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감리교인에게 주현절이란?

주현절은 동방박사들이 황금과 유향 그리고 몰약을 예수께 가져와 경배를 드렸던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매년 1월 6일, 성탄 후 13일째 되는 날을 주현절로 정하여 기념하는데, "주현(ephipany)”은 희랍어 에피파니아 (epiphania)의 나타남, 출현에서 그 뜻이 유래되었습니다.

경배자들의 방문, 특히 동방으로부터 온 이방인 박사들의 경의는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하늘로부터 온 세상에 알려지게 하는 증표입니다. 이는 장엄하며 엄숙하여 경외심을 갖게 하는 축하 의식입니다.

주현절은 성탄절보다 더 오래된 기독교인의 기념일로, 예수의 탄생, 예수 그리스도로 오신 하나님의 성육신, 그리고 그리스도의 세례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4세기 후반부터는 대강절이 사순절과 더불어 세례를 준비하는 절기로 발전되면서, 주현절도 세례와 연관 짓게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오래된 많은 세례대에서 세 명의 동방박사의 모습을 보게 되는 것입니다.

라틴 아메리카 문화권에서 주현절은 크게 기뻐하고 축하하는 날로, 사람들은 흔히 주현절 전날 밤에 동방 박사 차림을 하거나 동방박사의 형상을 들고 마을 이곳저곳을 돌며 사탕이나 작은 선물을 전하며 축하 행진을 합니다. 남녀노소 모두 선물과 만찬, 축제의 시간인 동방박사의 날(Dia de Los Tres Reyes)을 고대합니다. 따라서 평소에는 예배에 잘 참석하지 않던 사람들도 이날 만큼은 성만찬을 함께 나누며 예배에 참석합니다.

영국을 비롯한 몇몇 유럽 문화권에서는 1월 5일이 12일 동안 지속하여온 성탄절 연회와 잔치의 정점으로, 열두 번째 밤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날 밤에는, 많은 가족이 친구들과 함께 모여 노래를 부르며 음식과 선물을 나눕니다. 열두 번째 밤을 서로 축하하는 의미로 "문에 글귀 남기기"("Chalking the Door")도 하는데, 이는 하나님의 복을 그 집에 사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비는 것입니다.

뉴올리언즈에서는 열두 번째 밤에 Mardi Gras라 불리는 다른 축제 기간이 시작되는데, 배불리 먹는 화요일(Fat Tuesday) 즉 사순절이 시작하는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 전날까지 이어집니다. 1월 6일 주현절이 바로 이 축제 기간의 첫날이며, 교회에서는 향불을 피우고, 멋진 행렬과 특별찬양 그리고 성만찬을 나누며 이날을 기념합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새로 시작한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격주로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이러한 전통이 없는 미국 내의 연합감리교회는 1월 6일에 가장 가까운 주일을 주현절로 지킵니다. 예배 중에 동방박사 세 사람을 등장시키기도 하고, 예배 후에는 작은 축하연을 마련하기도 합니다.  

올해는 주현절을 맞이하며, 라틴 아메리카계, 중남미 회중, 혹은 다른 문화권의 회중과 연합하여 새로운 방법으로 축하할 수 있는 주현절/Tres Reyes을 계획해 보시기 바랍니다. 어떠한 방법으로 축하하든, 주현절의 가장 큰 의미는 온 인류를 위해 메시아가 되신 예수께 무릎을 꿇고 경배하고 선물을 드린 동방박사들의 축하를 기억하는 것입니다.

이글은 2019년 1월 9일  Ask the UMC에 실린 글  how-do-united-methodists-understand-epiphany-three-kings-day을 재편집한 것이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email protected]로 이메일을 보내거나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더 읽기 원하시면, 격주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선교
2025년 4월 23일, 정희수 감독이 이끄는 오하이오 감독구 지도자들이 서울 합정동에 위치한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을 찾아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와 그의 어머니 메리 스크랜턴 선교사를 기리는 기념비 제막식에 참석했다. 사진은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에 제막된 윌리엄 밴턴 스크랜턴 선교사와 메리 스크랜턴 선교사 기념비.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오하이오 지도자들 스크랜턴 선교사의 발자취를 따라 한국을 방문하다

연합감리교회 오하이오 감독구 지도자들이 미감리교회가 1885년 한국에 파송한 선교사 윌리엄 스크랜턴과 메리 스크랜턴의 선교 발자취를 밟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
신학
연합감리교 창시자의 한 사람인 찰스 웨슬리가 작사한 찬송 “예수 부활했으니”는 부활과 새 생명을 노래한다. 이미지, 캐스린 프라이스, 연합감리교 공보부.

부활절이 왜 50일인가요?

“부활의 백성들”인 우리는 50일간의 부활절 동안 교회의 탄생과 오순절의 성령강림을 기념하고, 어떻게 그리스도의 충성된 제자로서의 삶을 살아가야 할지 곰곰이 생각합니다.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