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

Translate Page

사람은 짐승과는 달리 ‘언어’와 ‘몸짓’으로 자신의 의사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능력을 갖고 있다. ‘의사소통’을 가리키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라는 말은 라틴어로 ‘나누다’라는 뜻의 ‘콤뮤니카레'(communicare)라는 동사에서 유래했다. 그러므로 의사소통이란 자신의 생각과 느낌, 그리고 감정을 다른 사람과 나누는 일이다. 이것은 개인이나 집단 모두, 보다 발전적인 삶을 위해서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사실,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점들의 근본 원인은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데 있다.

오늘의 세상은 과거에 비해 다른 사람과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관계가 단절되어 삭막하고 살벌한 일들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한 지붕 아래 사는 가족들조차 얼굴을 맞대고 진솔한 대화를 나누지 못함으로 남남처럼 지내는 일이 허다하다. 최근에 한국의 여성가족부가 실시한 ‘가정실태조사’에 의하면 자녀가 고민을 털어놓는 상대는 친구가 1위, 어머니와 형제가 2, 3위이고 아버지는 4위로 밀려나 있다. 친구들 사이에서도 편리하게 e-메일이나 메신저를 통해 소통하는 세상인지라, 바쁜 중에서도 짬을 내어 직접 얼굴을 보며, 목소리를 들으며 마음과 마음을 주고받는 일이 점점 사라져 간다.

이러한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감소로 인한 대화 단절도 문제이지만,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더라도 제대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것도 문제이다. 어렵사리 얼굴을 마주 보고 대화를 나누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제대로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 가슴앓이를 한 경험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이다. 이 일을 위해서는 첫째, 솔직해야 한다. 속으로는 딴 생각을 품은 채 대화를 한다면 그것은 상대방을 기만하는 일이다. 둘째, 선입견이나 편견을 버려야 한다. 상대방의 과거에 대해 제 삼자로부터 전해들은 말에 의해 예단(豫斷)을 내린 채 대화를 한다면 그것은 처음부터 상대방을 오판하는 일이다. 셋째, 단점보다는 장점을 찾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상대방의 장점보다는 단점을 더 쉽게 찾으려는 못된 심보를 갖고 있다. 그래서 상대방의 선행을 들으면 “그럴 리가 있나?” 의심부터 하고, 상대방의 악행을 들으면 “그러면 그렇지” 하며 덮어놓고 믿는다. 이런 심보를 갖고 대화를 한다면 그것은 상대방을 경멸하는 일이다.

그리스도인들은 사람들과도 그렇지만 하나님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해야 한다. 우리의 삶에 진정한 문제는 수많은 종류의 시련이 아니라 그런 시련 가운데서 하나님과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것이다. 하나님과의 의사소통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죄’이다. 그래서 이사야 선지자는 하나님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죄의 문제를 선결할 것을 촉구하였다. “오직, 너희 죄악이 너희와 너희의 하나님 사이를 갈라놓았고, 너희의 죄 때문에 주님께서 너희에게서 얼굴을 돌리셔서, 너희의 말을 듣지 않으실 뿐이다” (이사야 59:2, 새번역).

개체교회
2022년 3월 21일부터 25일까지 5일 동안 진행된 제1회 사모를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의 주제와 수련회 모습 콜라주의 일부. 사진 제공, 권 초향 사모.

제2회 사모들을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 사랑하는 나의 딸에게

제2회 사모들을 위한 영성형성 아카데미가 <사랑하는 나의 딸에게>라는 주제로 2024년 3월 4일(월)부터 8일(금)까지 애리조나주 투산에 소재한 리뎀투어리스트 수양관에서 열린다.
선교
1903년 하디 선교사의 선교사 연합수련회에서의 공개적 회개는 원산 부흥 운동으로 이어져, 1907년 평양 대부흥이라는 열매를 맺게 했다. 사진은 하디가 사역하던 원산 남산동 제일감리교회가 새 건물을 짓고 교인들이 함께 모여 기념 촬영을 한 것이다. 사진 출처, 신앙과지성사.

‘한국 교회 부흥운동의 아버지’ 하디 회심 120주년 포럼과 연합성회가 열린다

2023년 9월 13일, 하디 선교사의 영적 각성 1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처음으로 미주하디기념사업회가 주최하는 감리교 포럼과 평신도 연합성회가 열린다.
신학
오클라호마주 털사에서 열린 오클라호마 연회에서, 알코올 중독으로부터 회복 중인 10여 명의 사람들이 자신들을 옭아매는 술의 올무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내용의 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 제공, 오클라호마 연회.

연합감리교인이 술을 마셔도 되나요?

연합감리교회는 단순히 술을 마시지 말라고 요구하거나 우리 자신의 개인적 선택에 제한을 두라고 강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겐 알코올 남용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사람과 함께 사역하며, 그들을 도와야 할 소명이 있습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3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