의 사랑과…

현혜원 목사는 인공지능 시대에 AI와의 사랑을 나눈 영화 HER를 리뷰하며, “하나님은 완벽한 기계의 논리 속이 아니라, 때로는 미숙하고 불안정하지만, 진심으로 서로를 사랑하려는 사람들 사이에 거하십니다.”라고 말한다.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